스페셜
"개수"(으)로 총 151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2018.07.31
- 후각에 할애돼 있다는 사실은 뜻밖이었다. 그런데 2000년 인간게놈 해독으로 유전자 개수가 10만 개가 아니라 2만여 개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사람들은 경악했다. 사람 유전자의 2% 가까이가 냄새를 맡는 일을 한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쥐의 유전자도 비슷한 숫자로 밝혀졌고 따라서 쥐는 전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2018.05.29
- 만들기 때문이다. 빵밀과 듀럼밀은 품종이 다른 정도가 아니라 아예 다른 종이다. 염색체 개수도 빵밀은 42개인 반면 듀럼밀은 28개다. 밀속(屬) 식물의 진화를 재구성한 결과 여러 차례 이종교배가 일어나며 게놈이 늘어났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즉 듀럼밀은 4배체(AABB)이고 빵밀은 6배체(AABBDD)다. 밀 ... ...
- 임진강 홍수 위험 대비에 머리 맞대다 과학동아 l2018.04.28
- 한계가 있다”며 “기온, 기압, 수증기 등 정확한 기상 정보와 임진강 주변 수문의 개수 등을 파악하면 예측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임진강 수계의 댐과 홍수피해 예측 시스템 - 북한은 임진강을 따라 황강댐, 장안댐, 4월5일댐을 건설해 유역을 관리한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 건강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 2018.04.10
- 신경생성이 왕성하게 일어난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반면 휴면 신경 전구세포의 개수는 나이에 듦에 따라 줄어들었고 혈관생성(angiogenesis)과 신경가소성(neural plasticity) 역시 나이가 많을수록 떨어졌다. 즉 나이가 들수록 기억과 학습 능력이 떨어지는 건 뉴런이 줄어서가 아니라 포도당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女 마라톤 최고 기록 김도연, 밥심으로 달렸다!2018.04.03
- 인류만 AMY1 유전자가 여러 개다. 자연선택의 치열한 생존경쟁에서 아밀라아제 유전자 개수가 늘어났다는 건 그만큼 긴요하다는 뜻이다. 즉 녹말이 풍부한 음식을 많이 섭취하게 됐기 때문에 이를 최대한 소화해 흡수할 수 있는 형태인 포도당으로 바꿔 에너지원으로 쓰기 위해서다. 유일하게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의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2018.01.20
- 모습인가? 자기 개념이 복잡할수록 좌절이 덜 하다 린빌은 이 자기 개념의 복잡성(개수 + 각각의 독립적인 정도)에 초점을 맞춰 만약 자신의 정체성을 비슷한 것들 몇개로만 구성해서 자기 개념이 단순한 사람들의 경우 하나가 무너지게 되면 도미노처럼 자존감이 와르르 무너지는 반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2017.11.29
- 패턴이 다를지도 모른다. 사람들이 쉬고 있을 때 찍은 fMRI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모듈의 개수는 평균 3.5개로 나타났다. 보통 대뇌피질을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으로 나누는데 비슷한 맥락이다. 그리고 모듈 하나에 대략 1500개의 노드가 존재했다. 노드는 같은 모듈의 노드들과 ... ...
- 심장 세포가 심장만 만들 수 있는 이유를 찾는 과학자들동아사이언스 l2017.10.15
- 7명에게서 얻은 결과로 파일럿 연구를 발표한 바있습니다. 이번 논문은 그 후속으로 샘플 개수를 더 늘렸습니다. 449명에게 얻은 샘플 7051개를 이용했습니다. 그 결과로 유전적 특이성과 유전자 발현 관계나 X염색체가 불활성화 되는 과정에 대한 논문이 발표됐습니다. GTEx 컨소시엄의 이름으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2017.08.08
- 물론 이 가운데 기능이 겹치는 게 많겠지만 생체이물을 대사하는데 관여하는 유전자 개수와 동원되는 화학반응의 종류는 인체 시스템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많을 것이다. 장내미생물이 생체이물을 대사하는 과정을 제대로 이해해야 우리 몸의 건강을 지킬 수 있다는 말이다. 예를 들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그 많은 양전자(반물질)는 다 어디서 왔을까2017.06.27
- 질량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갖는 감마선(0.511MeV(메가전자볼트))의 피크를 보고 양전자의 개수를 추정할 수 있다. 1970년대 이미 이런 측정이 이뤄졌고 그 결과 우리 은하에서만 이런 엄청난 숫자의 양전자가 만들어지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그러나 이 양전자가 도대체 어디서 온 것인가는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