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격렬
가혹
엄격
뉴스
"
혹독
"(으)로 총 146건 검색되었습니다.
[북극으로 가는 ‘제2 쇄빙선’] 북극 전용 쇄빙선 2020년 취역한다
2015.01.02
연구팀은 2004년 이후 북극 해빙이 녹으면서 북극의 찬 공기가 남하해 유럽과 아시아에
혹독
한 한파를 몰고 올 확률을 높였다고 지난해 ‘네이처 지오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이런 상황에서 제2의 쇄빙선이 건조되면 기후변화 연구의 첨병 노릇을 톡톡히 할 것으로 전망된다. 북극 해빙의 감소로 ... ...
260억 들여 '우주여행' 한번 하고 끝
과학동아
l
2014.06.26
탄생시켰다. 이 박사는 이를 위해 러시아 유리 가가린 우주인훈련센터 등에서 1년간
혹독
한 훈련을 받았다. ISS에 열흘간 머문 뒤 지구로 돌아온 이 박사에게 정부는 ‘한국 우주인’이라는 타이틀을 공식 부여했다. 또 이 박사를 항우연에 소속시키고 우주인 활동을 지원했다. 하지만 한국 ... ...
'엘사'의 왕국은 '샐러드볼'이다
과학동아
l
2014.03.16
중세의 마녀사냥이 떠오른다) 엘사의 능력은 화가 나 더욱 폭발했을 것이고, 왕국은 더
혹독
한 겨울을 맞았을 수도 있다. 반대로 엘사가 통치를 하려고 했어도 자신을 인정해주지 못한 시민을 위해 진정한 정치를 실현할 수 있었을지 의문이다. 개성을 관용으로 받아들이는 태도가 없다면 ... ...
그녀들의 체형은 신의 선물일까
과학동아
l
2014.02.13
170cm 이상이다. 동양인 이상화는 김연아와 달리 체격적으로 너무 불리하다. 그저
혹독
한 훈련으로 ‘타고난 불리함’을 극복한 것이다. 이상화는 소치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이뤄진 기자회견에서 “2010년에 비해 체중을 3kg 가량 줄인 것이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체지방이 감소한 대신 허벅지는 ... ...
잦아지는 혹한과 폭염, 무엇 때문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1.08
있다고 해도 극지방 바람이 중위도 쪽으로 남하하면 사람들은 생명에 위협을 느낄 만큼
혹독
한 추위를 느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 "지구온난화로 강수량 양극화도 심해질 것" 위키미디어 제공 전문가들은 북반구의 혹한과 달리 남반구의 ‘폭염’에 대해서는 무조건 지구 온난화와 ... ...
사람도 겨울잠 잔다고?
과학동아
l
2013.12.27
펑펑 내리는 눈, 살을 에는 듯한 추위. 이런
혹독
한 날씨를 피하기 위해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이 많다. 그렇다면 사람도 개구리나 다람쥐, 곰처럼 겨울잠을 잘 수 있을까. ●사람도 겨울잠 유전자 있다! 최인호 연세대 생명과학기술학부 교수팀은 물질대사를 조절하는 갑상샘 호르몬 ... ...
올 겨울, 영양소 풍부한 ‘계란’으로 건강 관리
동아닷컴
l
2013.12.26
동아닷컴] 그 어느 때 보다
혹독
한 겨울이 예고된 가운데 본격적인 겨울 추위 앞에 몸이 움츠러든다. 추위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겨울에는 우리 몸의 신체 활동이 위축되면서 신진대사가 원활하지 못하다. 또 체온이 1도 떨어지면 면역력은 30%나 떨어지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감기 등 각종 질병에 ... ...
[채널A]올 겨울 춥고 눈 ‘펑펑’…그 이유는?
채널A
l
2013.11.25
오늘이 소설인데, 눈은 오지 않고 오히려 다소 포근했습니다. 하지만 올 겨울은 매우
혹독
할 것 같습니다. 폭설이 자주 내리고 기온도 영하 20도까지 떨어질 것이란 예보가 나왔습니다. 이영혜 기잡니다. [리포트] 이번 주 내린 첫눈으로 설국을 이룬 한라산. 영하의 강추위가 매섭지만 눈꽃 만발한 ... ...
[지금이 제철]고흥 석류
동아일보
l
2013.10.15
과수인 석류가 국내에서 과일로서 본격적인 명성을 얻게 된 것은 10여 년 전이다. 한국의
혹독
한 겨울을 견디도록 종자 개량이 이뤄졌고 새 품종이 외국에서 수입됐다. 이들 석류나무는 전남 고흥반도에 많이 심어졌다. 고흥의 기후와 토양은 석류 재배에 국내 최적지로 꼽힌다. 고흥의 연평균 ... ...
선천성 빈혈 발병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13
지중해 연안의 조상들이 말라리아에 견디기 위한 유전적 선택이었던 것. 그래서일까.
혹독
한 말라리아에서 살아남은 유전자는 미국에서는 5000명 당 1 명, 특히 흑인일 경우 500명당 1명이 겸상적혈구빈혈증을 앓고 있을 정도로 널리 퍼져나갔다.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는 이런 겸상적혈구빈혈증의 ... ...
이전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