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에너지밀도"(으)로 총 58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성자별과 블랙홀의 경계는2024.02.07
- 중성자별. 위키미디어 제공 2000년대 초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가 거대강입자충돌기(LHC)를 짓고 가동에 들어가려고 하자 반대의 목소리가 나왔다. 엄청난 에너지를 지닌 입자들이 충돌하는 과정에서 블랙홀이 만들어질 수 있고 눈 위를 구르는 눈덩이처럼 주위 물질을 빨아들여 급기야는 지구까지 ... ...
- '젤리' 입자로 1000km 달리는 전기차 가능성 높인다동아사이언스 l2024.01.26
- 젤 형태의 고분자 전해질을 활용해 마이크로 실리콘 기반 고에너지 밀도 리튬이온배터리 시스템을 개발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젤(gel) 형태의 고분자 전해질로 에너지 밀도가 기존보다 약 40% 향상된 리튬이온배터리 시스템을 개발했다. 간단한 공정으로 바로 적용 가능하다. ... ...
- 국제협력으로 전고체 전지 상용화 '한발'…KIST-LLNL, 고전압 환경 고체 전해질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01.25
- 최적화에 필요한 후속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류 책임연구원은 "화재 위험성이 없는 고에너지밀도 차세대 리튬 전고체 전지의 상용화가 앞당겨질 것"이라고 밝혔다. ... ...
- [과기원NOW] GIST, '슈퍼커패시터' 성능 높일 방안 찾았다 外동아사이언스 l2024.01.04
- 유승준 GIST 교수, 윤명한 GIST 교수, 이동욱 홍익대 교수, 박재일 GIST 박사과정생(왼쪽부터). GIST 제공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유승준·윤명한 신소재공학부 교수, 이동욱 홍익대 신소재공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전해질에서 염의 농도를 변화시켜 슈퍼커패시터(Supercapacitor)의 주요 성능을 크게 향 ... ...
- 나무로 만든 세계 첫 풍력 발전 터빈…에너지 생산에 탄소 흡수까지동아사이언스 l2024.01.01
- 스웨덴 스타트업 모드비온이 스웨덴 남서부에 세계 최초로 건설한 150m 높이의 나무 풍력 터빈 타워 구조물. 모드비온 제공 스웨덴 남서부 베스트라예탈란드주 스카라시 숲엔 거대한 풍력터빈 타워 구조물이 있다. '바람개비' 모양의 거대한 날개가 한눈에 들어온다. 바닥부터 날개 끝까지 길이가 15 ... ...
- 리튬금속전지 부식 막아 전기차 주행거리 50% 늘린다동아사이언스 l2023.12.07
- 붕산염-피란 기반 액체 전해액을 최초로 사용한 리튬이온전지가 개발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지금껏 사용된 적 없는 액체 전해질을 활용해 리튬 부식을 막아 리튬금속전지의 성능을 높였다. KAIST는 김희탁 생명화학공학과 교수와 LG에너지솔루션 공동연구팀이 리튬금속전지 ... ...
- 수소경제 위한 그린암모니아 생산, '황'에서 새 가능성 발견동아사이언스 l2023.12.01
- 용기중 포스텍 교수. 포스텍 제공 국내 연구진이 수소 전달체인 암모니아 생산 반응 효율을 높였다. 암모니아는 수소 함량과 에너지 밀도가 높아 친환경 수소 에너지 기술 분야에서 수소를 저장하고 운반하는 전달체로 주목받고 있다. 포스텍은 용기중 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황(S)을 사용해 ... ...
- 수소생산 2배…고온 수전해 전지용 ‘나노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2023.11.30
- KIST 연구진이 개발한 대면적 셀과 나노촉매 합성을 위한 특수화학 용액. KIST 제공. 600도 이상 고온에서도 수전해 성능 저하가 일어나지 않는 나노촉매가 개발됐다. 수전해 전지에 적용하자 그린수소 생산량이 2배 이상 증가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윤경중 에너지소재연구센터 책임연구 ... ...
- 우주 비행사, 발기부전 위험 높다 동아사이언스 l2023.11.23
- NASA 우주왕복선인 디스커버리호 내에서 우주비행사들이 지상 관제사들과 교신을 하고 있다. 위키미디어 제공. 우주비행사들은 발기부전 발생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우주 방사선과 무중력 등이 남성의 생식 건강에 미친 영향을 최초로 확인한 연구다. 저스틴 라 페이버 미국 플로리 ... ...
- [과기원NOW] KAIST, 전도성 140배 향상된 산소 이온 전도성 고체전해질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3.11.22
- (왼쪽부터) 이강택 KAIST 교수, 에릭 왁스만 메릴랜드대 교수, 유형민 KAIST 박사과정생, 정인철 박사, 장승수 박사과정생. ■ KAIST는 이강택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에릭 왁스만 미국 메릴랜드대 교수 연구팀과 함께 기존 소재 대비 전도성이 140배 높은 산소 이온 전도성 고체전해질을 개발했다고 22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