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아이 종"(으)로 총 167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이고 ㅎㅎ포스팅 l20171112
- ㅎㅎ 좀 그리려는데 밑에 턱선 화이트로 지우다가 종이랑 색이 안 맞아서 망함....ㅠ다시 그려야됨 ㅋㅋㅋ 아이고내팔자야 ...
- 코뉴어에 대한 모든 것!기사 l20171013
- 딸기나 포도는 잘 먹지 않았다. 가끔씩 너무 자극적이지 않은 뻥튀기 종류의 과자를 주면 잘 먹긴 하는데 걱정이 되어 잘 주진 않는다. 둘째, ... 파악하는 것 같다. 그래서 강아지처럼 가족 안에서 가장 작거나 어린 아이들을 부리로 쪼거나 무시하는 습성을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 다음의 번식에 영향을 받으므로 ...
- 관상용새우에 대하여기사 l20170926
- 저는 알록달록한 작은 새우를 좋아하는데, 최근에 동생이 그새 우의 종류에 대해 질문하였습니다. 하지만 저는 제대로 대답할 수 없었습니다. ... 좋아하는 작은 새우의 명칭은 (관상용 새우)라고 하더군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지만 키우기도 쉽고 가격도 비교적 싸고 예쁜 새우들을 소개하겠습니다. 체리 새우 (출처: Pixabay) ...
- 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를 사용하는 법!!기사 l20170820
- 추가기능 사용법을 기사로 썼습니다. 먼저, 밑의 배너를 보시면 크게 5종류가 있습니다. . 1.어린이과학동아 배너 1)연재기사: 어과동 잡지에 ... 등을 볼수도 있습니다.} 3.지구사랑탐사대 배너 1)탐사기록: 여러 종의 탐사를 하고서, 탐사기록을 올리는 곳입니다. 이것은 탐사대원들만 할 ... 소식지를 ...
- 생물 다양성을 되찾기 위한 발걸음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기사 l20170805
- 위기 생물과 생물 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한 방안을 알 수 있습니다. 멸종의 원인은 바로 인간의 활동이고 이로 인해 후아이, 캐롤라이나앵무, 나그네비둘기 등이 멸종되었습니다. 사라진 생물의 모습을 보니 많이 안타까웠습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선조들에게 물려받은 것이 아니라 후손들에게서 잠시 빌려 쓰고 있는 것이다. ...
- [8월 행사소개] 여름방학을 맞아 기자단 취재처에서 다양한 행사를 열어요~!공지사항 l20170804
- 놓치면 안 되겠죠~?! 8월에 취재처를 다녀와서 온라인 기사를 쓰면 아이스크림 기프티콘을 받을 수 있는 여름방학 이벤트도 참여해 주세요~! 아이스크림 이벤트 내용 보기 http://kids.dongascience.com/notice/view/723 기자단증 ... 발견된 아틀라스왕장수풍뎅이의 자웅모자이크 개체를 전시합니다 ...
- 출동! 바이오블리츠 현장속으로기사 l20170617
- 갖다 드리면, 설명해주시는 방법입니다. 나비는 살짝 기절시켜 삼각종이 안에 넣습니다. 곤충을 직접 채집하고 물어보고 하는 과정이 ... 파괴되어 무책색이 됩니다. 매우 신기했습니다. 천연기념물 204호, 멸종위기종 2급인 팔색조를 전문가 선생님께서 새벽에 보았다고 하셨으나, ... 따라서 음낮이 고저, 패턴이 다르다고 ...
- 서울 성북라이노비틀즈 20170616탐사기록 l20170617
- 준비해주셨어요~ 내일이면 나비가 된다는 번데기도 가져오셨는데 아이들이 두눈을 반짝이며 관찰했답니다. 나비와 나방의 다른점도 얘기해 ... 생기고 다음에 만나면 더 잘봐야겠다는 생각도 들었죠. 저학년인 우리 아이는 나비종류 얘기해주실때 . . 그게 좀. . .많아서. . 엄마 설마. .97종 다하시는건 아 ...
- 이벤트!!!포스팅 l20170603
- 퀴즈 입니다. 정답을 제일 먼저 모두 맞히시는 분께는, 3종 선물이 있습니다. 1번. 추천 2번. 원하는 어린이과학동아 캐릭터 그려주기(지금 연재되고 있는 캐릭터만 ... 1. 세상에서 가장 빠른 새는 무슨 새일까요? 2. 누구나 발 벗고 나서야지만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요? 3. "아이 추워!" 의 반대말은 무슨 말일까요? ...
- 한국수달연구센터포스팅 l20161201
- 이런 곳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나중에 내가 어른이 되어서 아이가 생기게 된다면 아이를 데리고 오고 싶은 곳이었다. 수달은 육식동물이고, 우리나라에서는 유라시아수달 한 종만 사는데 유라시아수달은 무리지어 살지 않고 가족 단위로 서식한다. 또한 우리나라 옆에 있는 일본에서는 1978년 수달이 전멸해서 더 이상 일 ...
이전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