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장"(으)로 총 46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자연스레 두 궁륭이 교차하는 구조가 생긴다. 이를 교차 궁륭이라고 부른다. 교차 궁륭은 천장의 하중을 네 방향으로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적이다.고딕 양식 특유의 ‘플라잉 버트레스(flying buttress)’ 구조도 그림에 잘 나타난다. 바벨탑의 기둥을 살펴보면 기둥의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초상화 교실 ‘ 비스무리 그리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무너지더니 선물 상자들이 놓여 있는 방이 나타났다. 그런데 이번엔 비스무리 그리마가천장에 매달려 페인트 통을 막 쏟으려 하고 있는 게 아닌가!“오우오우! 나의 예술혼이 불타오르고 있소. 내가 여기서 저 선물 상자들 위로 이페인트를 쏟을 때 페인트가 묻지 않을 상자는 과연 몇 개나 되겠소 ... ...
- [News & Issue] 올 여름, 진화한 공포가 몰려온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보여줘야 하는 VR 콘텐츠에는 치명적이다. 최 이사는 “만약 사무실을 예로 든다면 천장이나 바닥처럼 움직임이 없는 곳은 중요한 부분이 아니다”라며 “우리가 집중해서 보는, 움직임이 있는 부분만 고화질로 처리해 전체 화질을 높이는 게 아이디어”라고 말했다. 이 아이디어를 적용하면 ... ...
- [게임카페] 리듬 맞춰 폴짝폴짝 달려라, 웃기는 박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구간에서도 마찬가지에요. 이 구간에서는 땅이 캐릭터를 끌어당기는 힘을 0으로 놓고, 천장이 끌어 당기도록 설정을 한 것이지요. 그래서 마치 땅과 하늘이 뒤바뀐 것처럼 게임을 즐길 수 있답니다. 게임을 어렵게 만들고 싶다면 땅과 장애물이 캐릭터를 끌어당기는 힘을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 ...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볼 수 있습니다. 왜 공연장을 지오데식 돔 형태로 지었을까요?‘돔’은 지붕이나 천장이 반구 모양인 건축물입니다. 힘이 모든 부분에 골고루 분산되기 때문에 압력에도 잘 버팁니다. 기둥을 세우지 않아도 자체의 무게를 잘 견딜 수 있지요. 따라서 돔은 기둥이 없으면서도 공간이 넓어야 하는 ... ...
- [지식] 스파이더맨 될 수 없다vs있다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이들이 다리털을 이용해 벽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원리로 수직으로 올라가거나 천장에 거꾸로 붙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개구리와 도마뱀은 털 대신 빨판이 달려 있다. 얼핏 보기에는 부드러워 벽에서 잘 미끄러질 것처럼 보이지만, 끈끈한 액을 내거나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한 털이 나 있는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천재 골키퍼 ‘ 메시라도 다마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상태였다. 대체 어떤 줄을 잡아야 위로 올라갈 수 있을까? Mission 3. 공이 움직이는 모양은?천장 위로 올라가자 저 뒤쪽으로 쇠창살 감옥이 나타났다. 그런데 쇠창살 감옥으로 가기 전, 먼저 거대한 구조물이 썰렁홈즈 앞을 가로막고 있었는데…. 이때 여전히 모습은 보이지 않은채 메시라도 다마가의 ... ...
- [재미] 양손잡이 위상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중얼거리고 있을 때 어디선가 인기척이 느껴졌다. 그쪽을 쳐다보았더니 한 사람이 천장에 거꾸로 매달린 채로 단을 향해 걸어오고 있었다.“여기는 안과 밖의 경계가 없어서 안쪽으로 계속 들어가면 바깥으로 나가버리고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겠다 싶으면 다시 안쪽으로 들어오게 돼 있어. 분명히 ... ...
- [News & Issue] 예술, 갇힌 마음의 창이 되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있다. 천진난만한 아이의 그림일까. 놀라운 건 이 그림을 그린 작가의 방이다(왼쪽 사진). 천장과 벽면, 탁자와 심지어 창틀까지 그림으로 ‘도배’돼 있다. 오스트리아에 있는 정신장애인 작가 아우구스트 발라(1936~2001)의 방을 재현해 놓은 전시장에 들어선 순간, 감탄사가 절로 나왔다. 마치 또 다른 ... ...
- 지구의 자전을 밝힌 무리수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있었지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실험으로 증명한 것은 처음이었다.푸코는 판테온 돔 천장에 길이 약 67m의 줄을 걸고, 줄 끝에 무게 약 28kg인 추를 매달았다. 추를 흔들고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자 진동면이 천천히 회전하기 시작했다. 진동면은 진자가 좌우로 움직이면서 줄이 지나간 단면을 말한다.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