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장"(으)로 총 468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미래의 드론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손으로 가리키며 설명을 이어갔어요.“드론이 이곳에서 상자를 싣고, 비행을 시작하면 천장에 달린 특수 카메라가 움직이는 드론을 촬영해요. 1초당 수백장을 찍는 특수 카메라를 이용하면 아주 미세한 흔들림도 포착할 수 있지요. 드론의 조종 방법이나 이동 속도 등을 다르게 해서 상자를 운반해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의 방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융합 개념 파헤치기: 모든 소리를 흡수하는 방이 있다?텅 빈 공간에서는 소리를 지르거나 박수를 치면 소리가 울리는 것을 느낄 수 있어 ... 시원이가 조심스럽게 천장에 손을 갖다 대자 다시 ‘쿠구궁’ 소리가 나면서 천장이 반으로 열렸어요.“으윽, 눈부셔! 햇빛이다! 밖으로 나왔어 ...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찾기 TIP 2: 큰 바위를 들춰라가장 먼저 큰 바위들을 들췄다. 이유를 묻자 “지지대, 즉 천장 역할을 하는 바위가 있으면 그 밑에 집을 만들고 사는 경우가 많다”는 답이 돌아왔다. 흔히 개미들이 땅을 깊숙이 파고 들어가 미로 같은 소위 ‘개미굴’을 짓고 산다고 생각하지만, 개미굴을 짓지 않고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마고의 최후?수학동아 l2017년 11호
- 흘렀을까.하림은 눈을 떴다. 하얀 천장이 보였다.‘가스인가?’아니었다. 평범한 하얀색 천장이었다. 하림이 누워 있는 곳도 딱딱한 바닥이 아니라 침대 위 였다.‘마고는? 해킹은 어떻게 된 거지?’하림은 몸을 벌떡 일으켰다.철컹-손목에 뭔가 걸리면서 다시 침대 위로 쓰러졌다. 오른쪽 손목을 ... ...
- [Origin] 모세혈관 따라 10만km ‘건강 게이트키퍼’ 모세혈관 총정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왼쪽 사진). 속이 비어 있는 탑을 올리는 과정에 비유하자면, 천장을 없애고 새 벽과 새 천장 쌓기를 계속하는 셈이다. 뼈는 연골상태로 만들어지는데, 갓 생성된 연골에는 모세혈관이 없다. 그래서 산소가 부족한 탓에 혈관 내피성장인자를 분비해 모세혈관을 자라게 한다. 뼈가 자라는 동안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다가온 위기!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움직이라고.” 아무도 발을 떼지 않자 한 명이 천장을 향해 총을 쏘았다. 큰 소리와 함께 천장에 구멍이 뚫렸다.“빨리 가. 우린 바쁘니까.”“저, 여기 아픈 아이들은 어떡하죠?”한 아이가 용기를 내서 물었다.“얘야, 아까 잠깐 쉬면 괜찮을 거라는 말 못 들었어? 쟤들이 뭘 먹었는지는 우리가 잘 ... ...
- Intro. 과학계에 부는 ‘걸크러시’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여성이 많지 않은 과학계에서는 이런 알파걸들이 더욱 도드라졌다. 하지만 현실에서 유리천장은 높았고, 알파걸에 쏟아지는 스포트라이트가 오히려 알파걸의 삶을 옥죄었다. 여전히 과학계에서 여성과학자의 삶은 팍팍하다. 하지만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 여성과학자를 지원하는 기관이 생겼고 ... ...
- Part 3. 우주는 한 개가 아니다?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아이디어는 앞서 말한 입자가 확률적으로 세 곳에 있는게 아니라 책상 위, 책상 아래, 천장 모두에 있다는 것이다. 방 문을 연 순간 세 가지 우주로 세계가 갈라지고, 우리는 그중 하나를 보게 된다. 즉 어떤 판단을 할 때마다 우주는 수없이 갈라지며 새롭게 생겨나고 있다. 이 해석에 따르면 우주는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신세계 수학경시대회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지구에 살던 옛날 수학자와 얽힌 이야기였다.‘데카르트라는 사람이 이렇게 누워서 천장을 보다가 좌표평면을 생각해 냈다지? 그 사람도 뭐가 안 풀렸었나? 침대에 누워서 그런 생각이나 하고 있었다니….’순간 하림이 벌떡 일어났다.‘좌표?’어쩌면 문제를 풀 수 있을 것 같았다.하림은 다시 ... ...
- [Issue] 승용차 강판이 ‘쿠킹호일’입니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버스가 승용차에 올라타는 경우엔 방법이 없습니다. 차체에서 가장 약한 부분이 천장이기 때문입니다. 아무리 큰 차, 무거운 차를 탄다고 해도 조심해야 합니다. 자동 긴급제동 시스템(AEBS)은 무용지물?졸음운전은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닙니다. 정부는 자동긴급제동시스템(AEBS: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