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천문학자] 다 같이 돌자, 지구 한 바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계산한 지구의 크기는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값과 고작 2%밖에 차이 나지 않을 정도로 정확했어요. 여러분이 지금 비행기를 타고 전 세계를 누빌 수 있는 건 옛날부터 아리스토텔레스나 에라스토테네스 같은 학자들이 지구의 모양과 크기를 밝혀낸 덕이에요. 현대의 천문학자들은 지구를 넘어 ... ...
- [통합과학교과서] 신기술로 다리를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개발한 스웨덴 샬메르스 공학대학교 막스 오르티스카탈란 박사는 “카린은 실제 팔의 80% 정도 수준으로 손을 움직일 수 있다”며 “바닥에 떨어진 동전을 주워 유리병에 넣거나 캐리어에 짐을 꾸리는 등의 일상적인 일을 혼자서 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앞으로 손의 움직임을 더 ... ...
- 나무로 만든 인공위성이 온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 침엽수 목재는 ‘소프트 우드(softwood)’라고 불린다. 활엽수가 하드 우드로 불릴 정도로 목질이 단단한 이유는 내부에 지지대 역할을 하는 ‘목섬유’가 있기 때문이다. 침엽수는 가도관(수분의 통로이자 지지 역할을 하는 세포)이 전체의 90% 이상을 차지해 세포 구성이 단순하다. 반면, 활엽수는 ... ...
- 보행자가 된 로봇 같이 걸으실래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추가로 거칩니다. 이 프로는 “(사람과 마찬가지로) 로봇도 태어나서 적어도 한 계절, 1년 정도는 경험을 통해 학습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만약 로봇이 횡단보도를 건널 때 예상치 못한 사고로 제한 시간 내에 횡단보도를 다 건너지 못하면 어떻게 될까요. 김홍호 로보티즈 모바일로봇사업부 ... ...
- [시사기획] 의사의 눈, 과학자의 손으로... 의사과학자가 걷는 길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정밀하게 진단하는 플랫폼을 만들었다. 한 사람의 유전체는 백과사전 1000권 분량에 달할 정도로 방대하다. 그런데도 오늘날 유전체 검사 비용은 20년 전과 비교해 약 100만분의 1 수준이다. 환자의 유전체를 통째로 들여다보는 비용이 크게 낮아진 것이다. 주 교수는 “연구실에서 사용하던 암 환자 ... ...
- [과동키즈] “꿈이 있다면, 자신을 믿고 도전하세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내가 이 분야를 선택한 이유는 몇 가지가 있다. 먼저 거대한 시설로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입자를 연구한다는 사실이 멋졌다. 또 다른 이유는 대학원 진학 직후 발표된 한국형 중이온가속기 건설 계획이었다. 입자를 엄청난 에너지로 가속하는 가속기 시설은 핵물리 실험에 꼭 필요하다. ... ...
- 살살 녹는 고기의 비밀은 방정식으로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느끼는 맛과 냄새를 종합한 향미를 27%, 씹을 때 육즙이 나오는 정도인 다즙성을 18% 정도 반영해 고기의 맛을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소고기 맛 점수를 계산하는 식을 만들었다. 이 식을 통해 구한 맛 점수를 횡성 축협과 김해 축협에서 판매하는 1등급 이상 한우 10개 부위 ... ...
- 팬케이크 맛있게 굽는 반죽 비율수학동아 l2024년 01호
- 갇혀 있던 수분이 벽을 뚫고 증발하면서 커다란 구멍이 생겼다. 반면 베이커 비율이 225 정도인 질은 반죽을 구웠더니 얇게 퍼지면서 가장자리에서 수분이 많이 날아가 타버렸다. 연구팀은 베이커 비율이 약 175일 때 팬케이크가 가장 맛있게 구워진다는 것을 실험으로 알아냈다. 반죽이 적당히 ... ...
- 수학자는 동물을 사랑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하지만 오리가 아니라고 하기에는 너무 오리같이 생긴 것이다. 이처럼 구별되지 않을 정도로 비슷할 때 같은 종인지 아닌지 판단할 방법이 있을까? 1969년 일본 이론물리학자 사토시 와타나베는 공통점만으로 종을 분류할 수 있는지 알아봤다. 보통 두 개체에서 공통점을 찾으면 유사하다고 보고, ... ...
- 인간 나이로 몇 살일까? 반려견 나이 변환 공식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아니라 침팬지와 쥐, 늑대, 강아지도 후성유전학 시계를 따른다. 즉 강아지도 DNA 메틸화 정도로 생물학적 나이를 가늠할 수 있다. 하지만 생물마다 시계가 얼마나 빨리 움직이는지는 차이가 있었다. 연구팀은 인간처럼 아프면 병원도 다니며 건강관리를 받는 반려견의 후성유전학 시계를 조사했다.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