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공"(으)로 총 2,19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동키즈] 한국 첫 거래소에서 탄소 사고 팝니다과학동아 l2022년 10호
- 화학, 자동차, 반도체, 식품 등 여러 산업분야 중 화학산업을 맡았다. 학교에서 배운 전공 지식은 화학공학 기업의 사업 내용을 파악하고 재무 분석을 할 때 큰 도움이 됐다.그는 잘 나가는 애널리스트였다. Fn가이드 화학 부문 애널리스트 1위, 톰슨로이터 화학 부문 애널리스트 아시아지역 1위 등 ... ...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아뇨, 그래도 이과가 무한동력은 못 만듭니다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요지는 디자인에도, 국어 사용에도 법칙이 있다는 겁니다. 이걸 당당히 어겨버리니 전공자들 눈에 대단히 거슬리는 거죠. 이과도 예외는 아닙니다. ‘무한동력’이란 말만 들어도 움찔하는 경향이 있거든요. 다양한 법칙이 난무하는 과학에서도 특히나 중요하게 여겨지는 ‘열역학 법칙’에 ... ...
- [사업가가 된 연구자] 영정사진 No, 실시간 LIVE로 세포를 보는 현미경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나누는 기준은 100년 전에 만들어진 건데, 지금 그게 중요하지 않습니다.”여러 분야를 전공자만큼 두루 잘 알아야 경쟁력이 있다는 의미다. “요즘은 과학의 발전 속도가 빨라 과거 20년 동안 일어났던 변화가 지금은 5년이면 끝나요. 한 번 받은 학위로 10년을 활동할 수 있는 시대는 지났다는 겁니다 ... ...
- [특집] 10년 뒤에도 개발자가 대세?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문화 확산 이후 개발자 인기가 폭발했다. 비전공자들까지 개발자의 길을 택할 정도니. 그런데 한편에서는 IT 붐이 일었다가 금세 사라졌던 ʻ닷컴버블’ 때처럼, 개발자 위상이 떨어질 거란 말이 나온다. 여기에 기술의 발전으로 미래에는 코딩하는 인공지능이 개발자를 대체할 수 있다는 의견도 ...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식물분류학자가 보낸 연애편지 '허태임 연구원'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내가 온전히 알고 사랑하기엔 어려운 존재인 걸까 하는 아득함도 느꼈죠.”허 연구원이 전공한 식물분류학은 식물의 작은 부분을 보고 먼 과거를 되짚어 가는 학문이다. 허 연구원은 “식물에는 지구에 적응해 살아오면서 생긴 형태가 제각기 다른 모습으로 남아있다”며 “사람을 알아가는 ... ...
- [슬기로운 세특 생활] 고려대 생명과학부에 입학한 건에 대하여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수 있었습니다. 이처럼 생명과학 기술에 큰 관심이 있음을 세특에 녹여냄으로써 저만의 전공적합성을 만들어낼 수 있었습니다. 세부능력및특기사항 GIS(과학반)A : 세 번의 과학 강연을 듣고 자신이 느낀 바를 성실히 감상문으로 작성해 제출함. 사이펀 물 펌프, 수소폭명실험, 앙금반응불꽃색을 ... ...
- [인터뷰] 논리적인 수학과 섬세한 베이킹의 만남, 조한빛 파티시에수학동아 l2022년 09호
- ’라고 말씀하셨어요. 하지만 이야기를 나눠보니 조 파티시에의 다양한 도전은 수학 전공자다운 철저한 분석과 끊임없는 고민으로 이뤄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답니다 ... ...
- [특집] 닷컴버블의 악몽, 지금 인기도 거품?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당근마켓, 토스뱅크의 줄임말로 국내 주요 IT기업을 이르는 신조어. 최근 공학 전공 대학생들에게 가장 취업하고 싶은 기업으로 꼽힌다. 부닷컴 : 세계 각국에 의류를 판매한다는 명목으로 1998년 설립된 부닷컴은 초기에 LVMH그룹, JP모건 등으로부터 막대한 투자를 받았지만, 기술적 문제에 부딪혀 ... ...
- [기획] 80억 마리가 사라졌다?! 꿀벌 대실종 사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위잉~! 위잉~!”봄을 맞아 요란한 소리를 내며 날아 다녀야할 벌들이 보이지 않습니다. 올해 초 전국 양봉 농가에서 키우던 벌 약 83억 마리가 사라졌기 때문이지요. 도대체 벌들은 왜 사라진 걸까요? 사라진 벌을 찾기 위해서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 ... ...
- [기획] 꿀벌, 어째서 감쪽같이 사라진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기온 변화도 벌의 수명에 영향을 줬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국농수산대학교 산업곤충전공 김혜경 교수는 “날씨가 추운 겨울에 벌과 같은 변온동물은 불필요한 에너지 사용을 줄이기 위해 대사량을 낮추는데, 이 과정에서 벌의 수명은 약 4개월로 길어진다”고 말했어요. 이어 “반대로 날씨가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