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음식물"(으)로 총 623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만? 설탕 잘못만은 아니야과학동아 l2015년 12호
- 2544kcal로 500kcal가 늘어 비만 인구 증가의 원인으로 꼽혔다. 하지만 곡물과 지방을 포함한 음식물 섭취량이 크게 늘었고, 설탕 섭취에 의한 열량은 거의 늘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연구팀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에서 발표한 2007~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자료 ... ...
- 식품 알레르기, 피하지 말고 먹어라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캐나다 매니토바대 엘리사 아브람스 교수팀은 유아기 때 특정 음식물을 섭취한 시기와 알레르기 발병률의 관계를 조사한 논문 38편을 분석해 이 같은 사실을 알아냈다. 한 예로 땅콩을 유아기 때 일찍 먹은 사람은 먹지 않은 사람보다 성인이 됐을 때 땅콩 알레르기가 ... ...
- Part 3. 몸은 메가이터가 될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골고루 사용한다. 잡식동물이라는 증거다.인간의 침 안에서도 증거를 찾을 수 있다. 음식물의 전분과 지방 일부는 침 안에 포함된 효소에 의해 분해된다. 전분은 육식동물이나 반추동물은 잘 먹지 않고 잡식동물이 주로 섭취하는 영양소다. 토끼, 말 같은 비반추 초식동물의 침에도 이 효소가 있지만, ... ...
- [생활 SW가 펼치는 상상의 세계➑] 세상을 바꾸는 프로그래밍, 해카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버리지 않아서 손해를 보지 않아도 되고, 고객은 더 싼 가격에 음식을 살 수 있어서 좋다. 음식물쓰레기도 줄일 수 있다. 삼각김밥을 싸게 사려고 편의점에 온 고객이 음료수나 컵라면까지 함께 산다면 마케팅 효과도 누릴 수 있다. 이렇게 실제로 쓸 수 있는 수준의 SW를 대회 현장에서 만드는 것이 ... ...
- 호모 에렉투스, 요리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속에 들어 있는 당과 아미노산 화합물 사이에 일어나는 화학 반응이에요. 대부분의 음식물에는 당(탄수화물)과 아미노산(단백질)이 들어 있어요. 따라서 거의 모든 음식에 열을 가하면 마이야르 반응이 일어나면서 갈색을 띠는 화합물과 수많은 향 물질들이 만들어져요. 그 결과 식품의 빛깔이 ... ...
- [Life & Tech] 산(酸), ‘풍요의 시대’ 연 식품계의 일등 공신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주로 미생물에 의한 분해 반응)에 의해 그 맛과 향, 형태가 완성된다. 심지어 우리 몸이 음식물을 소화하고 에너지와 영양분을 얻는 과정 자체도 화학 반응이다. 효소가 탄수화물을 당으로 분해하는 과정, 단백질을 위 안에서 산과 효소의 작용으로 잘게 부수는 과정이 대표적이다.20세기의 ... ...
- 치아 만드는 유전자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단단한 조직인 법랑질로 덮여 있어서 입 안에 들어온 음식물을 잘게 씹고 부순답니다. 음식물이 식도를 타고 위에 들어가기 전에 소화하기 쉽도록 만들어 주지요. 또 여러분이 말할 때 정확한 발음을 할 수 있도록 도와 줘요. 특히 치음인 [ㅅ], [ㅈ], [ㅆ], [ㅉ], [ㅊ]은 우리가 없으면 발음하기 ... ...
- [과학뉴스] 현생 인류가 턱 가진 이유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네안데르탈인이나 다른 영장류와 달리 유독 앞으로 돌출된 턱 끝을 갖고 있다. 이는 음식물을 씹을 때 얼굴뼈를 지지하기 위해진화한 결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런데 최근 턱뼈에 이런 역학기능이 없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미국 아이오와대 치과교정학과, 인류학과 공동 연구팀은 씹을 때 턱뼈가 ... ...
- Part 3. 강함을 배운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달린 것과 같은 긴 부리를 갖고 있다. 부리를 반복적으로 열고 닫으면 부리 입구에 있던 음식물이 조금씩 부리 안쪽으로 이동한다. 연구팀은 넓이가 10cm, 길이가 26cm인 두 유리판을 경첩으로 연결한 ‘인공 부리’를 안개가 낀 곳에 두고 네 숟가락 정도의 물을 수집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를 수행한 ... ...
- [과학뉴스] ‘치맥 했구나?’ 식단 감시하는 목걸이 탄생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발생하는 진동을 측정해 데이터를 스마트폰에 전송한다. 스마트폰은 이 데이터를 분석해 음식물의 종류와 양을 알아맞춘다. 정확도는 80~90%로 높은 편이다. 특히 고체와 액체는 87%, 뜨거운 음료와 상온의 음료를 90% 정확도로 구분할 수 있다.연구팀은 스마트폰을 이용해 사용자가 하루 목표 섭취량을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