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체"(으)로 총 722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KWMS-엔씨문화재단 젊은여성수학자상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이영애 교수: 해석학 분야 중에서 편미분 방정식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전자기 현상, 유체역학, 양자역학 같은 자연 현상을 기술하는 데 쓰이지요. 금융수학이나 기하 같은 다양한 분야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도 합니다. 양자역학의 비선형 슈뢰딩거 방정식, 고온 초전도체 현상에서 나온 천-시몬스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꿈과 자부심으로 원자핵공학 한 길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것을 알게 된 뒤 고등학교 교과과정에서 플라스마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전자기학과 유체역학에 관련된 지식을 쌓았다. 김 씨는 “내가 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최대한 전공과 연관된 활동을 하려고 노력한 점이 합격에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주 5시간 스터디로 면접 준비 - 18학번 ... ...
- [서울대 공대] 조선해양공학과, 72년의 역사 ‘세계 최고’의 자부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는 학부 1~2학년에서는 4개 분야의 기초가 되는 수학, 물리학, 유체역학과 구조역학 등의 기초 과목을 가르친 뒤 3학년부터 자신이 흥미를 느끼는 분야를 선택해 심화 학습을 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을 설계했다. 김 학과장은 “조선해양공학은 ‘시스템 학문’”이라며 ... ...
- Part 1. 중력부터 마찰력까지, 현실 같은 물리 엔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사용할 수 있지만, 물 같은 액체는 그렇지 않다”면서 “물이 흐르는 현상을 나타내는 유체역학이나 옷이나 깃발이 나부끼는 현상을 표현하는 함수에는 미적분방정식 등 복잡한 수식이 들어 있다”고 말했다.컴퓨터는 0과 1만 사용해 연산하는 만큼 수식에 곱셈과 나눗셈이 많이 들어 있을수록 연산 ... ...
- [재학생 인터뷰] 조선해양공학 승선하고 미래 엔지니어로 출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진행하는 슬로싱 실험을 체험하면서 큰 흥미를 느꼈다.슬로싱이란 용기에 저장된 유체가 움직이면서 저장 공간의 벽면에 충격을 주는 현상을 말한다. 액화천연가스(LNG)를 운반하는 선박은 영하 164도의 극저온으로 액화시킨 천연가스를 저장탱크에 실어 운반하는데, 그 과정에서 슬로싱 현상이 ... ...
- Part 2. 메가기둥 구조로 중력을 거스르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밝혀낸 베르누이 정리를 이용해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다. 베르누이 정리는 바람과 같은 유체가 넓은 통로에 비해 좁은 통로를 지날 때 속도가 빨라지며 압력이 감소한다는 정리다. 굴뚝효과로 인해 생기는 바람의 압력은 어떻게 줄일 수 있을까? 크게 2가지 방법이 있다. 첫 번째는 상승 기류가 ... ...
-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파악됐다. 물이 직접 단층에 주입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결과다. 즉, 지열발전을 위한 유체 주입정과 생산정이 우연의 일치로 단층을 관통해 건설됐고, 여기에 주입한 물이 단층에 주입되면서 포항지진이 유발됐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스위스-독일 연구팀, 유발지진 가능성 주장우리 ... ...
- 어느 수학자의 하루 - 커피, 맥주, 거품, 소음수학동아 l2018년 06호
- 가라앉는다는 것은 거품이 빨리 줄어든다는 뜻이다. 따라서 거품이 가라앉는 정도도 유체의 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물론 액체에 따른 특성은 고려해야 한다. 맥주는 끈끈한 점성이 있기 때문에 그에 맞는 변수를 이용해 모형을 만들어야 한다. 리 교수팀은 여기에 거품이 움직이는 속도와 방향 등을 ... ...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물질로 밀도는 액체와 유사하지만, 기체처럼 확산한다. 이 책임연구원은 “초임계 유체의 온도, 활동, 산성도(pH) 변화등의 데이터를 모아 통계모델을 만든다면 백두산 분화 위험을 경보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며 “땅 속에 있어 눈에 보이지 않는 마그마방을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 ...
- 인공어초 파헤치기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만든 뒤에는 어떻게 설치해야 할까요? 이 답을 찾으려면 해양물리학, 토목공학, 생물학, 유체역학 같은 다양한 분야의 지식이 쓰입니다. 수학도 빼 놓을 수 없고요. 그럼 바닷속에 어떤 수학이 잠겨 있는지 함께 들어가 볼까요? 인공어초는 어떻게 만들지?우리나라 최초의 어초는 1971년에 만든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