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동체
액체
유형
동체
d라이브러리
"
유체
"(으)로 총 722건 검색되었습니다.
Step2. 대기오염 물질의 흐름을 예측하라!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영국의 수학자 조지스토크스가 고안했습니다. ‘F=ma’라는 뉴턴의 운동 제2법칙을
유체
에 작용하는 요인에 따라 잘게쪼개서 나타낸 미분방정식이죠. (미분방정식 :시간에 따른 변화를 알고 싶을 때 쓰는 방정식) 그렇다면 오염 물질의 이동과 농도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 ...
[수학뉴스] 정자 꼬리의 비밀 수학자가 풀다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사람의 정자는 ‘망토’라 불리는 외층이 꼬리를 감싸고 있으며 이 망토가 젤리와 같은
유체
장벽을 통과하고 헤엄쳐갈 수 있는 추가적인 힘을 준다는 것이지요.정자 꼬리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분석하기 위해 두 사람은 가상의 정자 모형을 만들었습니다. 인간의 정자와 다른 동물의 정자를 ... ...
[SW 진로체험]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영상만든다!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나누죠. 장면을 연속적으로 연결해 렌더링하면 물의 영상이 만들어집니다. 물 같은
유체
의 경우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을 주로 사용합니다.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은 액체나 기체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편미분 방정식입니다. 아직 해를 찾지 못한 난제지만, 해의 근삿값을 구하면 현실과 ... ...
[수학미술관] 디즈니 애니메이션 만드는 마법 수학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운동은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뉴턴의 제2 법칙(F=ma)을
유체
에 맞게 변형한 방정식입니다. 문제는 아직 정확한 답을 구할 방법을 알아내지 못한 것이죠. 이에 조지프 테란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UCLA) 교수팀은 ‘APIC’라는 알고리듬을 만들어 ... ...
[수학뉴스] 거대 파도가 일어나는 원인, 수학으로 찾다
수학동아
l
2019년 03호
시뮬레이션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무어 교수는 플로리다주립대의 지구물리
유체
역학연구소 케빈 스피어 소장과 함께 불규칙한 바닥면을 가진 긴 수로를 만들고 모터를 이용해 무작위로 일으킨 수천 개의 파도를 분석하며 특정한 패턴이 나타나는지 알아봤습니다.그 결과 파도가 ‘감마 ... ...
너무 빨리 움직이는 자북, 이러다 혹시 지자기 역전?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그 열로 주변이 데워지면서 밀도가 낮아져 위로 올라가고, 상대적으로 차가운 위쪽의
유체
는 아래로 움직여서 대류 현상이 일어난다. 외핵에 있는 무거운 원소와 가벼운 원소가 대류하기도 한다.함량이 아주 작지만 외핵에는 방사성 물질도 있다. 방사성 동위원소가 붕괴하면서 나오는 열로 또 다른 ... ...
스티븐 호킹 서거 1주년, 먼지가 된 호킹과의 대화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편집자주. 최근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팀이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가 음의 질량을 갖는
유체
라는 새로운 이론을 발표하기도 했다. 연구팀은 2022년부터 그 이론을 실험적으로 검증할 계획이다. doi: 10.1051.0004-6361.201832898) Q. 그렇다면 음의 에너지는 지금 어디에 있는 거죠?우주 공간 전체에 ... ...
[수셰프 피터팍의 맛있는 수학] 스파게티 면 난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스파게티 면은 절대 2조각이 될 수 없었던 거죠. 오돌리는 이런 현상을 이상적인
유체
에서 단단한 물체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키르히호프 방정식’을 통해 설명하고 ‘반동 효과’라고 불렀습니다. 자, 이로써 스파게티 면은 절대 2개로 쪼갤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군요. 하지만 정말 그럴까요 ... ...
[과학뉴스] 스스로 움직이는 식물 ‘엘로완’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마에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미디어연구소
유체
인터페이스연구실 교수와 하프릿 사린 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스스로 움직이는 식물 ‘엘로완’을 개발해 2018년 12월 7일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태양을 따라 움직이는 해바라기처럼 식물은 빛에 반응한다. 빛의 변화가 감지되면 식물은 잎과 ... ...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덮고 있는 부드러운 솜털 또한 소음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는 연구결과를 2013년 ‘
유체
역학 저널’에 발표했다. doi:10.1017/jfm.2013.139 특히 이 솜털은 날개깃과는 다른 방식으로 소음을 억제했다. 보통 소음을 줄이기 위해서는 공기가 지나가는 표면이 매끈해야 한다. 표면이 거칠면 공기의 흐름 또한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