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차"(으)로 총 807건 검색되었습니다.
- [핫이슈] 75t급 엔진 비행 성공! 누리호 시험발사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더 많이 흔들릴 수 있기 때문에 자세를 제어하는 기술도 필요하지요. 또 1, 2, 3단을 오차 없이 정교하게 조립하는 기술도 필수적이랍니다.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 고정환 본부장은 “우주발사체는 낮은 *추력을 가진 엔진 여러 개를 묶는 방식(클러스터링)과 고출력의 엔진 하나를 쓰는 방식으로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코딩로봇으로 화재현장에서 대피하라! 뚜루뚜루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로봇을 개발하고 있어요. 긴급한 상황에서 오작동 없이 로봇이 움직이기 위해선 한 치의 오차도 없는 소프트웨어가 기본이에요. 이런 소프트웨어는 ‘코딩’을 통해 만들어진답니다. 코딩은 원하는 작업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바꾸는 걸 말해요. “뚜루뚜루에게 정보를 입력하는 ... ...
- [해외취재] 아리안5에서 엑소마스까지…. 유럽 우주 개발 현장 탐방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SBAS 기술팀 이은성 책임연구원은 “KASS를 이용하면 기존의 GPS 오차의 10분의 1 수준으로 줄일 수 있다”며 “보다 정확한 위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답니다. [해외현장 취재 ➍] 엑소마스 로버 출격 준비! ESSP가 있는 B612 건물에서 차로 수 분만 ... ...
- 단위계 ‘프랑스 혁명’ 국제도량형총회 르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시간을 매우 정교하게 측정해야 한다. 만약 위성 시계마다 1초를 재는 데 100만분의 1초의 오차가 발생할 경우, 사용자가 받는 위치정보는 300m나 틀리게 된다. 다른 하나는 길이나 무게 등을 재는 자가 시간이 흐르면서 변질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과거 미터를 측정하는 기준이었던 국제미터원기는 ... ...
-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22m, 폭 20m에 이르는 이 장비는 한국 회사인 SFA가 제작했다. 거대 중장비임에도 불구하고 오차 범위 2mm 이하의 매우 정밀한 기계 제어가 가능해 회원국들의 큰 주목을 받았다. 지난해 연말에는 효성그룹이 제작한 세계 최고 성능의 변압기 2대가 ITER 전원빌딩에 설치됐다. 연말까지 이곳에는 총 32대의 ... ...
- NASA 60주년, 달부터 화성까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10배 이상 빠르게 비행하는 우주선 두 대가 궤도를 일치시키고 가깝게 접근한 뒤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연결돼야 하는 고난도 비행술이었다.NASA는 지구 궤도에서 랑데부와 도킹을 훈련하는 ‘제미니 계획(Project Gemini)’부터 시작했다. 케네디 대통령의 달 탐사 선언 5년 뒤인 1966년 3월 16일, 제미니 ... ...
- [팩트체크] 리만 가설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사이의 오차를 나타낼 수 있는 식을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 식에서 오차를 계산하려면 제타 함수의 함숫값이 0이 되는 지점을 전부 알아야 했거든요. …-6, -4, -2 같은 짝수인 음의 정수인 지점에서 함숫값이 0이 된다는 사실은 밝혔지만, 제타 함수의 정의역에는 a+bi 같은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북극 온난화의 지표, 해빙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또한 북극해는 인류의 발길이 쉽게 닿지 않는 지역이기 때문에 관측 자료가 부족해 오차를 수정하기도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구시스템 모델은 해양의 식물성 플랑크톤 분포 및 영양염 분포 시뮬레이션에서 좋은 결과를 내고 있습니다. 덕분에 세계 각지에서 기후변화에 따라 해양 ... ...
- Part 4. 독자 위성항법시스템 개발 각축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도심에서 위치 정보를 안정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위성항법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보상해 주는 ‘SBAS(위성 기반 보강 시스템)’의 증가도 위성항법시스템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한몫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도 독자 기술로 위성항법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을까. 현재 국내에서도 ... ...
- 빛의 속력으로 정의한 ‘완벽한 단위’ 미터과학동아 l2018년 10호
- 0.5 mm~1000 mm)의 게이지 블록(gauge block)을 측정 표준으로 사용한다. 게이지 블록의 길이 오차는 수십에서 수백 나노미터(nm·1 nm는 10억 분의 1 m)에 불과하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는 광학 간섭계를 이용해 이런 게이지 블록을 측정하고 있다. 강 책임연구원은 “표준을 유지하고 향상시키는 것은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