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차"(으)로 총 807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후변화를 늦추려는 세계의 노력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오차가 I의 오차보다 월등히 크다면, I를 줄이는 게 효과적이지 않을 수도 있어. H와 C의 오차의 크기만큼 줄이는 게 더 쉬울 수 있거든. 또 한 가지 더 생각해볼 게 있어. 세계적인 경제 위기가 와서 산업, 가정, 공공부문 모두에서 인간 활동이 줄어 탄소 배출량이 줄었다면, 결국 총 배출량도 줄어. 즉 ... ...
- 2040년 로봇을 예측하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내 물건이 늘 같은 상태로 놓여 있는 게 아닌 만큼 로봇 입장에서는 오차가 발생하죠. 오차를 수mm 수준으로 줄여야 상용화할 수 있습니다. 사람과 상호작용하기까지는 더 오랜 시간이 걸리겠네요? 지능 로봇의 상호작용 기술은 여러 종류의 로봇 중에서도 가장 늦게 완성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 ...
- 지구를 위한 수학수학동아 l2020년 01호
- 관측한 수치와 비슷하게 예측하는 모형에 가중치를 둬서 통합수치를 얻었지. 그 결과 오차를 크게 줄일 수 있었어. 수학자와 통계학자, 기후과학자들이 모여 만들어낸 결과였지.이 모형을 사용한 결과, 산업화 이전 대비 기온이 1.5℃ 오르면 9월의 북극 해빙이 완전히 사라질 확률이 6%였어. 2℃나 ... ...
- 알고 리의 나 혼자 산다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연구를 하고 있어요. Q‘영상 추천을 잘한다’의 기준은 무엇인가요?‘평균 제곱근 오차(RMSE)’라는 지표를 사용해요. RMSE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알고리듬이 예측한 값과 실제 환경에서 관찰하는 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인데, 낮을수록 추천을 잘한다고 판단하죠. 왓챠 플레이는 다른 영상 추천 ... ...
- [통합과학교과서] 이 하늘에서 떨어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해안 경비대 등 더욱 정밀한 위치 측정이 필요한 곳에서는 GPS 수신기를 하나 더 사용하여 오차를 1m까지 줄인 ‘DGPS’ 같은 기술도 쓰인답니다. 통합과학 넓히기 : 나침반이 가리키는 북극이 점점 바뀌고 잇다?! 나침반의 N극은 어디를 가리킬까요? N극의 ‘N’은 북쪽이라는 뜻의 단어 ‘north’에서 ... ...
- 백골 시체의 조용한 아우성 치아가 알려주는 진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44.5cm, 경골은 36cm였다. 뼈로 신장을 추정할 때는 ‘1.26×(대퇴골 길이+경골 길이)+67.09cm(오차범위 ±3.74cm)’라는 공식을 쓴다(과학동아 6월호 ‘검시관의 사건 노트’ 참조). 만약 사건 현장에서 다리나 팔의 뼈 중 일부만 발견될 경우 각 뼈의 종류에 따라 공식을 조정해야 한다. 공식을 이용해 ... ...
- 878초냐, 888초냐 중성자 수명 10초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9년 11호
- 2초는 통계적인 오차이며, 1.9초는 실험의 불확실성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의미한다. 이 두 오차를 감안하더라도 병을 사용해 얻은 값과는 완전히 다른 값이다. 게다가 2013년에는 양측의 평균수명 차이가 8~9초였는데, 2018년에는 10초까지 벌어졌다. 문제는 이 두 실험 모두 상당히 정교하게 이뤄져 어느 ... ...
-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정크 단백질’을 분해하라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등 생명체 유지에 필수적인 단백질은 100억 개에 이른다. 유전자 2만여 개가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정확하게 작동하면 좋겠지만, 간혹 염기서열의 전사 과정에서 오류가 생겨 비정상적인 단백질이 만들어진다. 또 외부 환경의 영향으로 단백질 구조가 바뀌는 경우도 생긴다. 이 때 우리 몸은 ... ...
- 수학으로 무장한 조선의 천문학자수학동아 l2019년 08호
- 놀랍도록 정확하고 말이오. 김담 칠정산이 없었을 때는 중국의 역법을 그대로 사용해 오차가 심했소. 날짜가 틀리다 보니 기후에 민감한 농사를 잘 짓기가 매우 어려워 백성들이 힘들어 했었지요. 이순지 칠정산외편도 만들었지 않소. 아랍의 역법을 면밀히 분석해 우리 실정에 맞게 말이오.김담 ... ...
- 아폴로 11, 연습만이 살 길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것이 문제였다. 과학자들은 정밀하게 계산했지만, 이 사실을 인지하지 못해 0.32초의 오차가 생겼다. 불과 1초도 되지 않는 사소한 차이였지만, 이는 예상 착륙 지점이 수백 m 달라지는 결과를 불렀다a. 당초 평평한 지대인 고요의 바다에 착륙하려고 했지만, 정작 착륙선이 도착할 곳은 그보다 서쪽의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