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태"(으)로 총 2,5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민과학콘] 지구사랑탐사대 2023년 11기 모집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교육 일정 공지를 확인하세요. 온라인 강연을 통해 생태 전문가가 탐사 방법을 알려드려요. 영상과 가이드북으로도 탐사 방법을 배우세요. 3 탐사하기집 주변이나 배정받은 구역에서 탐사를 진행해 주세요. 직접 찍은 생물종 사진과 데이터를 팝콘플래닛 앱에 기록해 주세요 ... ...
- [이그노벨상] 똥과 오줌의 과학에 용감히 뛰어들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있는 모습으로 파악하고 연구를 시작한다. 빅터 베노 마이어-로쇼프 핀란드 오울루대 생태유전학과 교수가 요제프 갈 연구원과 함께 쓴 남극 펭귄들의 배변 습관을 분석한 논문이 한 예다. 2003년 국제학술지 ‘극지 생물학’에 실린 이 논문은 2005년 이그노벨 유체역학상을 수상했다. “강연에서 ... ...
- [시사기획] 인류 80억명, 인구 위기는 다가오고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그것보다 훨씬 크다면, 아프리카 국가의 출산 제한보다는 선진국의 소비 제한이 지구의 생태에 더 이로울 지도 모른다. 내털리 카넴 유엔인구기금(UNFPA) 사무총장이 말했듯, “인구가 너무 많아 자원이 부족한 상황을 우려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인구 자체가 두려움의 원인은 아니다”. 결국 ‘8 ...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의 보이지 않는 조그만 일꾼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전국을 돌아다니며 버섯을 비롯한 아름다운 자연의 모습을 사진 속에 그려내는 청년 생태사진작가. 한국농수산대학 버섯학과와 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를 졸업한 후 국립수목원에서 근무했으며, 현재 야생버섯을 공부하며 대학원 진학을 준비하고 있다 ... ...
- [현장취재] 지구사랑탐사대 10주년! 2022 시민과학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참여자들은 긴꼬리귀뚜라미와 맹꽁이 등의 울음소리를 듣고 어떤 동물인지 맞히며 생태를 배웠어요. 이어 시민과학자 8팀이 참여한 3분 스피치가 마련됐습니다. 닥터구리 팀 최윤정 시민연구원은 수원청개구리 연구에 참여하면서 세계적인 동물학자 제인 구달 박사님을 만날 수 있었던 이야기를 ... ...
- [광고] 담수생태계 보호와 생물자원 보전을 위해 노력하는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발굴한 생물종은 생물의 이름을 확인하는 ‘동정’ 과정을 거쳐요. 이후 생태 및 개체 수 등의 다양한 자료를 기록하고, 표본을 만들어 수장하지요. 담수생물 전시·교육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단지 연구 목적의 동정, 수장을 하는 데 그치지 않아요. 생물 표본을 전시하고, 교육을 통해 ... ...
- [지구사랑 탐사대]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단풍탐사장유준 대원 동고비 팀탐사 생물 양버즘나무발견 위치 - 하정주 매니저더 좋은 기록을 위해 위치 정보를 함께 기록해 주세요! 단풍탐사정인혁 대원 온새미로 팀탐사 생물 느티나무 발견 위치 경기 안산시 하정주 매니저인혁 대원은 꾸준히 같은 나무의 단풍 변화를 기록해 ...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전설의 버섯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저는 이렇게 야생에 숨겨진 버섯의 아름다운 모습을 사진으로 담고 있는 생태사진작가 박상영이라고 합니다. 이번 호부터 제가 직접 촬영한 야생버섯들의 신비로운 매력을 알려드릴게요. 앞으로 15일 자마다 찾아올 , 기대해 주세요! 버섯의 매력에 빠져 봐!저는 ... ...
- [특집] 2022 과학으로 분석한다 카타르 월드컵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1호
- 두근두근, 카타르 월드컵 개최가 한 달도 안 남았어요. 당당하게 지역 예선을 통과한 우리나라 국가대표팀도 본선을 치를 예정이죠. 이번 월드컵엔 평소와 다른 점이 많다는데요. 알고 보면 더 재밌는 월드컵,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2022 카타르 월드컵 백 배 즐기기!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 ...
- [어린이 과학동아 출동! 기자단] 이웃의 동물들과 공존하는 방법은? 야생동물 구조관리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1호
- 도로를 일곱 번이나 건너야 하는 거죠.”야생동물이 안전하게 도로를 건널 수 있는 생태통로의 필요성에 고개를 끄덕인 대원들은 창문 유리에 점을 찍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해영 선생님은 “유리에 비친 자연 풍경 때문에 새들이 날아가다 창문과 충돌하는 사고가 일어난다”며 “유리에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