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합
랑데부
d라이브러리
"
만나기
"(으)로 총 35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영화로 보는 화성 탐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0호
사실을 안다. 그리고 아레스 3 탐사대원들이 나를 데리러 화성으로 오고 있다. 그들을
만나기
위해 스키아파렐리 분화구로 가야 한다. 그곳은 지금 내가 있는 아시달리아 평원으로부터 3200km나 떨어져 있다. 그 먼 곳까지 어떻게 가지?마크 와트니는 어떻게 스키아파렐리까지 갔을까?우리가 살고 있는 ... ...
지사탐, 탐사기록 5000개가 우르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3호
그런데 귀화식물 탐사를 진행할 때 꼭 함께 해 줘야 할 것이 있어요. 그건 바로 ‘다시
만나기
’! 귀화식물을 발견한 장소에 적어도 1달에 한 번씩 방문해 귀화식물이 어떻게 자라고 있는지 살펴보세요. ‘귀화식물이 있다’는 정보보다, 귀화식물이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아는 것이 더 ... ...
대나무 없인 못 살아! 판다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3호
정말 싫어! 우리 판다들은 수가 너무 적어서 대나무숲을 하루 종일 돌아다녀도 친구 하나
만나기
어려워. 이제 혼자 있는 것은 지긋지긋한데, 무슨 방법이 없을까? 나 좀 도와 줘~!도심에 판다 떼가 나타났다!“판다다! 판다가 나타났다!”5월 24일, 서울시청 앞 잔디광장에 수백 마리가 넘는 판다 ... ...
[Knowledge]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밑이라….’ 다리 밑에서 만나자니. 무슨 밀수 현장도 아니고…. 이런 장소에서 취재원을
만나기
로 한 건 처음이었다. 주소도 없었다. 내비게이션으로 검색해 보니 ‘안성천교’라는 이름을 가진 다리가 무려 네 개였다. 취재원으로부터 위성사진이 담긴 지도를 받았다. 다행히 내비게이션에 나오는 ... ...
수원청개구리가 사라지고 있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실제론 청개구리인 경우가 많아요. 수원청개구리와 달리 청개구리는 개체수가 많아
만나기
도 쉽고 노랫소리도 잘 들리거든요. 두 종은 사는 곳도 살아가는 모습도 비슷한데, 왜 수원청개구리만 멸종위기종이 됐을까요? 수원청개구리는 왜 사라지고 있을까?수원청개구리가 멸종위기종이 된 ... ...
따뜻한 피를 가진 빨간개복치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없거든요.저는 주로 하와이나 서아프리카 쪽에 살고 있기 때문에 한국의 친구들은 저를
만나기
어려울 거예요. 또 우린 주로 육지에서 먼 바다 50~500m 깊이의 심해에 살고 있답니다. 수면 쪽으로는 잘 올라오지 않지요. 그래서 우리가 주로 살고 있는 지역이라고 해도 사람들이 낚시로 우리를 잡긴 ... ...
신나는 지사탐 활동 시작!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경기 안산시에서 열린 현장교육에서는 지난해 막 성체가 된 어린 수원청개구리를 잔뜩
만나기
도 했지요. 장이권 교수님과 함께 수원청개구리 연구를 하고 있는 서울대 아마엘 볼체 연구원은 “수원청개구리는 위에서 보면 머리 앞쪽이 V 형태를 이루고, 발가락 끝까지 초록색을 띠고 있다”고 ... ...
[Info] 북극에 특이한 공생생물이 자라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라디오존데를 직접 띄워보기도 했고, 노르웨이와 중국 기지를 견학하며 현지 연구자와
만나기
도 했다. 강 군은 “라디오존데로 측정한 자료를 다른 팀과 공유한다는 점이 인상적이었다”며 “서로가 유익한 정보를 공유해서 상생하는 것이 인류를 위하는 과학자의 자세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
[참여] 수학의 신대륙을 찾아서 신일고 Math Pioneer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동아리 ‘Math Pioneer’ 학생들을
만나기
위해 서울 신일고를 찾았다. 수학독서활동부터 수학축전, 수학연구보고서, 수학 영재캠프까지….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통해 수학의 신대륙을 찾아 탐험하는 이들의 이야기를 들어 보자.‘Math Pioneer(매스 파이오니어)’를 만난 지난 8월 18일은 신일고의 ... ...
[지식]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동시에 나타나는 해는 13과 17의 최소공배수인 221년이다. 즉 221년 동안 딱 한 번만
만나기
때문에 서로 같은 종끼리 번식하기에 유리하다는 것이다.하지만 단 여섯 종의 사례로 모든 매미가 이 주기를 따른다고 할 수는 없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북아메리카와 달리 매년 여름마다 매미를 볼 수 있다.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