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합
랑데부
d라이브러리
"
만나기
"(으)로 총 35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매스미디어_라플라스의 마녀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사건이 일어난다. 미즈키 치사토와는 전혀 관련 없는 영화배우, 나스노 고로가 제작진을
만나기
위해 인적이 드문 야산에서 혼자 기다리다가 황화수소 가스에 질식해 죽은 것이다.나카오카 형사와 아오에 교수는 두 사건 사이의 연관성에 주목한다. 두 사건 모두 ❶영화계 관련자가 ❷평소 화산가스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등대와 어느 개미굴로 날아가는지 정확히 알 수 없는 130신호뿐이었다.우리는 외계인과
만나기
를 바라고 있을까? 항성 간 여행의 자유를 어느 정도 확보한 지금에 와서 그 문제는 무의식 수준으로 외면당하고 있었다. 더 현실적인 문제, 거주 가능한 행성 및 자원의 확보와 우주 전쟁이 더 급하기 ... ...
[재미] 킹앤카_제26화 오랜만에 만나도 즐겁다!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KAIST와 포스텍의 학술교류세미나가 열리는 날이다. 방학이라
만나기
힘들었던 수학문제연구회 학생들은 세미나 참석차 간만에 모일 약속을 잡았다. 약속 시간보다 먼저 도착한 준용이는 스마트폰 게임을 하며 친구들을 기다리고 있다. 한 스마트폰 게임 캐릭터의 능력치는 공격력과 공격 속도로만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체험활동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만날 수 있습니다.정전에서 만난 세 가지 관문을 모두 넘었나요? 현존하는 어진을 모두
만나기
위해 단 두 관문이 남았습니다. 다음에는 어떤 어진을 만나게 될지 기대해 주세요 ... ...
[지식] 인터뷰_이훈희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만나는 게 쉽지 않아요. 다음 주에 일본을 가는 이유도 새로운 연구와 관련된 수학자를
만나기
위해서입니다.새로운 연구 주제는 무엇인가요?일본 교토대에 있는 프랑스 수학자와 함께 양자정보학을 연구하려고 합니다. 양자현상이 발생하는 통신 시스템을 써야 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아요. ... ...
[특별기획] 2016 태국 탐사대 따뜻한 겨울 바다에서 자연을 배우다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말했다. 따뜻한 바닷물에 안겨 동식물을 실컷 탐사한 대원들은 다음 날 ‘인어공주’를
만나기
위해 리봉 섬으로 향했다.‘인어공주’와 바다 살리는 해초 심기 프로젝트리봉 섬은 듀공이 좋아하는 해초가 풍부하다. 섬 끝자락에 있는 약 111m 높이의 바투부대 언덕에서는 해초를 먹으러 오는 듀공을 ... ...
[Career]도전! 유니스트 12 ‘촉매’처럼 사람들을 이어주는 연구자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계획은 부실한 경우를 종종 보기 때문이다. 김건태 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를
만나기
전에도 그런 마음이 조금은 있었다. 최근에 연달아 좋은 성과를 내서 연구 의욕도 조금 떨어져 있지는 않을까. 그래서 정상적인 인터뷰라면 마지막쯤에 할 질문인, 앞으로의 계획을 먼저 물었다.연구에 ... ...
[소프트웨어]웰컴 투 게임카페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오늘 함께 이야기하려는 게임은 핀란드의 로비오 엔터테인먼트가 만든 ‘앵그리버드’예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눈썹이 V자에 부리를 삐죽거리는 화난 새들이 나옵니다. 알을 훔쳐 ... 피어오르던 김이 사라졌네요. 다음에는 더 맛있는 음료와 함께 더 재미난 이야기로
만나기
로 해요 ... ...
오늘은 내가 웃음 사냥꾼! 코미디 야생동물 사진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4호
동물들 중에는 멸종위기동물도 있어요. 앞으로 동물들의 사랑스러운 모습을 오랫동안
만나기
위해선 야생동물들에게 관심을 갖고 보호에 힘써야 한다는 사실, 친구들이라면 당연히 알고 있겠죠 ... ...
명태 vs 대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2호
식탁에 자주 오르는 대구와 꼭 닮았답니다.그런데 요즘엔 식탁에서 우리나라 명태를
만나기
어려워요. 예전엔 우리나라 동해에서 명태가 많이 잡혔기 때문에 명태가 ‘국민 생선’이 됐지만, 1970년대 이후 명태 어획량이 급격히 줄었거든요. 결국 2008년엔 우리나라에서 명태를 한 마리도 볼 수 없게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