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킬 스위치로 박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두고 있어. 모기의 유전자를 바꿔서 말이야. 모기 잡는 ‘킬러 모기’ 영국의 생명공학기업 옥시텍은 지난 2021년 미국 플로리다주에 유전자를 조작한 수컷 이집트숲모기알 500만 개를 풀어놨습니다. 1년이 지난 뒤 근처에 있는 모기 알 2만여 개를 모아 보니, 모두 조작된 유전자를 물려받은 것으로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이쑤시개는 균형잡기의 달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기계의 도움 없이 어떻게 옮겼던 걸까요? 지난해 홍콩과학기술대학교 기계항공공학과 서정원 교수팀은 드론으로 실험해 본 결과 석상이 좌우로 뒤뚱거리는 방식으로 옮겨졌을 거라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모아이 석상처럼 무게중심이 아래에 위치한 물체를 옮기는 실험을 하기 위해 철사와 드론, ... ...
- [킹앤포] 수학으로 암호 해독! 차분 공격수학동아 l2023년 11호
- 퀴즈를 통해 암호학에서 쓰는 수학 개념을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POSTECH 컴퓨터공학부 3학년 권찬우입니다. 여러분은 코딩을 좋아하나요? 제 주위의 수학을 좋아하는 친구들은 대부분 코딩에 관심이 많고 좋아하더라고요. 저는 코딩 중에서도 해킹 방어 기술 중 하나인 암호를 가장 좋아합니다. ... ...
- [노벨상 2023] 화학상 - 양자점이 ‘빛’나기까지 끊임없는 질문이 있었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모운지 바웬디 교수 연구실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지냈다. 2010년부터 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에서 전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새로운 물성을 갖는 나노입자 합성 연구 및 합성된 양자점 기반 진단키트, 바이오이미징 등의 응용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jnpark@unist.ac ... ...
- 죽은 거미로 만든 로봇, 전기 충격 젓가락..., 이 과학자들, 왜 이랬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왼쪽 사진). 이 충격적인 생김새의 발명품은 다니엘 프레스턴 미국 라이스대 기계공학과 교수팀의 ‘네크로봇’이다. 거미 ‘사체(necro-)’를 ‘로봇(robot)’으로 되살렸다는 의미에서 이름도 네크로봇으로 지었다. 도대체 어쩌다 죽은 거미를 재료로 로봇을 만들 생각을 했을까? “인류는 오랜 세월 ... ...
- [최신 이슈] 넓디넓은 정수장에서 깔따구 찾기, eDNA면 가능!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개인정보 유출 우려에 대해 김무웅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생명공학 연구는 우리가 생각한 것보다 훨씬 빠르게 발전하고,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면서 “과학 발전을 저해하지 않는 선에서 시의적절한 규제를 마련하기 위해 과학자, 정책가, 대중들의 소통이 중요하다”고 ... ...
- [인터뷰] 수학을 풍부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는 수학자가 되고 싶어요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문제를 쉽게 풀었거든요. 그래서 2학년 때 전과를 염두에 두고 경제학, 경영학, 컴퓨터공학, 통계학 등 여러 전공과목을 들어봤어요. 다 해봤는데도 수학보다 재미있는 게 없더라고요. 그래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건 수학인가 보다’ 하고 다시 수학 공부를 시작했어요. 어딜 가나 저보다 잘하는 ... ...
- [Space Math] 우주를 향한 인류의 호기심이 현실이 되려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기술이 필요하다. 공학과 기술은 물리가 발전하면서 더 첨단화 되며, 수학은 컴퓨터 공학과 기술의 힘을 빌려 과거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대용량 수치 해석을 해냈다. 과학(Science), 기술(Technology), 공학(Engineering), 그리고 수학(Mathematics)을 융합해 부르는 STEM은 서로 유기적 ...
- [노벨상 2023] 물리학상 - 100경분의 1초, 아토초로 원자의 이온화 순간을 포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의해 DNA가 손상되는 아주 짧은 순간까지 관찰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반도체와 같은 전자공학 분야에서도 아토초 펄스를 활용할 수 있다. 매년 반복되는 일이지만, 노벨상이 발표될 때면 한국의 현실을 되돌아 보게 된다. 아고스티니 교수가 ‘문턱 넘는 이온화’ 실험을 수행하고, 륄리에 교수가 ... ...
- [최신 이슈] 40년 만에 달라진 서울 지하철 노선도, 그 뒤에 인지과학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그렇다면 인지과학자의 눈으로 본 개선된 노선도는 어떨까. 권오상 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는 눈으로 얻은 정보를 해석하는 과정인 시지각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10월 6일, 그와 함께 개선된 노선도를 보며 전화 인터뷰를 진행했다.“이 지도를 처음 봤을 때 가운데 동그라미로 그려진 2호선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