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신 이슈] 태우는 게 최선일까? 지구 오염시키는 우주 쓰레기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대기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고민해 본 적이 없었던 것 같아요.” 전은지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지금까진 재진입이 적어 괜찮았을지라도, 성층권에 (금속 에어로졸) 입자가 아주 많아지면 지구로 들어오는 빛 투과도 달라질 수 있다”며 “충분히 검토해 봐야 할 사항”이라고 말했다. 김상우 ... ...
- [커리어]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한국과학영재학교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학생들이 원하는 KASIT 연구실을 견학하는 오픈랩 진행도 수월합니다. KAIST의 생물학, 생명공학 전공 교수님들이 화상 강의를 진행하며 학생들과 소통하는 ‘줌 인 바이오’와 같은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죠.Q. 학교에 오시기 전엔 화학 박사학위를 받고 연구자로 활동하셨다고요. 현재 맡고 계신 ... ...
- [SF] 속도의 맛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자연스럽게 흘러나왔다. 태호는 뇌와 척수를 제외한 자기 육체 전부를 미국의 첨단 생명공학 회사에 팔았다. 그의 물질적인 육체뿐만 아니라 유전자 정보, 혈액 정보, 신경세포 정보, 호르몬 정보 같은 모든 생물학적 정보까지도 해당 회사의 소유물이 됐다. 여기에 더해서 그의 육체와 생물학적인 ... ...
- [가상 인터뷰] 나무로 만든 위성이 우주로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나무를 재료로 해서 우주로 보낼 위성을 만드는 거야. 일본 교토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타카오 도이 교수팀과 일본의 벌목 기업 스미토모가 힘을 합쳤지. 타카오 도이 교수팀은 지난해 3월, 가구를 만드는 데 자주 쓰이는 세 종류의 목재 샘플을 우주에 보냈어. 샘플은 국제우주정거장 바깥에 10개월 ... ...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스마트 변기’를 개발한 공로로 박승민 싱가포르 난양공대 화학, 화학공학 및 생명공학부 교수가 2023년 이그노벨상 공중보건상을 받았다. 미국 하버드대 유머과학잡지 ‘황당무계 연구 연보’가 1991년 제정한 이그노벨상은 다시 할 수도 없고 다시 해서도 안 되는 업적에 수여되는 상으로 불린다 ... ...
- [커리어] 진로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제약공학자란 꿈을 이뤄보는 하루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전문가가 되어보는 진로체험 프로그램은 제약공학자 외에도 화학공학자, 의학자, 생명공학자 등 다양한 진로를 주제로 수업이 마련돼 있다. 그 외에 PCR 장비를 이용해 DNA를 증폭해보거나, 분광광도계를 이용해 우유 속 단백질의 양을 측정해보는 실험 등 다양한 심화수업이 있다. DNA 전기영동 ... ...
- [5년 후 과학은] 인류의 미래를 쌓아올릴 혁신 기술 '적층성형 기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필자소개.김형균.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2013년 강원대에서 신소재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2014년부터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 재직 중이다. 재료와 공정 간 상호 반응에 따른 특성 상관관계 해석을 기반으로, 금속 적층성형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hgk@kitech.re ... ...
- [특집] Part2. 유전체 연구의 미래, 생물학에서 정밀의학으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유전체학은 치료보다는 조상 찾기 등의 서비스로 먼저 소개됐습니다. 거대 생명공학 기업으로 성장한 미국의 ‘23andme’도 주 사업 수단은 조상 찾기였죠.” 서 회장은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 유전체 분석을 저렴하고 재미있게 진행할 수 있다면, 한국에서도 찾는 사람이 많아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 ...
- 네 친구의 꿈, 12월 창공을 가르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설계와 발사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박현우라고 합니다. 정승호: (현우가) 유일한 기계공학자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공동 대표를 맡고 있어요. 윤수연: 저는 세 친구들보다는 늦게 합류했어요. 로켓 제작 전반에 아이디어를 보태고 있는 윤수연 엔지니어입니다. 기자: 팀의 밸런스가 좋은데요! ... ...
- [과학뉴스] 홋카이도 마리모, 기후변화 탓에 ‘야위었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탓에 야위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나카야마 케이스케 일본 고베대 도시공학과 교수팀은 최대 지름 20cm에 이르는 아칸호의 대형 마리모가 성장하는 속도와 분해되는 속도를 연구했다. 그 결과, 수온이 높아질수록 마리모의 분해 속도가 성장 속도보다 더 빨라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런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