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거리"(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햅틱, 월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만졌을 때 나타나는 촉감 정보를 ‘센서’가 수집해서, 이 정보를 무선 통신 기술로 먼 거리까지 전달하면 진동을 만들어 동일한 촉감을 재현하는 거예요. 텔레햅틱 기술이 상용화되면, 미국에 유학을 가더라도 한국 집에 가족들이랑 남겨두고 온 강아지의 촉감을 느낄 수 있어요. 이 기술은 ... ...
- [어수티콘 사전] 구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9호
- 점을 연결하더라도 모두 반지름이 되는 것처럼, 구의 표면도 모두 구의 중심에서 똑같은 거리만큼 떨어져 있어서 반지름이 항상 같아요. 그래서 구는 어느 방향에서 봐도 항상 원 모양이고, 어느 쪽으로 잘라도 그 단면은 항상 원이 되지요. 용어 정리부피★ 어떤 공간에서 한 물건이 차지하는 ... ...
- [똥손 수학 체험실] 달콤하고 동그란 나의 핫케이크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9호
- 오래전부터 컴퍼스를 이용해 원을 그렸다니 놀랍지요? 원은 원의 중심으로부터 같은 거리만큼 떨어진 점들이 모여서 이뤄진 도형이에요. 길쭉하거나 찌그러진 곳 없이 어느 쪽에서 보아도 똑같이 동그란 모양이어야 원이라고 할 수 있지요. 원의 중심에서 원의 둘레 위의 한 점을 잇는 선분, 즉 ... ...
- [Reth?nking] 우리는 왜 미분에 관심을 갖게 됐는가?수학동아 l2023년 09호
- 그런 뒤 이 법선이 x축과 만나는 x절편을 원의 중심으로 놓고, x절편과 접점까지의 거리를 반지름(r)으로 하는 원을 그려요. 원과 함수는 오직 한 점에서만 만나게 되지요. 따라서 원의 방정식과 함수식을 연립하면 이 방정식은 중근을 가져야 합니다. 데카르트는 이 작업을 통해서 접점을 찾고 법선의 ... ...
- Part4. 가장 먼 곳의 붉은 은하를 찾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외곽이든 상관없이 모두 다 긴 파장의 붉은 적외선 쪽으로 치우쳐 보이게 된다. 비슷한 거리의 다른 은하들과 비교해보면, 이들이 얼마나 붉은지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이번에 발견된 12개의 붉은 은하 대부분은 원반이 누워있는 방향으로 관측되므로, 그만큼 별빛이 먼지를 더 많이 통과했을테니 ... ...
- [기획] 86, 230, 345. 메달이 한국에 온이유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여러 대의 전파망원경을 동시에 관측하는 방식의 ‘초장거리 간섭계’다. 이 초장거리 간섭계의 이름이 EHT, 사건지평선망원경이다. 블랙홀은 강한 중력에 의해 빛조차도 빠져나올 수 없는 천체다. 이 때문에 EHT 연구협력단은 2017년 사건의 지평선에 가상 망원경의 초점을 맞췄다. 사건의 지평선은 ... ...
- Part2. 외계행성의 숨결을 맡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때문이다. 탄소와 산소의 비율(C/O비)을 측정하면 외계행성이 만들어질 때 모항성과의 거리도 추측할 수 있다. 항성과 가까울수록 가벼운 분자가 휘발되는데 탄소화합물보다는 산소를 포함한 기체가 상대적으로 더 가볍기 때문이다. 대기 조성에 외계행성계의 형성과 진화의 정보도 담긴 셈이다 ... ...
- Part5. 우주의 끝에서 빅뱅 직후를 목격하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은하는 가시광선보다 더 긴 파장의 빛인 적외선으로 관측해야 보인다. 천문학자들은 거리의 지표로 적색이동 값을 사용한다. 적색이동에 1을 더한 값은 대략 현재 우주의 크기와 과거 우주의 크기 비율이다. 어떤 은하의 적색이동이 1이라는 것은 당시 우주의 크기가 지금의 2분의 1이란 뜻이며,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경기과고 수학 절친 3인방, 수학을 잘한다는 것의 진짜 의미수학동아 l2023년 08호
- 나름대로 성과를 냈어요. 정사각형 내부에 두 개의 점을 임의로 잡았을 때 두 점 사이 거리의 기댓값을 구하는 연구였는데요. 정사각형부터 시작해서 정육각형, 정십이각형이런 식으로 점차 늘려가면서 기댓값을 찾았어요. 기범 : 저도 원래 항등원을 했었는데, 현재는 제가 동아리장인 수학 교지 ... ...
- 냠냠! 어수잼 ② 네몽은 비요의 스케치북에...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8호
- 고정하고, 다른 삼각자를 움직여 두 평행선을 그었지요. 그런 다음 ‘평행선 사이의 거리는 1m’라고 적었어요. 그러자 네몽도 편하게 앉을 수 있는 안전한 그네가 완성됐어요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