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거리"(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 [빅잼] 외계인은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이야기를 지면에 소개하는 창이 될 예정입니다. 혼자 알고 말기엔 아까운 이야깃거리가 있다면 언제든, 과학동아 공식 네이버 카페에 공유해주세요! 우주에 지적 생명체가 인류 하나라면 괜히 쓸쓸한 기분이 드는 것처럼,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를 혼자만 알고 있는 것도 퍽 쓸쓸한 일 아니겠어요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안전사고는 NO! VR 이용, 가이드라인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시차가 크게, 멀리 있는 물체는 시차가 작게 느껴집니다. 우리 뇌는 이런 시차를 통해 거리를 인지하는 거예요. VR기기 역시 양안시차를 이용해요. 두 눈에 두 개의 영상을 각각 볼록렌즈로 확대하여 보여줘 입체감과 몰입감을 주는 것이죠. 그림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는 매직아이도 비슷한 원리예요. ... ...
- [빅잼] '더 마블스' 히어로 파워의 원천 ‘광자' 현실에 쓴다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0인지 1인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중첩 상태인 두 양자가 얽혀있다면 두 양자의 거리가 아무리 멀어도 하나의 양자를 관측하는 동시에 나머지 하나의 양자 상태도 결정됩니다. 하나의 양자가 지구에 있고 또 다른 양자가 화성에 있다고 해보겠습니다. 지구에서 양자를 관측해 0이라는 결과를 ... ...
- [최애은하] 제임스 웹 설상가상 미스터리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우주에서 두 가지 팽창률이 튀어나오는 허블 텐션의 미스터리. 그 원인이 관측한 은하의 거리인지, 아니면 우주배경복사에 적용했던 우주론 모델인지는 경쟁하는 가운데, 최근 제임스 웹은 앞선 허블 관측 결과의 손을 들어줬다. 그렇다면 결국 그간 우주배경복사를 우주의 팽창 속도, 팽창률을 ... ...
- [이참결 독자가 쏘아올린 기사] 우주 팽창의 중심은 왜 존재하지 않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여러분 과학동아 공식 네이버 카페가 생겼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지난달 오픈 이벤트를 막 끝낸 따끈따끈한 카페입니다. 과학을 좋아하 ... 발로 뛰며 기사를 완성하기도 할 계획입니다. 혼자 궁금해하고 말기엔 아까운 이야깃거리가 있다면 언제든, 과학동아 유니버스에 공유해 주세요 ... ...
- [통합과학교과서] 빗자루만 타면 울렁울렁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늘리면서 뇌가 익숙해지도록 해야 해요. 또 VR 헤드셋이 잘 맞는지, 눈과 렌즈 사이의 거리가 적절한지도 확인해야 하죠. 주기적으로 휴식을 취하는 것도 중요해요. 사이버 멀미를 기술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어요. 게임을 개발할 때부터 멀미가 나지 않도록 시점의 높낮이나 배경, ... ...
- [기획] 노벨상의 패러디를 넘어서 이그노벨상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바로 6년 만의 한국인 이그노벨상 수상자가 나왔기 때문이다. 노벨상의 패러디로, 웃음 거리로 소비되곤 하는 이그노벨상. 연구자들의 진지하고 치열한 고민은 숨겨지게 마련이다. “웃게 만들고, 이어서 생각하게 만드는 연구”라는 이그노벨상의 모토를 따라, 올해 수상자들의 진지한 열정을 ... ...
- [최대 은하] 우주 끝에서 온 별 빛의 주인을 찾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빛이 날아오는 동안에 우주 공간도 팽창했기 때문이다. 현재 이 배경 은하까지의 거리는 무려 약 280억 광년이다!이 선라이즈 아크 속엔 유독 더 밝은 작은 점들이 있다. 첫 발견에서 천문학자들은 이것이 은하 속의 밝은 별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 빅뱅 직후의 암흑을 밝게 비췄을 이 별에, ... ...
- 생명체의 가능성을 품은 뉴 골디락스 존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가능성을 지닌 우주 영역이에요. 초기에는 태양 같은 항성●으로부터 얼마나 적절한 거리에 위치하는가를 기준으로 골디락스 존을 정했어요. 지구처럼 항성(태양)에서 에너지를 충분히 얻으면서 너무 뜨겁거나 차갑지 않아 생명체가 살 수 있다고 본 거죠. 이 기준에 따르면 목성과 위성들은 ... ...
-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과학고등학교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있었다. 물이나 글리세롤이 담긴 볼록한 그릇을 움직이며 초점을 확인하고, 빛과 렌즈의 거리를 계산하는 학생들의 진지한 토론이 곳곳에서 들렸다.수업을 진행한 정은석 물리교사에게 과학고 수업에 대해 물었다.Q. 경기북과학고는 경기도의 유일한 과학 분야 특목고로,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