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통
실린더
억울
분
통분
애상
원기둥
d라이브러리
"
원통
"(으)로 총 418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심에 출현한 멧돼지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12
단 1종이 서식한다. 멧돼지의 팔다리는 짧지만 몸이 굵고 길며, 주둥이는 긴
원통
형이다. 아래턱 송곳니가 무척 예리해 적을 만날 때 무기로 사용한다. 갈기털은 목부터 엉덩이까지 3~5갈래로 갈라져 무성하게 나 있는데, 적이 접근하면 갈기털을 세워서 적을 위협한다. 교미기는 보통 12월부터 이음해 ... ...
팔색조처럼 다양한 음색 해금
과학동아
l
200912
연결하는 부위를 장식하는 데 옥돌(石)이 쓰인다. 울림통은 오동나무(木)로 만들며
원통
을 옆으로 눕힌 모양인데, 한쪽 바닥은 소리가 퍼져나갈 수 있도록 뚫려 있고 다른 한편은 오동나무로 막혀 있다. 막힌 부분을 복판이라고 부른다.유현과 대현은 복판 위에 있는 원산이라는 괘를 지나 공명통 ... ...
소리의 속력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12
습도 20%인 실험실에서 음속의 이론값은 341.2m/s이다. 실험값 339.3m/s와는 차이가 크기 않다.
원통
의 길이를 측정할 때와 시간간격을 구하는 두 지점 측정시 발생하는 오차를 감안하면 이 방법을 이용한 소리의 속력 구하기는 간단하고 유용한 방법이라 할 수 있겠다 ... ...
Part 3. 나도 암호 전문가!
수학동아
l
200911
스키테일 암호를 빼앗았다면?적군의 스키테일 암호를 중간에서 빼앗았다. 얼마나 두꺼운
원통
을 써야 하는지 모르는 상황에서 암호를 해독할 수 있을까? 스키테일 암호는 당시에는 중요한 암호였지만 오늘날의 기준으로 보면 간단한 암호에 속한다. 종이를 감았을 때 한 바퀴에 쓸 수 있는 문자의 ... ...
무한한 바닷물로 한반도 가뭄 해결!
과학동아
l
200910
해수담수화 시설은 이런 대형 유닛을 병렬로 나열해 완성한다.김 교수는 역삼투막을
원통
형으로 제작한 이유를 “부피를 줄이고 표면적을 넓히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또한 “역삼투에 필요한 고압을 견디기 위해 베셀은 강도가 높으면서도 무게가 가벼운 신소재 플라스틱으로 제작했다”고 ... ...
2. 모양 속에 안전 있다
수학동아
l
200910
둘러싸 파도를 이겨내고 있다. 하나에 수십만 원에서 수백만 원 하는 테트라포트가 4개의
원통
모양으로 생긴 이유는 뭘까?테트라포트는 정사면체의 한가운데에서 각 꼭지점을 잇는 선의 모양을 본떠 만든 것이다. 정사면체는 모든 다면체 중에서 무게중심이 가장 아래에 있다. 테트라포트 역시 같은 ... ...
1. 공간 절약의 비법
수학동아
l
200909
예가 벌집이에요. 벌집을 보면 정육각형의 작은 방으로 빼곡히 채워져 있어요. 몸이
원통
형으로 생긴 꿀벌이 왜 정육각형 모양으로 벌집을 만드는 걸까요? 비밀은 수학에 숨겨져 있어요.먼저 평면을 빈틈없이 채울 수 있는 도형이 무엇인지 생각해 봐요. 정육각형은 안쪽 각도가 120°여서 3개가 ... ...
바이러스 껍질, 캡시드의 기하학
과학동아
l
200908
핵산을 감싸느냐를 추론한 부분. 만일 단백질 하나가 핵산을 감싸려면 속이 빈 구나
원통
형태여야 하는데, 이런 복잡한 구조를 만들려면 단백질 하나가 매우 커야 한다. 하지만 짧은 건 길이가 불과 수천 개의 염기에 불과한 바이러스 유전체가 이런 거대한 단백질의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건 ... ...
1박 2일 캠핑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08
내수압이란 텐트나 타프에 쓰인 원단의 방수능력을 알려주는 수치예요.” 지름 10mm의
원통
을 원단 위에 세운 뒤 안쪽으로 물이 스며들기 시작하는 물기둥의 높이를 재 내수압을 측정한다. 일반적으로 가랑비에 견딜 수 있는 내수압 수치는 500mm, 폭우에 견딜 수 있는 수준은 내수압 1500mm 이상이다. ... ...
몸짱만든다는 단백질 보충제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07
보충제 효과를 봤다는 뜻이다. 과연 그럴까.운동 안 하고 먹으면 ‘독’근육은 길쭉한
원통
형 근육세포 여러 개가 묶여 있는 다발이다. 근육세포는 다시 가느다란 근섬유 여러 가닥으로 구성돼 있다. 운동을 하면 근육세포(근섬유)가 손상되고, 우리 몸은 혈중 아미노산을 끌어와 새로운 근섬유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