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뉴스
"
미생물
"(으)로 총 1,620건 검색되었습니다.
방선균에 대사공학 접목해 새로운 항생제 개발 시도
2014.12.28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시스템 대사공학은 대장균이나 효모처럼 기존에 잘 알려진
미생물
을 조작해 다양한 화합물을 대량생산하는 기술로, 방선균에 이를 도입하려는 시도는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방선균에서 새로운 항생제를 생합성하는 유전자군을 발굴하고 이 ... ...
에볼라, 감염 초기에 찾아낼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12.24
피가 나오기 시작해야 에볼라에 감염됐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최근 보스턴의과대
미생물
학과 존 코너 교수는 에볼라 바이러스를 감염 초기에 발견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논문 한 편을 ‘BMC-유전체학’ 11월 6일자에 발표했다. 코너 교수는 바이러스를 직접 찾기보다는 우리 몸의 면역체계를 ... ...
우리 몸에 이로운
미생물
이 있다고요?
동아사이언스
l
2014.12.10
정상균총(Normal flora)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 또 그 동안 연구되지 못한 자연계와 인체
미생물
에 대한 최신 연구 기법을 강연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덕의초등학교 김장환 교사가 ‘금과터 골든벨 2’라는 제목으로 도입강연을 진행한다. 한국연구재단은 ‘금요일에 과학터치’ 강연을 12월 12일 ... ...
첨단 정보기술 - 총체적 협업 시스템 활용해 차근차근
동아일보
l
2014.11.26
내
미생물
실험실에서는 여러 개의 대리석 위에 물을 뿌리고 시간 흐름에 따라 이끼 등
미생물
이 얼마나 번식하는지를 두 달째 실험하고 있었다. 특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해 얻은 2개월간의 실험데이터를 분석하면 실제 문화재 현장에서 2년간의 환경 변화를 예상할 수 있다. 수산나 브라치 ... ...
노로바이러스가 장(腸)을 지킨다는데…
2014.11.23
캐드웰 교수는 “장내에서 유익한 바이러스와 그렇지 않은 바이러스를 분류하고 장내
미생물
과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 추가적으로 연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정용석 경희대 생물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숙주와 공생하는 수많은 바이러스들이 존재할 수 있다는 한 예시”라며 ... ...
사람 살리는 쥐(GEM)의 독백
2014.11.21
에게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 지를 분석하고 있다. 이들은 온도, 습도, 소음 등이 일정하고
미생물
오염 걱정이 없는 ‘마우스 호텔’에서 평생을 보낸다. - 국가마우스표현형분석사업단 제공 찍찍, 나는 생쥐다. 정확히 말하면 유전자변형쥐(GEM). 부모가 누군지는 모른다. 실험실에서 만든 ... ...
줄기세포치료제 손상 없이 전달하는 기술 개발
2014.11.18
생존을 유지하다가 원하는 시간에 분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미생물
은 영양분이 부족한 환경에서 생존이 불리해지면 DNA 보존을 위해 세포외벽에 단단한 보호막인 ‘내생포자’를 만드는 특성이 있다. 공동 연구팀은 이렇게 만들어진 내생포자가 생존에 적합한 환경을 ... ...
키스 한 번에 옮겨지는
미생물
이 무려 8000만 개
2014.11.17
종류가 거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렘코 코르트 교수는 “키스는 구강 내
미생물
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지만 구체적인 것은 밝혀진 것이 거의 없다”고 말했다. ... ...
독한 돼지 냄새,
미생물
로 잡았다
2014.11.12
’와 세균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를 골라냈다. 효모는 사료에 섞는
미생물
처리제로, 세균은 돈분에 뿌리는 악취 감소제에 적합했다. 둘다 건조분말형태로 만들어 쉽게 쓸 수 있게 했다. 연구팀은 제품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올해 9월 15일부터 11월 8일까지 60일간 전북의 양돈 ... ...
녹조 광합성이 방사능 물질 제거한다
2014.11.12
저비용, 친환경 방식으로 처리하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미세조류와
미생물
을 이용해 오염수 및 오염토양 등에 존재하는 방사성 물질을 제거하는 친환경 기술 개발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의 생물자원공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바이오리소스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