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뉴스
"
미생물
"(으)로 총 1,620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군 “살아있는 탄저균 표본, 실수로 오산기지에 보냈다. 규정에 따라 파기”
동아닷컴
l
2015.05.28
배송은 민간 업체를 통해 이뤄졌다. 이에 대해 미국 국방부는 발송된 탄저균 표본이
미생물
취급 규정에 따라 적절하게 포장됐다고 밝혔다. 탄저균은 생물학 테러에서 흔히 쓰이는 병원균 중 하나로 높은 전염성을 가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연구 목적으로 탄저균을 배송하더라도 반드시 죽거나 ... ...
탈모라구요? 모근세포 3D프린터로 찍어 이식하세요
2015.05.27
‘사이버 메이트 헬스케어’ 기술이 전도유망한 기술로 꼽혔다. 체내에서 공생하고 있는
미생물
의 특성을 규명하고 치료에 이용하는 ‘개인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신체 기능별 노화 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퍼스널 노화속도계’, 바이오 빅데이터를 이용해 만든 ‘지능형 환자 ... ...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해양생물은 새로운 미래… 국가자산 가치 창출한다”
동아일보
l
2015.05.21
지난달 22일 취임한 김 관장은 서울대
미생물
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키일대에서 해양
미생물
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해양생물자원분야 전문가다. 그는 ‘수주작처(隨主作處·어느 곳에서든 주인의 마음으로 최선을 다해라)’를 강조한다. 서는 자리마다 주인의식을 갖고 전심전력을 다해 나가야 ... ...
탄소나노튜브가 이런 데까지?
2015.05.20
양의 물을 정수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윤 교수는 “기존 수처리 막을 오염시키는
미생물
부착 문제도 획기적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수처리 분야는 물론 혈액투석 같은 의료 분야에서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판다가 눈만 뜨면 먹는 대식가(大食家) 된 이유
2015.05.19
자이언트 판다. - 위키피디아 제공 자이언트 판다는 하루 14시간을 식사하는 데 쓴다. 자는 시간을 제외하면 늘 음식을 먹고 있는 셈 ... 판다는 진화적 딜레마에 빠졌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
미생물
학회가 발생하는 학술지 ‘엠바이오(mBio)’ 19일자에 실렸다. ... ...
셜록도 혹한 ‘
미생물
포렌식’을 아시나요?
2015.05.15
Investigative Genetics)’에 발표했다.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사람 몸에 사는
미생물
은 계속 변하기 때문에 실제로 과학수사 현장에 이용되고 법정에서 효력을 얻기까지는 정확도 등 개선돼야 할 점이 많다”고 말했다. ... ...
[신문과 놀자!/별별과학백과]공기방울-분뇨로도 전기 만들어요
동아일보
l
2015.05.13
나온 전자를 얻는 것이다. 광합성을 하는 식물이라면 커다란 나무부터 물속에 사는
미생물
인 ‘조류’까지, 뭐든지 전기를 공급하는 대상이 된다. 태양전지를 만드는 방법도 있다. 태양전지 기판 재료로 보통 ‘실리콘’을 사용하지만, 최근에는 식물의 엽록소를 이 기판으로 사용하는 방식이 ... ...
음식 속 아미노산이 치아 건강 지킨다
2015.05.12
새로 발견한 것이다. 연구팀은 L-아르기닌을 처리했을 때 구강 속에 살고 있는
미생물
의 군집이 변한다는 사실도 추가로 확인했다. 연구팀은 아직 아르기닌이 어떻게 세균 사이에 끼어서 바이오필름을 더 못 만들게 하는지 자세한 기작을 알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연구 ... ...
고세균 로키, 진핵세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인가
2015.05.11
비슷한 고세균이 진짜 존재할지도 모른다는 말이다. 심해처럼 극한의 환경에서 자라는
미생물
은 대부분 배양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게놈 데이터로 로키아케오타의 존재만 알 수 있을 뿐 이 고세균이 어떻게 생겼는지는 전혀 모르는 상태다. 그러나 심해의 시료에 들어있는 ... ...
면역세포도 ‘착한’
미생물
편만 들어
2015.04.22
특정한 물질을 면역세포가 감지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푸 교수는 “인간의 몸과 장내
미생물
이 수백만 년 동안 공존할 수 있도록 진화해온 결과”라고 설명했다.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