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문
전기 기술자
본업
specialty
과
학과
d라이브러리
"
전공
"(으)로 총 2,198건 검색되었습니다.
에이버리의 유전물질 DNA 확인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DNA는 1869년 스위스의 프리드리히 미셔가 상처의 고름에서 얻은 백혈구 세포를 화학적으로 처리하다 처음으로 발견했다. 세포는 끈적거렸는데, 미셔는 끈적거림의 원인이 세포질이 아니라 세포핵 내에 존재함을 밝혀냈다. 그는 그 물질을 ‘뉴클레인’이라 불렀고 그것이 인을 함유하고 있으며 산 ... ...
만년의 빙원에서 꿈을 이룬 극지연구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보다 못한 미국인 지도교수는 그에게 장학금 줄 수 있는 새로운 스승을 소개했다. 물론
전공
을 바꿔야 한다는 전제를 달았다. ‘남극에 갈지 공부 그만둘지’를 결정해야만 하는 순간이었다. 결정은 명쾌하고 짧았다. 훌쩍 올라탄 남극행 비행기그의 첫 남극 탐험의 시작은 그리 순조롭지 못했다. 1 ... ...
신경세포에서 엿본 영혼의 그림자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knock-out mouse)도 우리나라에서 그가 가장 먼저 성공했다. 그러던 그가 신경과학으로
전공
을 바꾸게 된 계기는 생쥐의 발작.“한번은 ‘PLC-β1’이란 유전자를 없앤 녹아웃 생쥐를 갖고 실험할 때 생쥐가 다 죽어있는 거예요. 그래서 치우려고 보니까 다시 살아나더라고요. 알고 보니 간질 발작을 일으킨 ... ...
바이러스는 이유 있는 심술꾸러기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살펴봤더니 바이러스가 원인이었다. 독일로 유학가서 DNA를 다루는 분자생물학까지
전공
하게 됐다. 이 교수는 “하다 보니 점점 깊숙이 들어갔다”고 말했다.예전만 해도 한국에서 바이러스를 연구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바이러스를 키우기 위해서는 숙주를 키워야 한다. 돈도 많이 들고 ... ...
2. 은하의 먹이사슬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수학이 약하다고 하지만 심하다고 느낄 만큼 어릴 때부터 읽고 쓰기를 가르친다. 과학을
전공
하는 학생도 마찬가지다. 많이 읽고 많이 써야 논문도 잘 쓸 수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를 뒤지는 한국인 INTRO X선에서 전파까지 합동수색작전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2. 은하의 ... ...
철새 이동으로 조류독감 바이러스 유럽까지 전파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해부학자 독일의 뷔르츠부르크에서 태어나 1845년 뷔르츠부르크 대학에 입학하여 의학을
전공
하고 50년에 졸업했다 게르마늄을 소재(素材)로 사용한 반도체 다이오드 무선수신기의 검파기를 비롯하여 게이트 회로 소자(素子) · 정류기에 쓰인다1941년 독일의 지멘스사(社)에 의해 개발된 후 제2차 ... ...
줄의 열의일당량 측정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1830년대 말 양조업을 하던 줄은 경비를 줄이고 과학적인 호기심도 충족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동력원의 효율을 측정하는 실험을 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열이 발생하거나 없어지지 않는다고 설명하는 칼로릭 이론이 틀리며 열기관에서는 실제로 열이 발생한다고 생각하게 됐다.칼로릭 이론에 의구 ...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교수는 과학자가 되자고 약속했다. 약속대로 그는 캘리포니아공대에 입학해서도 물리를
전공
했다. 그러다 대학원 때부터 흥미를 느껴 시작한 것이 천문학이었다. 학부 때 교수님을 따라 천문대에서 별을 관측했던 경험이 컸다. 그래서 그는 지금도 학부 학생들에게 관측의 기회를 많이 주려고 한다. ... ...
3. 거대한 별의 인큐베이터 옆에서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아니다. 천문연구자라면 가질 법한 수준의 관심정도였다고 그녀는 말한다. 당시 그녀의
전공
이자 관심은 초신성.우연찮게 대학원 시절 옆방 동료이자 이제는 평생 반려자가 된 리치 박사의 연구를 접한 그녀는 적외선의 매력에 쏙 빠져버렸다. 2001년 남편과 함께 스피처 연구센터로 옮겨온 그녀는 ... ...
비정상 입자를 명품으로 키운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비정상적 성장’에 대해서도 격려를 아끼지 않는다. 그래서 김 교수에게는 재료공학을
전공
하고도 언론계에 진출하거나 교회로 간 엉뚱한 제자가 많다.1997년 재료미세조직연구단 단장을 맡으면서 그는 세계적으로 눈에 띄는 연구 성과를 내놓기 시작했다. 내년 5월이면 벌써 연구단 사업이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