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문
전기 기술자
본업
specialty
과
학과
d라이브러리
"
전공
"(으)로 총 2,198건 검색되었습니다.
올림픽 하늘에 뿌리는 눈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생리학자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났다1898년 애버딘 대학을 졸업하고 의사가 되어 생리학을
전공
했다1903년 미국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의 웨스터 리저브 대학 교수로 초빙되고, 18년에는 캐나다의 토론토 대학 생리학 교수로 임명되었다그가 F G 밴팅과 C H 베스트의 「당뇨병과 췌장의 내분비」의 ... ...
2. 정자 없이 수정하는 난자 처녀생식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일어난 염색체의 DNA지문이 이형접합에서 동형접합으로 변할 수 있다.집단유전학을
전공
한 다른 한 교수도 “생식세포가 분열하는 동안 염색체끼리 교차가 일어나면 동형접합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조사위는 또한 최종 보고서에서 직접 체세포를 이식했던 연구원이 “실험 도중 ... ...
생명의 기원을 명강의로 푸는 어린왕자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받은 김 교수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생물학과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활동하면서
전공
영역을 넓힐 수 있었다.“물리학과의 한 콜로퀴엄에서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미국의 저명한 물리학자 스티븐 와인버그의 흥미로운 강연을 듣고 깊은 감명을 받았습니다. 그가 저술한 ‘최초의 3분’이란 ... ...
오존 구멍 회복이 늦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워퍼코네터 태생 1955년 퍼듀 대학을 졸업한 후 남캘리포니아 대학 대학원에서 항공학을
전공
했다제트 전투기 조종사로서 625전쟁에 종군했고, 그 후 각종 항공기의 시험비행을 한 후 NASA의 우주비행사로 선발되었다 요(尿)속의 당(糖)을 정성적(定性的)으로 조사하는 방법 요단백질(尿蛋白質)이 ... ...
과학자와 예술가의 유쾌한 음모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마음에 두고 있는 작품 형태를 묻는 질문에 문 박사는 “반 고흐나 다빈치의 작품을 자기
전공
인 마이크로시스템을 통해 색다르게 분석했으면 좋겠다”고 답한 일이 있다. 하지만 이 작가는 원래 미디어 매체를 분해하고 다시 조립해 용도를 바꾸는 방식으로 작품 의미와 연결시키는 작업을 주로 해 ... ...
플라스틱으로 만든 나노 칵테일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결정, 고분자 광섬유, 나노 소재까지 연구하며 계속 연구 범위를 넓혀왔다.박 교수는 “
전공
을 바꾼 이유는 학생들의 관심이 산업 발전에 따라 전자소재 쪽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했기 때문”이라며 “현재 연구 분야도 학생들의 요구에 따라 결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신들이 선택한 분야이기 ... ...
4. 진실DNA를 캐낸 숨은 주역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출발점도 바로 이곳에서 시작됐다. “우리가 소장파라고?”지난달 5일 생물학
전공
자로 신원을 밝힌 한 회원이 과학전문지 ‘사이언스’에 발표된 황 교수 논문 사진 조작 의혹을 제기한 글을 사진과 함께 남기면서 논란의 불씨가 되살아 났다. 다음날 한 지방대 박사 과정생이라고 밝힌 또 다른 ... ...
입시 벗어나 논문 쓰는 고등학생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합격한 3학년 이찬형(18)군은 “수능 시험을 안 쳐서 좋다”고 말한다. 물리나 화학을
전공
하고 싶다는 그는 “서로 관심사가 비슷하고 말이 통하는 친구들이 많다”며 학교생활에 만족했다.대학에서 고등학교 학점을 따도 된다. 지난 9월 포항공대에 합격한 3학년생들은 이미 포항에서 수업을 듣고 ... ...
만년의 빙원에서 꿈을 이룬 극지연구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보다 못한 미국인 지도교수는 그에게 장학금 줄 수 있는 새로운 스승을 소개했다. 물론
전공
을 바꿔야 한다는 전제를 달았다. ‘남극에 갈지 공부 그만둘지’를 결정해야만 하는 순간이었다. 결정은 명쾌하고 짧았다. 훌쩍 올라탄 남극행 비행기그의 첫 남극 탐험의 시작은 그리 순조롭지 못했다. 1 ... ...
에이버리의 유전물질 DNA 확인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DNA는 1869년 스위스의 프리드리히 미셔가 상처의 고름에서 얻은 백혈구 세포를 화학적으로 처리하다 처음으로 발견했다. 세포는 끈적거렸는데, 미셔는 끈적거림의 원인이 세포질이 아니라 세포핵 내에 존재함을 밝혀냈다. 그는 그 물질을 ‘뉴클레인’이라 불렀고 그것이 인을 함유하고 있으며 산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