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사용
응용
굴절
적용
끝바꿈
어미변화
d라이브러리
"
활용
"(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실시간 언택트 데이터 요리쇼, 나도 데이터 요리사!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분석한 결과들이 속속 도착했습니다. 그중에는 실습 시간에 배우지 않은 기능을
활용
한 분석도 있었죠. 수학동아 독자들의 뜨거운 열정과 호기심을 느낄 수 있는 결과물이었습니다. 자, 그럼 데이터 요리쇼 참가자들의 분석 결과와 소감을 소개합니다. 앞으로 이어질 온라인 클래스에도 많은 관심 ... ...
a-school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프로그램은 인터넷에 공개돼 있기 때문에 스스로 찾아서 공부할 수 있지만 에이스쿨을
활용
하면 효율적으로 다양한 영역에 쓰이는 코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코딩은 예술과 과학 실험처럼 더 많은 영역에서 유익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이처럼 코딩을 바탕으로 각 분야의 지식을 융합하고 ... ...
[한페이지 뉴스] ‘빗물이 산을 깎는다’ 숫자로 증명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빗물이 산을 깎는다는 내용은 교과서에도 실려 있을 만큼 널리 받아들여진 정설이다. 그런데 빗물이 지형에 미치는 영향은 지질학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했다. ... “이번 연구결과는 히말라야와 같은 산악지형의 침식 과정을 분석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활용
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불꽃 축제 대신 방구석 빛 축제에 초대합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9 연구에도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클리아(CLIA) 기법이라고 불리는 항체 검사법에
활용
되고 있죠. 클리아 기법에서 사용하는 형광 색소는 인체가 바이러스와 싸우기 위해 방출하는 항체와 결합하며 빛을 냅니다. 이 빛의 밝기를 측정하면 항체가 얼마나 많이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 ...
[2020 노벨상] 생리의학상 │ 미지의 간염 바이러스, 정체가 뭘까?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이 부위가 바이러스 증식에 중요할 것이라 생각했다.그의 연구팀은 유전공학 기술을
활용
해 말단 부위가 완벽한 C형 간염 바이러스의 유전체 RNA를 시험관에서 인위적으로 합성했다. 그리고 이를 직접 침팬지의 간에 주입했다. 그 결과 침팬지에게서 사람에게 나타나는 바이러스의 증식과 임상 ... ...
[내가 만난 노벨상 수상자] 끊임없이 질문하고 답을 찾아가는 과학자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샤르팡티에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교수와 함께 크리스퍼-캐스9을 유전자 가위로
활용
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왜 박테리아는 바이러스의 DNA를 저장할까’ ‘왜 기존 유전자 가위는 상용화되기 어려울까’ 등 그는 ‘왜?’라는 질문을 던지는 것을 좋아했다.실험에 대해 의논할 때는 기술적인 ... ...
MRI, 양자컴퓨터, 인공고기… 첨단기술 속 브릭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선택했다. 연구팀은 이렇게 만들어진 전분 섬유를 인공고기 배양에 필요한 골격으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지글러 교수는 “기존에는 인공고기 배양에 플라스틱 섬유가 널리 사용됐다”며 “전분 섬유를 이용한다면 보다 깨끗한 인공고기를 배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스쿨 리포트 A+] 디자인 싱킹(design thinking)│온실 기체 감축 장치 만들기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중학교 1학년 자유학년제 주제 활동이나 중학교 3학년 전환기 프로그램에서도
활용
하면 좋습니다. 이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지구 환경을 살리는 과학 제품을 만드는 과정을 경험하게 됩니다. ❷ 평가 기준디자인 싱킹 프로젝트의 핵심은 학생들이 협업을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최적의 ... ...
태양을 망원경으로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만들 차례! 외계행성을 자세히 관측하려면 엄청 큰 망원경이 필요할 텐데…. 응? 태양을
활용
하면 외계행성의 표면을 직접 볼 수 있는 연구가 있다고? 태양계 밖에 있는 항성 주변을 도는 천체를 ‘외계행성’이라 해요. 최근 천문학자들은 외계행성을 찾는 다양한 방법을 개발했어요. 2008년에는 12 ... ...
과학난제 2. 기후변화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갖고 있던 양전하 때문에 세포에 전기 에너지가 발생하죠. 심교수팀은 이 원리를 발전에
활용
할 계획이에요.또 다른 기후변화 해결책으로 촉매를 사용해 이산화탄소를 연료로 바꾸는 ‘인공광합성’ 기술이 꼽혀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오형석 박사는 “석유 대신 이산화탄소에서 연료를 얻으면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