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활용"(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디지털 세상, 안전하게 누리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이끌어 주세요! Q 디지털 리터러시는 왜 필요한가요?디지털 리터러시란 정보를 탐색해 활용하고 이를 통해 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능력입니다. 이뿐 아니라 디지털 세상에서의 예의, 윤리의식 등 기본 소양을 갖추는 것을 말하죠. 즉, 디지털 세상의 구성원으로 살아가기 위한 기본 소양이랍니다 ... ...
- [특집] 인공지능, 악플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노력해야한다”고 답했지요. 여러 포털사이트들은 악성 댓글을 막기 위해 인공지능을 활용하고 있어요. 2018년 네이버가 개발한 인공지능 클린봇은 욕설뿐 아니라 글의 문맥을 파악해 악성 댓글을 확인한 뒤 감춰요.클린봇은 어떻게 악성 댓글을 감출까요? 먼저, 클린봇은 포털사이트에서 7년간 ... ...
- [과학뉴스] 50원 동전만 한 바퀴벌레 로봇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재난 수색, 구조 현장에서 의약품을 전달하거나 주변을 환경을 감시하는 일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요. 향후엔 로봇의 몸집을 1cm3 정육면체 크기로 더 줄이는 것도 목표하고 있답니다. 용어정리* 압전효과 : 전기를 가해주면 기계적 변형이 일어나거나 반대로 압력을 가했을 때 ... ...
- [특집] 빠져나와야 짜릿하다! 방 탈출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않는 소품을 사용할 경우 몰입도가 깨지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마주하는 소품을 활용해 문제를 내죠. 만약 카페를 갔는데 어떤 전구의 불이 나갔다면 ‘저 불빛을 사용해서 문제를 내면 어떨까?’라고 고민합니다.문제까지 담은 기획안이 완성되면 이를 토대로 건축 설계사가 ‘스케치 업’이라는 ... ...
- [한페이지 뉴스]"산소는 SELF" 스스로 산소 공급하는 인공조직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공생할 수 있도록 결합한 최초의 사례”라며 “자연에서 흔히 보이는 공생 전략을 활용해 조직을 합성하는 기술력을 높일 수 있었다”고 말했다. doi: 10.1016/j.matt.2020.10.02 ... ...
-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KSTAR 연구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기술을 최초로 구현해낸 것이 대표적이다. KSTAR가 최초로 도입한 초전도 자석 기술을 활용하면 고온의 플라스마를 토카막 내부에 닿지 않게 공중에 띄워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다. KSTAR 이전에 유럽과 일본 등에서 상온 자석으로 구현했던 장치는 플라스마 유지에 제한이 많았다. ITER에는 상온 ... ...
- ‘생체 시계’ 텔로미어 자라게 하는 비밀?알트(ALT)에 주목하라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단백질들이 결합하고 상당히 응축된 구조를 이루며 안정적으로 보호된다. 하지만 알트를 활용하는 텔로미어는 이러한 보호가 약해져 있어 텔로미어가 불안정한 상태라는 신호를 계속 내보낸다. 이러한 신호가 알트의 시발점으로 작용한다. 이때 텔로미어 길이를 회복시켜 줄 수 있는 단백질 기구가 ... ...
- 지구 어디서든 인터넷이?! 수만 대 스타링크 위성 군단 뜬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별이 내뿜는 빛의 파장 대역이 다르므로, 인공위성의 빛만 제거할 수 있다. 현재도 활용되는 데이터 전처리 과정(data reduction) 중 하나다. 하지만 이 과정을 거쳐도 인공위성의 흔적은 일부 남는다. 이런 흔적조차 남지 않는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허블 우주 망원경처럼 우주에서 관측을 ... ...
- 2020 과학동아가 만난 과학기술 이슈 TOP 5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등을 설명하고 ‘AI 면접’ ‘AI 수학 문제 풀이 애플리케이션’ 등의 다양한 인공지능 활용 사례를 기사로 소개했다. 5. 우주 탐사무인과 유인 우주 탐사 모두 굵직한 이벤트가 펼쳐졌다. 전 세계에서는 무인 화성탐사선을 쏘아 올렸다. 아랍에미리트(UAE)는 7월 20일 ‘아말’을, 중국은 7월 23일 ... ...
- 움짤, 과학자도 사랑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사진 정보를 담은 부호에 따라 DNA 조각을 만들고 대장균에게 주입했어요.연구팀이 활용한 GIF는 5장의 디지털 사진으로 이뤄져 있었어요. 연구팀은 이들 사진을 하루 한 장씩 차례로 5일 동안 대장균에게 저장했지요. 대장균에 DNA 조각이 안정적으로 합성되려면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에요. DNA ... ...
이전1411421431441451461471481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