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정"(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발 끝에 있는 6개의 센서로 압력을 재고 머리 위에 달린 유속계로 물의 속도와 방향을 측정해 무게 중심이 몸 가운데에 올 수 있도록 자세를 고친다. 만약 더 이상 버틸 수 없을 때는 뒷걸음질 쳐서 중심을 잡는다.하나의 해저 지형이 그려질 때마다 연구원들은 정용화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 ...
- 조곤조곤 풀어보는 문화재의 수수께끼 ④ 조선 왕릉 연구의 기틀을 닦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자료화하고, 정밀한 도면으 로 만들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습니다. 이렇게 만 든 정밀 측정 자료가 9000건에 달합니다. 이 자료는 두툼한 보고서 여러 권으로 묶여 나왔고, 문화재청의 각종 복원 사업은 물론 학계, 일반인들을 위해 제공 되고 있습니다. 조선 왕릉 학술 조사를 담당하고 있 는 황정연 ... ...
- EXO직캠 찍어볼까?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편집자 주과학동아의 외계행성탐사 중계는 계속됩니다. 여러 달에 걸쳐 광도변화를 측정 한 자료는 다음번에 발표할 계획입니다. 외계행성탐사 와 관련해 궁금한 점이 있 는 분은 풍문여고 조용현 선생님(astrozoom@sen. go.kr)께 연락주세요. ...
- 1 kg짜리 공이 무려 10억 원!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질량힘센터 의 이광철 책임연구원은 "1980년대 들어 플랑크 상수 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이론이 나왔는데, 질량이 플랑크 상수에 비례한다는 점을 이용하면 kg 원기를 대체하는 새로운 기준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런 데 꼭 기준을 바꿔야 할까. 120년에 기껏 50마이크로 그램 차이 아닌가. ... ...
- 파충류의 속사정 ②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렙타일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무척 많은데, 이런 성격 탓에 도망을 칠 때 뒤 도 안 돌아보고 죽을 힘을 다해 달린다. 측정된 이들의 질주 속도는 시속 약 35km로, 몸집이 훨씬 큰 육상선 수 우사인 볼트의 단거리 질주 속도(시속 38 km)와 맞 먹는 스피드다.박진영국내 유일의 도마뱀 전공 고생물학자이자 파충류 마니아. 공룡이나 ... ...
- 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측정한 게 없을까 해서 안주형 오큘러스 한국지사 차장에게 물어봤으나 “공식적으로 측정해서 발표한 자료는 없다”는 답만 들었다. 2012년 등장한 DK1으로 실험한 논문들이 작년부터 나오고 있는 걸 보면, 앞으로 최소 1~2년은 더 기다려야 크레센트 베이의 실재감 수치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대표적이 다. 단층대가 파쇄될 때 단층대의 전기전도도가 소폭 증가하는 현상을 응용한 측정방법도 나왔다. 지진과 인간의 투쟁은 현재진행형이다.네팔, 지진 빈발하는 지질학적 이유 - 크게 두 가지다. 먼저 네팔은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이 충돌하는 지점에 있다. 이번 지진은 두 대륙판이 충돌하는 ... ...
- 우리 몸 속에는 ‘녹색갈증’이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평소 상태, 과제를 하면서 긴장한 상태, 그리고 사진을 본 이후 상태로 나눠 맥박을 측정했다. 그 결과 과제를 하면서 빨라진 맥박은 사진을 보며 다시 느려졌는데, 도시보다 자연환경 사진을 본 집단에서 더 빨리 회복됐다. 심지어는 평소 상태보다 더 편안해 하는 것이 확인됐다. 아름다운 자연을 ... ...
- [생활] 나만의 주치의, 맞춤의학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심박수, 혈압, 호흡을 측정할 뿐 아니라 하루 활동량과 식사량, 뇌파도 점검한다. 측정 결과는 주치의 선생님에게 전달된다. 약을 먹어야 할 시간에 약물이 확인되지 않거나 몸에 이상이 생기면 바로 의사 선생님과 연결된다. 원격 진료를 받고 나면 처방 결과는 집에서 가까운 병원이나 약국으로 ... ...
- PART2. 소년이여, 신화가 되어라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싱크로율이 높다’). 비침습형 BMI는 수술을 하지 않고 두피에 센서를 붙여 전기신호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전기신호가 약해 인식률이 떨어지지만 사용이 간편하다. 두 방법을 모두 연구해본 김성필 유니스트 디자인 및인간공학부 교수는 “둘 사이에 굉장한 수준 차이가 난다”고 말한다. ... ...
이전144145146147148149150151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