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정"(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익숙하지만 낯선 이름들, V와 Hz 그리고 W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맥스웰의 선견지명이 옳았음을 눈앞에서 증명했다.헤르츠는 전자기파의 속도도 쟀다. 측정해보니 그값이 빛의 속도와 같았다. 빛도 전자기파의 한 종류임이 밝혀진 것이다. 전자기파 덕분에 우리는 오늘날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스마트폰을 쓸 수 있다. 하지만 정작 헤르츠 자신은 전자기파의 ... ...
- [Knowledge] 우주의 풍경을 그려내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관측자료가 정교해지면서 은하단을 이루는 은하들의 상대적인 운동속도를 더 정확하게 측정하게 됐다. 이를 바탕으로 초은하단의 움직임도 새롭게 분석할 수 있게 됐다. 천문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위 초은하단들이 모두 ‘거대한 끌개(Great Attractor)’라는 이름이 붙은 아벨 3627(왼쪽 사진➍) ... ...
- [지식] 안테나, 우주의 소리를 듣다!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은하수의 밝기를 지도로 그리는 데 성공한다. 은하수가 이동하는 길과 반짝이는 정도를 측정해, 우주 공간에서 발생하는 전파를 기록으로 남긴 것이다. 하지만 레버의 연구도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그들의 연구가 빛을 발한 건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일이었다.왜 하필 접시 모양일까?안테나는 ... ...
- 밤마다 그린라이트를 켜는 귀신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내지 않는 인공 버섯으로, 두 버섯의 표면을 끈적하게 만들어 곤충이 얼마나 접근했는지 측정할 수 있도록 했지요. 그 결과 LED를 넣은 인공 버섯에 더 많은 곤충이 붙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답니다. 빛이 곤충을 불러 모으는 역할을 한 셈이에요 ... ...
- 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5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헤르츠는 전자기파를 발생시키고 검출해 전자기파의 속도가 빛의 속도와 같다는 것을 측정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 맥스웰의 이론을 실험적으로 뒷받침한 것이다. 그리고 몇 년 뒤 이탈리아의 굴리엘모 마르코니는 헤르츠의 장치를 개량해서 전선 없이도 멀리까지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무선 ... ...
- 작은 세계와 큰 세계를 잇는 다리, 볼츠만 상수 KB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들어오고 나가는 열의 양과 온도를 이용해 계산할 수 있다. 하지만 W는 실험을 통해 직접 측정할 수 있는 양이 아니다. 때문에 볼츠만은 논리실증주의자들로부터 엄청난 공격을 받았다. 뿐만 아니라, 볼츠만의 기체 분자 운동론도 당시 과학계에선 거의 인정받지 못했다. 원자나 분자가 물리적인 ... ...
- 번데기 한 마리로 갈린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꺼내서 끓는 물에 담가요. 구더기 크기라는 게 워낙 들쭉날쭉해서 살아있으면 제대로 측정하기 어렵거든요.” 성장속도 그래프를 만들려면 한 종을 최소 다섯 개 온도대(20℃, 24℃, 28℃, 32℃, 35℃)에서 각각 한 달씩 관찰해야 한다.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한 온도에서 다섯 번은 반복해서 실험한다. ... ...
- 긁적긁적~! 가려움 극복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되지요.실제로 4계절 중 봄의 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높아요. 최근 5년 동안 계절별로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를 보면 봄이 57㎍/㎥로, 겨울(53㎍/㎥)이나 여름(36㎍/㎥), 가을(39㎍/㎥)보다 훨씬 높지요.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봄이 되면 가려움을 더 많이 느끼게 되는 거랍니다.*지질 : 탄수화물, 단백질과 ...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차죠. 광혈류측정기는 손목에 흐르는 혈액, 정확히는 혈관을 지나는 적혈구의 양을 측정합니다. 혈관속 적혈구는 녹색 LED 빛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거든요. ‘애플 워치’ 같은 스마트 워치는 사용자의 손목에 녹색 LED 빛을 쪼여 혈액이 이 빛을 얼마나 흡수하는지, 즉 적혈구가 얼마나 많은지를 ... ...
- [생활] 우주로 떠나는 시간여행 천문학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있다. 고유경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연구원은 “이미지에서 천체를 검출하고 그 밝기를 측정하는 SW만 해도 수십 개”라며, “SW마다 만들어진 목적이 다르고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잘 비교하고 써야 한다”고 말했다.김주한 교수는 “천문학 연구의 목적에 맞는 SW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 ...
이전1421431441451461471481491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