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emiconductor
반도채
반도
뉴스
"
반도체
"(으)로 총 2,56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소재혁신선도프로젝트 연구단 출범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6.10
연구단 출범식을 열었다. 프로젝트는 도전적 목표와 혁신적 수행방식을 도입해
반도체
와 디스플레이, 자동차 등 분야 100대 핵심품목의 자립화를 선도하는 사업이다. 5년간 2066억 원이 투입된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일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스타트업 지원을 위해 유럽 8개국 벤처캐피탈(VC ... ...
2천66억원 투입 소·부·장 연구 본격 착수…9개 연구단 출범
연합뉴스
l
2020.06.09
간담회도 열렸다. 소재혁신선도프로젝트는 도전적 목표와 혁신적 수행방식을 도입,
반도체
·디스플레이·자동차 등 분야 100대 핵심품목의 조속한 자립화를 선도하는 사업으로 앞으로 5년간 총 2천66억원을 투자한다. 5년 안에 개발된 기술에 대한 대형 기술이전을 완료하고 연구단별로 10억원 ... ...
수출효자 낸드플래시 수율 향상·항공부품 국산화 기여한 엔지니어들 6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6.08
“많은 분들의 열정과 노력을 대표해 받았다. 후속
반도체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해 한국
반도체
가 세계 1등을 유지하도록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옥 소장은 국내 최초로 항공용 고장력 볼트를 국산화하고 부품의 바깥 둘레를 톱니 모양으로 만드는 공작법인 ‘널링’ 등의 ... ...
[과학게시판] 태평양해양과학기지 설립 20주년 맞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5.30
가운데 ‘DMC 융합연구단’ 현판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DMC 융합연구단은 국방 무기체계용
반도체
부품을 국산화하고 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해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융합연구사업으로 마련됐다. ■ 한국연구재단은 다음달 1일자로 박종완 서울대 의대 약리학교실 교수를 의약학단장으로 ... ...
'궁금합니까, 휴먼?' AI 권위자 김정호 교수 30일 온라인 생중계
과학동아
l
2020.05.29
인공지능(AI)
반도체
전문가인 김정호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가 이달 30일 오후 2시부터 유튜브에서 온라인 강연을 연다. 이번 강연은 과학잡지 과학동아가 로봇, AI, 우주 분야 전문가와 함께 청소년을 위한 강연 및 체험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사이언스 보드’ 행사 중 하나다. 지난 4월에 ... ...
"내년에도 정부 R&D투자 의지 변함 없어…24조+알파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5.29
5세대 이동통신(5G), 인공지능(AI) 인프라를 강화하는 방향을 세웠다. 지난해 제시된 시스템
반도체
와 바이오헬스, 미래차 등 3대 핵심산업에 대한 지원도 꾸준히 이어질 예정이다. 김 본부장은 "위기의 시대일수록 눈앞의 이익만 좇지 않고 아이디어와 혁신으로 극복해야 한다"며 "막대한 R&D 예산을 ... ...
네이처 “한국R&D 톱다운 방식에서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전환” 평가
동아사이언스
l
2020.05.27
정부 주도의 톱다운 프로젝트가 선호됐다. 전쟁 후 정부에 의해 강조된 응용 연구는
반도체
제조 및 무선통신 네트워크 리더로 만들었다는 평가다. 그런데 지난 10년간 기초연구 투자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이뤄졌다. 경제 성장에 필요했던 패스트 팔로어 정책에서 퍼스트 무버가 되기 위한 ... ...
1억분의 5m 크기 나노 구조 관찰 가능한 현미경 개발
연합뉴스
l
2020.05.25
아닌 일반 대기 상태에서도 시료를 관찰할 수 있다. 최원식 부연구단장은 "초소형
반도체
, 나노포토닉스 등 분야에서 나노미터 수준의 해상력을 갖는 이미징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더 복잡하고 미세한 나노 구조까지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 ...
사람 눈보다 시력 좋은 인공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5
쌓아올려 반구 모양의 인공눈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유리로 된 반구 모양의 돔에
반도체
고분자 물질을 쌓아 올렸다. 당시 이 물질은 빛을 전자신호로 바꿔 광수용체와 같은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실제 광수용체만큼의 세밀한 구조를 구현하지 못했다. 판 교수는 “사람의 눈을 모방한 ... ...
"양자암호통신의 핵심은 '단일 광자'…생성효율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1
최근에는 신소재인 ‘전이금속칼코젠’이 원료로 쓰이기도 한다. 전이금속칼코젠은
반도체
와 금속 상태를 오가는 소재로 그래핀과 비슷하다는 게 박 교수의 설명이다. 박 교수는 현재 단일광자 생성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박 교수는 “전기를 이용해 단일광자가 1초마다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