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당함
적절함
합목적성
d라이브러리
"
적합함
"(으)로 총 2,077건 검색되었습니다.
버클리대학 고생물 박물관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과학 관련 인터넷 사이트를 영한대역으로 새롭게 만나십시오. 과학동아에 인기리에 연재되던 아시모프 칼럼의 뒤를 이어 이번달부터 새롭게 인터넷 영어 강좌를 시작합니다. 이 난은 인터넷을 뒤져 흥미 있는 사이트를 찾고도 이를 이해하지 못했던 분들이 실력을 쌓을 수 있는 좋은 길잡이가 될 ... ...
100m달리기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TV중계를 통해서, 혹은 직접 현장에 가서 운동선수들의 경기 모습을 지켜보는 사람들은 대체로 상반된 두 가지 시각을 동시에 갖는다. 우선 고도로 훈련된 선수들의 경이적인 체력과 놀랍도록 섬세한 기술에 감탄한다. 우리 자신은 마라톤 선수와 같은 속도로는 1km도 제대로 달릴 수 없고, 평균대 ... ...
유리병 vs PET병 어느 것이 환경친화적인가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강변이나 선창가에 가면 플라스틱 병들이 물위를 둥둥 떠다니는 것을 볼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은 이를 '잘 썩지도 않고 재활용도 힘든 플라스틱은 환경오염의 주범'이라고 말한다. 반면 "철캔이나 알루미늄 캔은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환경보호에 이롭다" 고 말한다. 그러나 그것이 사실일까? 혹시 캔 ... ...
Ⅰ. 지상은 초만원 땅속으로 간다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인구의 대부분이 몰려 있는 도시 공간은 이미 포화상태. 그러나 공간에 대한 수요는 더욱 늘어날 수밖에 없다. 땅 위에 살고 있는 사람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동안 방치해두었던 땅 속을 주목하고 있다. 사례 하나. 레알 지하도시프랑스 파리시 중심부 세느강 오른쪽면의 레알(Les Halles)에서 ... ...
선진국 식용수에 병원균 위험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마시는 물이 심하게 오염되는 일은 가난한 나라와 개발을 서두르는 후진국에나 있는 일로 여겨졌다. 그러나 최근 미국 미생물학회 학자들은 앞으로 몇십년 내 부유한 나라도 오염된 식용수 때문에 커다란 위험에 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물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환경오염이 심해지면서 가정이 ... ...
컬러 잉크젯 프린터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프린터의 대중화가 이루어지고, PC환경이 그래픽위주로 바꾸면서 잉크젯프린터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많은 사용자들에 의해 호환성과 성능을 검증받은 세 회사의 제품은 저마다 최고를 자랑하고 있는데….'공포의 소음덩어리' 도트프린터가 자취를 감춘 요즘, 대세는 레이저프린터와 잉크젯프린 ... ...
세상에서 제일 큰 인공 다이아몬드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무게가 3백20g이나 되는 1천6백 캐럿의 다이아몬드. 세상에서 가장 큰 이 다이아몬드가 왕관의 보석보다 더 반짝일 것 같다고 상상하는 것은 오해다. 이 다이아몬드는 지름이 30cm, 두께가 1.5mm인 원반형이기 때문에 보석으로 쓰기에는 부적합한 공업용품이다.미국 플로리다대학 재료공학과의 아데어 ... ...
'인공생명' 10문 10답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살아 있는 생명이 사람에 의해 만들어진다. 이 생명체는 동물도 아니고, 식물도 아니며 암수구별도 없다 오로지 '인공생명'이란 용어 밖에는 이 생명체를 정의할 방법이 없다. 디지털 세계의 완성판이 될 인공생명 연구는 과연 무엇을 꿈꾸고 있는 것일까.1 인공생명이란 무엇인가?인공생명(artificial ... ...
먹는 피임약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생기면 낳는다'는 식보다는 '적게 낳아 알차게 키운다'는 방향으로 가족계획이 이뤄지고 있는 추세다. 원치않는 임신을 피하는 방법으로 효과가 높은 경구피임제에 대해 알아보자. 약은 병 때문에 비정상이 된 인체기능을 정상으로 돌려주는 물질이다. 그런데 정상적인 생식기능을 의도적으로 차 ... ...
숙식제공받고 보초선다. 수도머멕스 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식물과 동물의 공생을 애기할때면 우리는 흔히 꽃과 꽃 사이를 날아 다니며 꽃가루를 옮겨주는 대가로 식물로부터꿀(nectar)을 선사받는 벌과 나비를 생각한다. 식물은 동물처럼 스스로 돌아다니며 배우자를 만나 짝짓기를 할수없기 때문에 벌이나 나비 등의 곤충은 물론 새나 박쥐같은 동물의 힘을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