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변은 없었다 2019 노벨상 리포트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노벨상의 주인공이 됐다. 미국 루이지애나주 리빙스턴과 워싱턴주 핸포드를 ‘ㄴ’자
모양
으로 잇는 라이고 검출기는 팔 하나의 길이가 4km에 이르는 거대한 측정 장치다. 올해 과학계 최대 이슈로 꼽히는 블랙홀의 그림자 관측은 이런 흐름에서 물리학상 수상이 조심스럽게 점쳐졌다. 결과 발표 ... ...
T-800, 28년 만에 등장 터미네이터도 늙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이 로봇 손은 상처가 나서 찢어져도 새로운 결합을 형성하는 반응을 일으켜 원래
모양
으로 복구된다. doi: 10.1109/ROBOSOFT.2019.8722781 또 2017년 한국화학연구원은 황 화합물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에 더해 새로운 물질을 만드는 ‘복분해반응’이 잘 일어나게 하는 신소재를 개발했는데, 이 신소재는 ... ...
[오일러 프로젝트] 미션! 끈으로 피타고라스 삼각형을 만들어라!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매듭을 지은 끈을 이용해 직각을 쟀다. 전체를 3개, 4개, 5개의 매듭으로 나누고 삼각형
모양
으로 연결하면 직각삼각형을 만들 수 있다. 이는 피타고라스의 정리(32+42=52)를 만족하는 자연수를 이용해 직각을 측량하는 방법이었다.이처럼 고대 그리스와 이집트시대에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만족하는 ... ...
[출동!기자단] 유산균이 태어나는 곳, 쎌바이오텍 연구소를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이어서 친구들은 다른 건물로 이동해 유산균 가루가 어떻게 곰돌이
모양
, 복숭아
모양
의 알약으로 태어나는지도 보았어요. 그 곳은 유산균 분말과 비타민 등 유산균 제품으로 만들어질 원료를 섞어 알약으로 압축하는 공장이었거든요. 그곳에서 친구들은 갓 만들어진 유산균 제품을 먹어 보기도 ... ...
블랙홀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무려 태양의 65억 배에 달하는 질량을 가지고 있지요. EHT 연구팀이 공개한 사진은 도넛
모양
의 빛과 중심의 어두운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블랙홀은 매우 강한 중력을 가지고 있어 빛도 탈출할 수 없는 천체로 알려져 있어요. 빛이 빠져나갈 수 없으니 바깥에서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아요. ... ...
지능×뉴런 지능은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이때 나왔다.하지만 현미경과 세포를 구분하는 염색법 등이 개발되자 전체적인 뇌의
모양
보다는 부위별로 담당하는 능력으로 지능의 원천을 구분 짓게 됐다. 여기에 뇌 영상 촬영기법과 뇌 속 뉴런(신경세포) 사이의 연결성을 확인하는 커넥톰(connectome) 프로젝트가 더해지면서 지능이 더 촘촘하고 ... ...
[맛있는 수학] 수학으로 나눠 먹는 생일 케이크
수학동아
l
2019년 10호
어떻게 자르면 될까요? 흔히 생각하는
모양
은 원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4번의 칼질로 같은
모양
의 8개 부채꼴을 만드는 방법일 겁니다. 흠, 확실히 이 방법이라면 아무도 불만이 없겠군요. 하지만 명색이 수학동아인데 이렇게 특별한 날 평범하게 케이크를 자를 수야 없죠! 케이크 자르기는 수십 개의 ... ...
블랙홀 어떻게 찍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전파 망원경을 만들어라! EHT 연구팀은 M87*이 내뿜는 전파를 관측하기 위해 안테나
모양
의 전파 망원경을 사용했어요. 이때 중요한 것은 가까이 있는 두 물체를 구분하는 ‘분해능’이에요. 분해능이 좋을수록 멀리 있는 천체를 더 명확히 볼 수 있는데, 그러려면 망원경의 크기가 커야 해요. 그런데 ... ...
지능×유전 지능도 노력하면 좋아지나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신경가소성이 클수록 학습 능력이 좋은 것으로 간주한다.당시 필자는 뇌 속 별
모양
의 신경교세포에서 발현되는 ‘아쿠아포린(Aquaporin)-4’라는 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성(SNP)*에 따라서 뇌의 변화 정도와 변화 양상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사람의 경우 이 유전자의 SNP 차이에 따라 언어학습과 ... ...
[수학뉴스]키리가미로 어떤
모양
이든 만들 수 있다
수학동아
l
2019년 10호
수학적인 최적화 접근법을 써서 절단 패턴을 찾은 뒤 실험을 통해 실제로 원하는 입체
모양
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이 방법을 물질의 절단 패턴을 응용한 건축 구조물을 만드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스’ 8월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