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양"(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긱블 메이킹 현장 급습, 다마스쿠스 호미 머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부분을 고정할 수 있는 ‘요동 링크’라는 부품을 하나 놓아봤습니다. 반원과 비슷한 모양을 그리며 움직이는 게 실제 호미질과 비슷해졌습니다. 요동 링크를 앞쪽에 설치하면 호미의 원운동이 작아지고, 뒤쪽에 설치하면 원운동이 커졌습니다. 나모 님은 요동 링크의 위치와 높이를 조금씩 ... ...
- [오일러 프로젝트] 메리 크리스MATH! 트리 속 수열 문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가장 큰 경로는 무엇일지 궁금해졌다. 한 걸음 더 나아가 한 자릿수들이 무작위로 삼각형 모양으로 나열돼 있을 때 항상 최댓값을 가지는 경로를 찾는 방법을 알고 싶어졌다. 200억 년을 1분 이내로 줄이는 방법 수를 읽기 힘들 정도로 많은 가짓수에 놀란 학생들에게 오일러는 좀 더 효율적으로 ... ...
- 소행성이 우리나라에 떨어진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위험에 대비하고 있어요. 알려진 소행성을 실시간 감시할 뿐만 아니라, 소행성의 밀도와 모양을 알아내거나 새로운 소행성을 찾지요. 지난해 중국 인공위성 ‘톈궁 1호’가 추락할 때도 이곳에서 위성추락상황실이 열렸어요. 톈궁 1호는 추락 전날까지 한반도에 떨어질 확률이 1%에 머무르다 결국엔 ... ...
- 150만 년 전 지구의 기록 빙하코어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게 아니라 깊이 있는 빙하를 시추해 뽑아낸다. 이렇게 뽑힌 빙하는 얇고 긴 원기둥 모양인데, 이를 ‘빙하코어’라고 부른다.지금까지 시추된 빙하코어 중 지구의 역사를 가장 장기간 담고 있는 빙하코어에는 지금부터 약 80만 년 전의 기록까지 새겨져 있다. 1996~2004년 유럽과학재단이 ‘EPICA (European ... ...
-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블랙홀의 강한 중력에 의해 휘어 둥글게 감기면서, 지름 약 1000억km의 약간 기울어진 고리 모양의 구조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실제로 이번에 확인된 블랙홀은 마치 달걀 속 노른자처럼 그림자 한가운데에 약 400억km의 크기로 담겨 있었습니다. 블랙홀 그림자 관측에는 한국 연구자 8명도 ... ...
- [프리미엄 리포트] ‘소부장’ 구하러 UST 드림팀이 뜬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말했다. 윤 교수팀에서 석사과정을 밟고 있는 박성우 연구원은 사람의 머리 모양과 크기, 색상 등의 이미지를 판별하는 인공지능을 연구하고 있다. 곽찬웅 석사과정 연구원은 얼굴에 있는 특징점 68개를 중심으로 개별 얼굴을 정확하게 인지하는 인공지능을 개발하고 있다. 장재윤 박사는 “사람이 ... ...
- [맛있는 수학] 소시지 추측으로 크리스마스 선물 싸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힘을 싣는 연구 결과를 발표합니다. 베트케 교수는 42차원 이상에서는 항상 소시지 모양 포장법이 최소 부피를 차지한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데 성공했죠. 하지만 여전히 5~41 차원에서는 소시지 추측이 증명되지 않았습니다. 5~41차원 세계 산타들이 마음 편히 선물을 포장할 수 있도록 빨리 밝혀지면 ... ...
- [전지적 수학 시점] 1010! 경우의 수로 최고 점수 얻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하는 방법이 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테트리스 프로 선수들은 크기가 다른 사각형 모양을 모자르거나 남는 부분 없이 채우는 블록 조합을 외운다고 합니다. 사각형을 잘 만들면 세로로 길쭉한 블록을 놓아 한 번에 여러 줄을 지울 수 있기 때문이지요. 비슷하게 1010!에 나오는 블록을 조합해 ... ...
- [출동!기자단] 퍼즐로 로봇, 공룡까지? 규즐 체험관을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사각형 큐즐 조각을 이어 붙이면 큰 오각형, 육각형 조각을 만들 수 있거든요. 이처럼 모양과 크기가 같아서 완전히 포갤 수 있는 두 도형을 ‘합동’이라고 표현해요. 큐즐을 이용하면 합동인도형을 여러 개 만들 수 있지요. 이효성 대리님의 설명을 들은 친구들은 그때부터 작은 조각으로 합동인 ... ...
- 아폴로부터 아르테미스까지, 우주복의 진화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영하 157도부터 영상 121도까지 극한의 환경에도 견딜 수 있다. 헬멧 부위에 있던 헤드셋 모양의 통신 시스템은 제거했다. 헬멧 안에서 땀이 나면 우주 비행사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대신 우주복 위쪽에 마이크를 내장했고, 이 마이크는 우주 비행사의 목소리를 자동으로 포착해 ...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