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아리
독
병
오직
유일
포트
다만
d라이브러리
"
단지
"(으)로 총 2,06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CD-ROM, 이렇게 움직인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의미한다. 띠라서 이 디스크에 들어있는 내용을 지우고 다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으며
단지
입력돼 있는 내용을 읽어볼 수만 있을 뿐이다.그러므로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읽기와 쓰기가 모두 가능한 녹음 태이프와는 완전히 다르다. 그렇다면 CD-ROM은 녹음테이프만도 못한 저장장치인가? 결론부터 ... ...
디지털 고속도로 종합정보통신망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올해안으로 범국가적인 추진위원회와 운영전담기구를 구성하고 오는 7월 서울-대덕연구
단지
간 6백22Mbps급 시험통신망을 구축해 고선명 영상기술을 시범전송할 예정이다 ... ...
빛의 밀도비 f수에 따른 망원경 선택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값이다. 길이를 표현하는 단위와 지름을 표현하는 단위가 같으므로 f수의 단위는 없고
단지
숫자로만 표현된다. 카메라의 렌즈 안쪽에 표시된 1.4 2 2.8 4 5.6… 이라는 숫자도 f수를 나타내는 값이다. 지금부터 표현하는 4인치 망원경은 f수가 5이지만 6인치 망원경은 f수 8인 것을 일컫는다.이 두망원경을 ... ...
유·무선 단점보완한 레이저통신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국경지대의 단거리통신용으로 레이저를 쓰고 있다.정유공장이나 제철소 조선소 연구
단지
등에 근거리통신망을 구축할 때도 레이저는 제몫을 발휘한다. 가령 조선소에서 지상과 수십m 상공의 골리앗 크레인을 연결할 때 레이저를 이용하면 통신이 원활해진다.우주공간에서 레이저는 앞으로 유력한 ... ...
2. 카오스운동 지배하는 새로운 질서 '끌개'의 비밀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미래는 초기조건에 의하여 과거와 마찬가지로 결정되어 있고 완전히 예측가능하며
단지
확률의 도입은 관찰에서의 불완전성에서 기인한다고 한다. 그러나 양자역학에서의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원리는 미시적 양자 세계에서의 근원적 비예측성(unpredictability)을 강조했으며 결정론적 세계관의 ... ...
허블망원경 수리 성공하기까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우리 시대의 기적으로 표현할 만하다"라고 말하고 있다.무스그레이브의 이번 임무는
단지
우주의 새로운 비밀을 캐내는 문제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NASA는 오래전부터, 미래의 우주 개발 계획은 인간이 경제적으로 우주에서 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라고 공언해왔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우주 ... ...
3.3년 주기 엥케혜성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관측하다 보면 다른 때보다 무척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것 같지만, 실제는 그렇지 않다.
단지
정지된 지상의 물체 사이를 움직이기 때문에 느낌이 그럴 뿐이지 중천에서 움직일 때와 마찬가지 속도다.토성이 지는 시각은 1일 부터 10일 간격으로 각각 21시 7분(1일) 20시 32분(11일) 19시 58분(21일) 19시 24분 ... ...
생활속의 '순간벼락' 정전기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흡착되도록 한다.그러나 반도체가 들어간 기계를 가동하는 공장에서 정전기는 역시 '애물
단지
'일 뿐이다. 심심치 않게 발생하는 공장의 오작동(誤作動)이나 자기기억장치의 데이터 소실 등은 상당부분 정전기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이들 공장에서 입는 방진복(防塵服)은 먼지와 함께 ... ...
3. 로봇제작·기상예측·통신암호화 등 각분야에서 연구 활발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아니다.때로는 확산(dissipation) 등의 메커니즘에 의해 실제로 고려되어야 할 변수의 수가
단지
몇개인 경우로 귀착되는 예가 또한 많다. 이와같이 계의 운동에 관여하는 변수들이 많지 않을 때, 그 계의 운동을 예측하기 위한 노력의 양은 훨씬 줄어들 것이며, 결정론적 방법을 이용한 해석의 가능성은 ... ...
다비의 불길 속에서 태어나는 사리의 신비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무엇보다 사리 자체를 분석해 본 적이 없기 때문에 뭐라 말하기 어렵다"고 전제하며 "
단지
우리 몸에서 가장 흔한 무기물이 칼슘이고 이 칼슘이 고열 속에서 다른 유기물질들과 결합되어 어떤 화학변화를 일으켰을 가능성 등을 추측할 수 있다"고 말한다.서울대 의대 서정돈교수(내과)는 이 의견에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