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아리
독
병
오직
유일
포트
다만
d라이브러리
"
단지
"(으)로 총 2,066건 검색되었습니다.
페르세우스 유성우 여름밤 별똥축제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아니라, 하나(금성)는 상현달 모양을 하고 있고 다른 하나(스피카)는 육안으로 볼 때처럼
단지
별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금성의 크기는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으므로 위상변화와 시직경의 크기 변화를 2-3일 간격으로 관측해보자.□ 혜성 충돌후의 목성슈메이커-레비혜성의 충돌로 엄청난 ... ...
한국곤충-삶의 신비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통해서 공존하며 진화하여 번영을 누리고 있는 것이다.곤충의 다양성의 연구는
단지
다양을 추구하는 것만이 아니라 다양성을 낳는 본질을 이해하는데 중요성이 있고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지구상에는 현재 전 생물의 4/5를 차지하는 약 1백50만종의 곤충이 보고돼 있다. 해마다 새로운 ... ...
북한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따로 있어 엘리트 과학자를 양성한다. 평양고등학교와 평양이과대학은 평양교외에 과학
단지
를 형성하고 있는데, 특히 이과대학은 남한의 과학기술원과 유사점이 많다.이들 연구 기관의 연구과제는 국가적 필요에 의해 국가 계획위원회에서 연구계획이 승인돼 필요한 연구자료와 경비를 지급받는 ... ...
(2) 2050년 바닷물 넘쳐 한반도 면적 준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상태도 아니며 결과 자체를 의심없이 받아들일 수 있는 절대적인 것도 아니다. ${CO}_{2}$가
단지
2배의 농도에서 증가를 그칠 아무런 이유가 없으며 영향 평가에 사용된 기후모델은 수십년 후의 기후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수준도 아니기 때문이다.더구나 한반도에 있을 기후변화를 정확하게 ... ...
PART.1 두눈 시각차 이용, 환상의 3차원 영상 만든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것이라고 할 수 있다.이 방식은 입체 이미지의 결정체라고 할만하다. 일반적으로 사진은
단지
물체에서 반사되는 빛의 강약을 기록하는 것에 그치지만 홀로그래피는 빛의 강약 외에 위상(깊이정보)도 기록한다. 홀로그램제작에는 피사체에 광파가 닿는 순간 피사체로 부터 나온 진폭과 위상의 ... ...
헬기타고 하늘에서 지질탐사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폭 넓게 활용된다.지금까지의 연구결과는 농업진흥공사의 '첨단기술 농업생산
단지
지하수 물리탐사' 등 3건의 사업에 활용된 바 있다. 남한의 항공탐사는 3단계에 걸쳐 2002년까지 진행 완료될 예정이다. 이 작업이 끝나면 앞으로 석유 가스 지열 등의 자원뿐만 아니라 지진 지반안정도 조사 ... ...
밤하늘의 길잡이 쌍안경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사출동공이 5㎜인 쌍안경에서 최대로 밝은 상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중년의 사람이
단지
밝은 상을 얻기 위해 사출동공이 7㎜인 7×50 쌍안경을 고른다는 것은 무의미하다.● 눈거리(eye relief):눈거리의 의미는 전체 시야를 볼 수 있는 눈의 위치를 말한다. 특히 안경을 낀 사람들은 주의해서 ... ...
(1) 지구온난화, 사람 못살게 된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탄산가스일 것이며 현재 주요 대기 구성 기체인 질소(${N}_{2}$) 와 산소(${O}_{2}$)는
단지
몇%에 불과할 것이다. 대기 구성 성분 중 90% 이상이 탄산가스인 금성은 이 탄산가스의 온실 효과로 지표 기온이 약 5백23℃ 정도 상승돼 있다. □ 지권암석과 토양으로 구성된 지권은 기후 영역중에서 가장 느리게 ... ...
우라늄·플루토늄·핵무기의 삼각관계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한다.이 작업은 방사화학실험실이라 부르는 곳에서 시행한다. 북한 영변 방사화학
단지
는 6층건물로 1985년에 착공해 96년에 완공될 예정. 그러나 일부 시설은 이미 가동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재처리과정에서는 장갑상자가 쓰이는데, 이는 플루토늄에서 방출되는 방사선을 작업자와 격리시키기 ... ...
역대 대통령 과학성적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설립(1967년), 기술개발촉진법 제정 및 종합과학기술 심의회 설치(1972년), 대덕연구
단지
건설 착수 및 한국과학원(KAIST) 개원(1973년) 등이 일단 연표상에 나타난 그의 업적이다. 곧 국가적인 차원에서 과학기술의 밭을 갈고 씨를 뿌리는 역할을 맡은 것이다. 이러한 그의 의지는 1976년 과학기술처를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