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핏줄
혈맥
피쭐
핏줄기
뉴스
"
혈관
"(으)로 총 2,005건 검색되었습니다.
“건강하다면 아스피린 먹지마라”
동아사이언스
l
2018.09.18
발병율(2.7%)보다 되레 더 높게 나타났다. 건강한 사람이 아스피린를 복용한다고해도 심
혈관
질병을 예방할 수 없다는 뜻이다. 또 연구진은 치매나 다른 운동 장애 발병률도 함께 조사했지만 아스피린 복용 습관과의 연관성은 전혀 찾지 못했다. 존 맥네일 모나쉬대 역학및예방의학과 교수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존재한다는 걸 발견했다. 인슐린이 물속으로 퍼지면 물고기 아가미 사이로 들어가
혈관
으로 흡수된다. 그 결과 물고기는 혈당 수치가 급격히 떨어지면서 저혈당쇼크를 일으켜 동작이 느려지고 정신이 혼미해져 청자고둥에게 잡아먹힌다. 코누스 지오그라푸스의 사냥용 인슐린은 아미노산 4 ... ...
아토피 앓는 쥐에게 발라줬더니...
동아사이언스
l
2018.08.31
부족한 실정이다. 가장 흔히 처방되는 국소용 스테로이드제는 피부가 얇아지거나
혈관
이 확장돼 2차 감염을 일으키는 부작용이 있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X형 DNA 나노입자가 피부염이나 알레르기 질환의 새로운 치료제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
“너무 적게 자도, 너무 많이 자도 심장 탈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29
이 같은 결론을 얻었다. 수면 시간 못지않게 질이 중요하다는 결과도 발표됐다. 스페인 심
혈관
연구센터(CNIC) 연구팀은 중년 남녀 4000명의 손목에 측정 장치를 달아 자면서 얼마나 뒤척이는지를 파악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잠을 뒤척이는 사람은 깊은 잠을 자는 사람에 비해 동맥경화에 걸릴 ... ...
'무선랜 많이 쓰면 암에 걸린다?'...암을 둘러싼 현대의 미신들
동아사이언스
l
2018.08.21
질병이라는 믿음을 심어준 것이다. 2016년 남아프리카에서 발견된 공룡의 뼈 화석에선
혈관
종양의 흔적이 확인됐다. 암은 우리가 아는 것보다 더 오래 전부터 지구상의 생명체를 괴롭혀 왔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대표적인 장수동물인 바다거북에서도 암은 흔한 질병이며, 인간에서만 나타나는 ... ...
생체리듬 바꾸려면?...신경세포 2000개만 조절하면 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14
약 9%가량 (오차범위 2.4%)의 신경세포만이 생체리듬을 바꾸는 신경전달 물질인 '소장
혈관
성 단백질(이하 VIP)'을 만들 수 있음을 확인했다. 쥐의 SCN 내 신경세포 중 약 2000여 개만이 VIP를 생산할 수 있단 뜻이다. 특히 VIP를 만드는 신경세포는 두 종류로, 항상 긴장을 유지하다 빛 자극이 왔을 때 계속 ... ...
[강석기의 과학카페] RNA간섭, 20년 만에 의약품으로 결실 맺다!
2018.08.14
도식화한 그림이다. 파티시란을 정맥투여하면(a) RNA이중나선이 들어있는 지질나노입자가
혈관
을 타고 다니다 표적인 간세포로 들어간다(b. 나노입자 표면에 ApoE 단백질을 붙여 간세포 표면의 ApoE 수용체에 달라붙게 했다). 세포 안에서 나노입자가 해체되며(c) RNA이중가닥이 빠져나와 다이서에서 ... ...
암세포 끌어당기는 ‘자석 철사’
과학동아
l
2018.08.14
달라붙은 나노 자석입자가 모이게 했다. 연구팀은 돼지에게 이 기술을 시험했다. 그 결과
혈관
속 종양세포를 고립시켜 모으는 현재의 암 검출법보다 10~80배 더 많은 종양 세포를 끌어당기는 것으로 확인됐다. 스탠터드대 내 암 조기 발견을 위한 개너리 센터 책임자이기도 한 샌지브 감비르 방사선과 ... ...
백혈병, 뇌로 전이되는 경로 확인
과학동아
l
2018.08.10
통해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환자의 림프구가 척추 골수나 두개골 내 골수에 연결된
혈관
을 따라 움직이며, 외부물질의 침입을 막는 뇌-
혈관
장벽을 우회해 지주막하강으로 직접 침입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지주막하강은 뇌를 감싸는 뇌막 중 지주막과 연막 사이의 공간이다. 십킨스 교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추위로 몸을 떨 때(shivering) 나오는 숙신산이나 음료로 섭취한(ingestion) 숙신산이
혈관
을 타고 갈색지방세포 안으로 들어가 미토콘드리아에서 푸마르산으로 산화될 때 나오는 활성산소가 UCP1을 활성화시켜 열생성 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인다. 사람에서도 이 결과가 재현될지 궁금하다. - 네이처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