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질
품질
성질
재질
속성
품계
여성 성기
d라이브러리
"
질
"(으)로 총 5,00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태반이 이름이 없다. 우주보다도 미지의 세계다. "왜 미생물 신종을 찾아야하냐"는
질
문에 조 교수는 "호기심 때문"이라고 답했다. "박테리아를 연구해서 얻는 수많은 유용성을 열거할 수도 있지만, 솔직히 그렇게 하고 싶지 않다"고 말을 이었다. "지금 당장 돈이 되지 않는 지식도 필요해요. 19세기에 ... ...
[hot science] 아침사용설명서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쪽이 몸에 좋은지는 아직도 논란이다. 밤에 하루 동안 외부에서 쌓인 먼지와 안 좋은 물
질
을 씻어 낸 뒤 기분 좋게 자야 한다는 말도 일리가 있다. 아침에 샤워를 해서 빠르게 잠을 깨는 게 좋다는 것도 사실이다. 밤새 부스스하게 변한 머리를 정리할 수도 있고.여기서는 아침 시간을 효율적으로 쓰는 ... ...
[hot science] 초고층의 저주, 수직도시 안녕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재송동의 응급구조 기록을 연구한 결과가 같은 학술지에 실렸는데, 역시 층수가 높아
질
수록 구조 시간이 늘어났다. 초고층 지어야 할까사실 초고층과 관련해 떠올릴 수 있는 문제는 대부분 상식적이다. 큰 건물이 들어서면 교통체증이 일어나는 것은 당연하고, 높은 곳에 살면 구급대가 도착하기 ... ...
[life & tech] 과학자와 예술가의 만남 2014 아티언스 오픈랩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늦여름 대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뉴턴의 사과나무’ 옆에 노란 컨테이너 9개가 나타났다. 한 컨테이너 안에 들어서자 소수점 9자리까지 표시된 디지털시계가 제일 ... 말을 새겨 봄직하다. 처음부터 엄청난 것을 기대하면 금물이다. 아직은 서로 더 많이 친해
질
시간과 기회가 필요하다 ... ...
[Photo] 숨쉬지 않고도 살아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이용해 실감나게 표현했다. 그렇다면 문어나 새우는 어떨까.작은 새우새우는 구우면 껍
질
이 빨갛게 변한다. 과연 이 새우도 그럴까.물 밖으로 뾰족 나와있는 수염은 과연 진짜일까 그림일까 ... ...
[life & tech] 가족이 화병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비슷한 증상을 경험하는 사람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어떨까요? 이 병이 정신과의
질
병이든 아니든, 만일 가족 간의 경험이 문제의 주된 요인이라면 우리가 서로를 대하는 방식에 대해서 한 번쯤은 성찰해 보는 것도 의미 있지 않을까요 ... ...
[career] 서울공대카페 21 조선해양공학과 “커다란 고래 같은 공학”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우리를 추월한 것은 아닙니다. 중국이 양적으로는 우리를 뛰어 넘었을지 모르지만
질
적으로는 아직 한참 모자랍니다. 우리 기술은 중국에 20~30년 가까이 앞서있습니다. 우리 조선 산업은 여전히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Q 조선해양공학과를 졸업한 선배들은 어떤 일을 하고 있나요? A 대형 조선사에서 ... ...
[생활] 아이스버킷 챌린지 열풍의 비밀 복잡계 연결망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SNS 친구 수는 거듭제곱분포를 따른다!가끔 우리가 사는 세상이 너무나도 좁다고 여겨
질
때가 있다. 몇 다리만 건너면 유명인이 나와 연결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같은 특성을 ‘좁은 세상 현상’이라고 한다. 이는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들을 단번에 연결시켜 주는 지름길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 ...
어린이만큼 똑똑한 돌고래와 원숭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맞힐 때마다 먹이를 주시거든요. 제가 덧셈, 뺄셈뿐만 아니라 곱하기와 나누기도 가능해
질
때까지 기다려 주세요. 그럼 저는 이만 산수공부를 하러 갈게요. 안녕~ ... ...
5th 마틴 가드너의 퍼즐 캠프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찾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 2007년 독일의 수학자 요하네스 바더와 프랑스의 수학자
질
클레망은 직선의 개수에 따른 삼각형의 최댓값이 될 수도 있는 값을 구했다(아래 표). 정확히 말하면, 삼각형의 최대 개수를 구한 것이 아니라, 적어도 특정 수 이상은 넘지 않는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그렇다면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