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동기선
보트
보우트
동력선
모터보트
함재정
작은보트
d라이브러리
"
작은배
"(으)로 총 3,250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라온 호, 극지 심해서 자원 확보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쇄빙선이 왜 필요하냐고요? 집을 오가려면 교통수단이 필요하잖아요. 그동안 한국은 남극에 기지(집)는 있었지만 이곳을 자유롭게 오갈 수 있는 쇄빙선(교통수단)은 없었어요. 쇄빙선이 꼭 필요할 때면 하루에 8000만 원을 써가며 다른 나라에서 빌렸습니다. 앞으로는 꽁꽁 언 바다를 뚫고 기지에 ... ...
비버 선생의 건축 비법 건툴의 달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헉헉~. 어휴~, 힘들어.지금 어디 가냐고요? 전 지금 최고의 건축가를 찾아가는 길이에요. 평생 동안 꿈꾸어 오던 나만의 집을 의뢰하기 위해서지요. 아! 바로 저기 있군요. 역시 최고의 건축가답게 아름다운 숲 속에서 일하고 계시는군요. 앗! 잠깐만요. 그런데 최고 건축가의 생김새가 좀 이상한데요? ... ...
여름밤 불청객 모기 뒤집어 보기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창~문을 열어다오. 나의 사랑 줄리엣~."이 세레나데를 부르고 있는 주인공은 다름 아닌 모기다. 다른 동물이 짝짓기 철에 마음에 드는 상대를 발견하면 몸을 화려하게 꾸미거나 힘을 과시하거나 소리를 지르면서 사랑을 표현하듯이 모기도 이상형을 만나면 '노래'를 부른다. 특이하게도 모기가 '노 ... ...
한국인 입맛 사로잡은 먹을거리 오징어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큰그림 보러가기 편집자주 물고기는 엄밀하게 말하면 아가미를 갖고 물에서 사는 척추동물(어류)이지만 연재 '밥상에 오른 물고기'에서는 쭈꾸미, 꽃게, 오징어처럼 물에서 살면서 밥상에서 만날 수 있는 동물도 다룬다. 외국 사람 중에는 생김새가 이상하고 고약한 냄새가 난다고 해서 오징어를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과학영재학교와 과학고 입시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의 비중이 커지고 문제 유형 또한 바뀌고 있다. 출제가능성이 높은 예상문제를 풀어보면서 실전감각을 길러두자. 화 학 1. 아래 그림은 철제 숟가락에 은도금을 하기 위한 실험 장치이다. 1) A극과 B극이 각각 어떤 극인지 설명하시오. 2) 직류 ... ...
아폴로의 달 착륙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1969년 7월 21일 오전 5시 17분 40초(한국시각) 달에 착륙해 21시간 31분 20초간 머물며 2시간 36분 40초에 걸쳐 월면 활동을 하고 21.55kg의 달 암석을 수집한 아폴로 11호. 아폴로 11호의 닐 암스트롱 선장이 남긴 최초의 발자국은 온 인류의 머릿속에 각인됐다.닐 암스트롱을 포함해 위험한 비행에 나선 21명 ... ...
점점 작아지는 베텔게우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오리온자리가 달라지고 있다. 6월 9일 미국 캘리포니아 파사데나에서 열린 미국천문학회에서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찰스 타운스 교수팀은 오리온자리의 가장 밝은 별인 ‘베텔게우스(알파별)’가 점점 작아지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지난 15년 동안 크기가 15%나 줄어들었다는 내용이다. 베 ... ...
[핫이슈] 7월 22일 태양이 빛을 잃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7월 22일 태양의 대부분이 달에 가려지는 부분일식이 일어난다. 주변이 갑자기 어둑해지고 초승달처럼 가늘어진 태양이 하늘에 빛난다.이날 서울에서 태양을 보면 최대 약 79%가 가려진다. 이는 1948년의 금환식(태양 가장자리가 금가락지 모양으로 보이는 일식) 이후 가장 많이 가려지는 일식이다. 태 ... ...
난쟁이 인류 '호빗(호모 플로레시엔시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32003년 호주와 인도네시아의 고인류학자들은 아시아에서 호주로 처음 이주한 현생인류, 즉 호모 사피엔스의 흔적을 찾는 탐사를 진행하고 있었다. 이들은 인도네시아 플로레스 섬의 한 석회암 동굴에서 예상치 못한 인류의 골격을 한 구 발견했다. 동굴 이름인 ‘리앙 부아’(Liang Bua)의 앞 글자와 ... ...
나노 세계 들여다보는 차세대 X선현미경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뼈에 금이 가거나 폐에 이상이 생기면 병원에서 X선 촬영을 해 이상 부위를 찾는다. X선은 투과력이 높아 환자의 몸 안을 속속 들여다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병원에서 쓰는 X선 장치로는 1mm 이하의 크기는 보기 어렵다.과학자들은 더 작은 세계를 속속들이 파악하기 위해 X선으로 사물 내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