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동기선
보트
보우트
동력선
모터보트
함재정
작은보트
d라이브러리
"
작은배
"(으)로 총 3,25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하는 힘!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순수 우리 시스템 공학으로 만든 아리랑위성 2호가 보내 온 영상을 마음껏 만져 보고 싶었어요."항공우주연구원 위성정보연구소 영상검·보정기술팀 최명진 박사는 항우연과의 인연을 이렇게 전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위성이 촬영한 일종의 디지털 사진인 위성 영상을 평가하고 흐릿한 영상을 바 ... ...
파란만장 독립투사 되기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필리어스 포그의 80일간의 세계일주에 도전하는 경성 최고의 허풍쟁이 허풍! 여러 관문을 거쳐 선발된 허풍의 조수 나도형과 함께 첫 여행지인 일본으로 향한다. 그런데 등 뒤에서 들리는 호루라기 소리. ‘삐익~!’ 뒤돌아 보니 순사가 이리 오라며 손짓하고 있다. 아니, 무슨 일일까? 도착하자마자 ... ...
걸리버 여행기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Prologue_ 영국인인 레뮤엘 걸리버는 어린 시절부터 자신이 언젠가는 세계를 여행하게 될거라고 믿고 있었습니다. 마침내 어른이 된 걸리버는 의사 자격으로 배를 타고 머나먼 땅으로 항해를 떠납니다. 그런데 걸리버가 탄 배가 암초에 부딪쳐 산산조각이 나고 맙니다. 바다를 표류하던 걸리버는 이 ... ...
우리 몸속의 민들레 꽃밭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민들레 꽃밭대상 | 김지영·충북대 의대 해부학교실크레파스로 그린 것 같은 노란색 민들레 꽃이 화면에 가득하다. 큰창자의 일부분인 결장의 점막을 절단해 창자샘을 광학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이다. 사진에서 꽃처럼 보이는 부분은 창자샘이며 가운데 길쭉한 동그라미는 창자샘의 내강이다. 내강 ... ...
힘찬 기상과 애절함을 담은 소리 피리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뿌우’, 뱃고동처럼 우렁찬 소리가 작은 대나무관으로 뿜어져 나온다. 피리는 국악기 가운데 크기가 작은 악기에 속하지만 어느 악기에도 음량이 뒤지지 않는다. 큰 소리 덕분에 합주에서 주선율을 연주하는 가락악기로 쓰이며 음악 전체를 이끄는 역할도 한다. 피리는 낮은음에서 힘찬 기상을 ... ...
약수와 배수, 누가 만들었을까?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약수와 배수는 누가 만들었을까? 이 질문은 마치 자연수와 분수는 누가 만들었냐고 묻는 것과 같다. 자연수와 분수 개념이 단 한사람의 아이디어로 창조된 것이 아니듯 약수와 배수 개념 역시 오랜 세월 동안 은연중에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터득한 개념이다. 원시시대 사람들도 같은 수를 반복해서 ... ...
실생활에 꼭꼭 숨은 약수와 배수 찾기!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약수와 배수 개념은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사용될까?가장 흔한 예는 고속버스나 비행기 등의 운행 시간표를 만들 때다. 각 고속버스의 배차 간격이 약수와 배수 관계로 규칙적이라면, 모든 고속 버스가 언제 터미널에 도착하고 출발하는지 정확히 예측해, 버스 운행을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다. ... ...
왜 2000원짜리 돈은 없을까?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우리의 일상생활은 경제와 밀접하게 관련돼 있습니다. 매일매일 돈과 관련된 상황을 겪기 때문이죠. ‘이 문제집을 살까?’ 아니면 ‘저 문제집을 살까?’와 같은 사소한 갈등에서부터 ‘비싼 게임기를 살 것인가? 말 것인가?’와 같은 커다란 고민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선택의 상황에 놓이게 됩니 ... ...
밤하늘 별은 얼마나 많을까요?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우리 주위에는 총총한 별들이 마치 헤아릴 수 없이 거대한 양떼처럼 고분고분하게 고요히 그들의 운행을 계속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따금 이런 생각이 내 머리를 스치곤 했습니다. 저 숱한 별들 중에 가장 가냘프고 가장 빛나는 별님 하나가 그만 길을 잃고 내 어깨에 내려앉아 고이 잠들어 ... ...
국내 하나뿐인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축산길 77 오목천동 564 국립축산과학원 ‘바이오장기 SPF 미니돼지 생산연구동’. 이 건물에 있는 가로 154m, 세로 90m의 인큐베이터 안에 ‘사람보다 귀한’ 돼지가 산다. 안타깝게도 그는 이 공간을 벗어날 수가 없다. 몸이 너무 깨끗해서 밖으로 나오면 온갖 세균과 바이러스의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