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밖"(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무선전력전송, 피 안 뽑는 혈당측정기 만든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무선전력전송할 때는 열화상카메라로 한 시간 동안 관찰했습니다. 다행히 체온이 0.3℃밖에 안 오르더군요.” 캡슐형 내시경 연구는 작년 12월 전자파 분야의 권위지인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 마이크로파이론및기술(IEEE-MTT)’에 실렸다.캡슐형 내시경, 심장박동기, 혈당측정기, 인공시신경 등 ... ...
- [Life & Tech] 100년을 속인 가짜 혀 지도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에너지에 대한 정보를 주는 맛”이라고 강조합니다. 그러니 혀가 단맛에 민감할 수밖에요. 그런데 재미있게도 설탕이나 과당 등 단맛 물질은 쓴맛 등에 비해 수용체와 결합하는 능력이 상당히 약합니다. 이건 우리 몸이 설탕을 최대한 많이 먹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최 이사는 이렇게 말하지요. ... ...
- [Hot Issue] ‘멍~ 때리는 동물?’ 파충류는 억울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분비기관(땀샘)이 없기 때문에 파충류는 땀을 흘리지 못한다. 체내의 노폐물을 원활하게 밖으로 배출시킬 수가 없는 것이다. 하지만 덥고 건조한 환경에서 몸속의 수분이 증발하지 않게 하는 데에는 유리하다. 뒤통수에 발달한 구멍은 파충류가 입을 닫았을 때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큰 턱 근육이 ... ...
- [Hot Issue] 공룡 이전, 최상위 포식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여러분~, 제 말 안 들리세요? 휴…, 여러분. 급하게 뉴스를 마쳐야 할 것 같습니다. 물 밖의 날쌘돌이, 카르누펙스 카롤리넨시스. 그리고 물 속의 지배자, 메토포사우루스 알가르벤시스. 누가 더 강한지 알 수는 없지만, 두 종 모두 각자의 영역에서 최선을 다해 자신의 자리를 지켰습니다. 어쨌거나 ... ...
- [Knowledge] 불완전한 자연미인 다이아몬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일부는 반사되고 일부는 안으로 굴절돼 들어간다. 다이아몬드가 반짝이려면 입사한 빛이 밖으로 새어나가지 않고 되돌아 나오도록 정밀한 길이와 각도로 연마해야 한다. 만약 연마가 정밀하지 못하면 빛이 뒤로 빠져나가 버린다. 우리가 흔히 떠올리는 다이아몬드 모양은 1919년 폴란드의 다이아몬드 ... ...
- [Life & Tech] 너는 나의 봄이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오늘은 집에서 쉬고 싶어”라고 말한 게 화근이었습니다. 연애 5개월 만에 간이 배 밖으로 나와 버린 거지요. 죄(?)는 미워하되 사람은 미워하지 말라했으니, 다크서클을 턱까지 끌어내리고 영혼을 쑥 뽑아버린 중간고사를 탓해야겠지요. 소년도 시험을 봤을 텐데 왜 이렇게 쌩쌩하냐고요? …소년 ... ...
- 영종대교 차량 106대 추돌 사고 원인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역할을 해서 더 짙은 안개를 만들었어요.그 결과 사고 당시 영종대교의 *가시거리는 10m밖에 되지 않았어요. 도로교통법에 따르면 가시거리가 100m 이내의 도로에서 운전할 때는 평상시 최고속도보다 절반으로 속도를 낮춰야 해요. 사고 지점의 제한속도가 100km이니 50km 속도로 달려야 했지요. 하지만 ... ...
- PART2. 소년이여, 신화가 되어라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굉장한 수준 차이가 난다”고 말한다. 비침습형을 이용한 로봇이 동서남북 방향 정도밖에 못 움직이는 반면, 침습형은 임의의 각도와 속도로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다. 침습형이 훨씬 자유도가 높다. 적과 싸워야 하는 에바는 선택의 여지없이 무조건 침습형이다. 헌데 14살짜리 아이들의 뇌를 열고 ... ...
- [과학뉴스] 망둥어의 혀는 ‘물’이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fish)가 육지에서도 먹이를 먹을 수 있는 비결이 밝혀졌다. 보통 물고기는 혀가 없어 물 밖에서는 먹이를 먹을 수 없다고 알려져 있다.벨기에 앤트워프대 크리진 마이클 교수팀은 말뚝망둥어(Periophthalmus barbarus)가 먹이를 삼키는 모습을 고속 X선 촬영한 결과, 망둥어가 입에 머금고 있던 물을 ... ...
- [Knowledge] 3000t급 잠수함 장보고-III 산실, 육상통합시험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은밀한 용도로 고안됐습니다. 주기적으로 산소를 흡입하기 위해 물 밖으로 올라올 수밖에 없다면 본연의 임무를 다하기 힘들죠.” 임 박사가 설명했다.실제로 중형급 이상 잠수함 개발의 핵심은 ‘공기가 필요하지 않은 추진체계(Air-independent propulsion, AIP)’를 만드는 것이다. 만약 산소 보충을 위해 ... ...
이전1421431441451461471481491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