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밖"(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닷속 경주에서 만난 수중 고고학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발굴된 1208년의 도자기를 기준으로, 학자들은 도자기 역사를 대대적으로 수정했다. 그 밖에도 한때 젓갈이었을 동물의 뼈는 당시 조상들의 생활상을 보여주는 소중한 사료다. 2010년, 마도2호선에서 발견된 온전한 매병(입구가 작고 아래가 잘록한 병) 2점에도 죽찰이 있었다. ‘중방 도장교 ... ...
- 청개구리가 비만 오면 노래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공기는 다시 허파로 들어가요. 이때는 소리가 안 난답니다. 허파에서 나온 공기를 입 밖으로 바로 내보내지 않고 노래주머니로 보내는 이유는 소리를 크게 만들기 위해서예요. 노래주머니가 팽창하면서 바깥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이 늘어나 주변 공기를 진동시키거든요. 후두에서 만든 소리는 이 ...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외계로뉴호라이즌스 호는 얼음 조각과 소행성들이 모여 있는 ‘카이퍼 벨트’와 태양계 밖을 향해 계속 나아가고 있다. 탐사기술이 더 발달하면 외계행성으로 떠날 날이 올지도 모른다. 과학과 기술이 발달하면서 수많은 외계행성이 발견되고 있다. 고대 그리스의 에피쿠로스, 지오다노 브루노 같은 ... ...
- [생활] 이종필 교수와 백북스 수학아카데미 사람들 우리도 아인슈타인이 될 수 있을까요?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거예요. 나를 위해서 세 사람이 헌신해 주니까. 내가 해간 거라곤 열심히 복습한 것밖에 없지, 뭐.”“정말 이 교수님 수업을 듣고 아인슈타인이 되셨나요?” 기자가 묻자, 박 회장은 멋쩍게 웃어 보였다. “아직은 멀었죠. 그래도 조금이나마 맛보긴 한 것 같아요.” 수학 아카데미 사람들의 눈빛은 ... ...
- [지식] 안테나, 우주의 소리를 듣다!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또한 틈틈이 낮은 수준의 잡음을 측정하고 기록할 수 있는 도구를 연구하다가, 지구 밖에서 오는 신호도 측정할 수 있는 안테나를 개발했다. 그러면서 가장 유력한 잡음의 근원지도 알아 낼 수 있었다. 그러나 그의 논문 발표에도 동료 천문학자는 물론, 과학계도 싸늘했다. 기존 천문학자들 중에는 ... ...
- [생활] 디자인 놀이터에서 즐기는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08호
- 함수를 만들어 주는 변수 $t$.곡면판이 완성한 DDP의 부드러움둘레길을 돌아 다시 건물 밖으로 나오면, DDP의 또 다른 장관이 펼쳐집니다. DDP를 감싸고 있는 외벽을 좀 더 가까이서 살펴 볼까요? 부드러운 곡면이 돋보이는 DDP를 완성하기 위해 알루미늄으로 만든 외벽 마감재를 무려 4만 5133장이나 ... ...
- [지식]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전 세계에 2000종이나 된다”며 “아직까지 어떤 과학자도 종마다 알에서 태어난 유충이 밖으로 나와 성충이 될 때까지 몇 년이 걸리는지 관찰했다는 기록이 없다”고 밝혔다. 그는 “다만 매미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대략 3~6년 주기로 매미가 나타난다고 짐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그런데 ... ...
- 9년의 기다림, 몇 초의 만남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공간과 명왕성의 최대 위성인 카론의 그림자가 생기는 공간을 차례로 거친 뒤 태양계 밖으로 향했다.태양계 행성에서 명왕성 퇴출… 탐사 명분을 잃다명왕성은 1930년 2월 18일 미국의 천문학자 클라이드 톰보가 처음 발견했다. 천문학자들은 천왕성의 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미지의 행성을 80년간 찾아 ... ...
- [핫이슈] 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하지 않기 때문에 외래어를 조선어로 바꿀 경우 오히려 뜻을 이해하기가 더 어렵다.그밖에도 뜻은 같은데 다른 한자를 써서 헷갈리는 용어들이 있다. 원래부터 한자어에서 비롯된 용어는 남북한 모두 한자 그대로 썼다. 그러나 떨어져 지낸 70년 동안 여기서도 차이가 벌어졌다. 남한에서는 비정상 ...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무엇인가 있을 거다’나 ‘메틸화가 DNA에 영향을 줄 것이다’라는 추측만 있었다. DNA 밖에 새겨진 정보가 구체적으로 알려지고, 그것이 생명활동에 영향을 주는 메커니즘이 발견되면서 본격적으로 연구에 물꼬가 트였다. 이후의 성과는 눈부시다. DNA 메틸화, 히스톤 꼬리 단백질이 밝혀졌고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