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밖"(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결정한다. 꽃이 필 때를 알려주는 DNA 밖의 정보, 즉 후성유전학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밖에 없다.보리와 유채의 기억법식물은 뇌와 신경세포도 없다. 당연히 동물과 같은 방법으로는 기억이나 학습을 할 수 없다. 그렇다고 식물이 기억을 못하는 것은 아니다. 식물도 분명 뭔가를 기억하고 학습한다. ... ...
- Part 1. 탐식의 시작 : 처음 밝혀진 조선시대 미슐랭 가이드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등 지역별 별미 음식이 상세히 소개돼 있다. 허균은 책에서 ‘최상의 두부는 서울 창의문 밖 사람들이 만든 것으로 두부 맛이 말할 수 없이 연하다’고 적었다. 그는 해산물, 특히 게 요리를 굉장히 좋아했는데 책에서도 ‘삼척에서 잡아 올린 대게가 최고의 맛’이라고 평했다. 이런 사실은 조선 ... ...
- 해마 꼬리가 사각인 이유 있었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때, 직육면체 구조물은 단면적이 30% 가량 줄어들 때까지 버틴 반면, 원통형 구조물은 10% 밖에 버티지 못했다. 직육면체 구조물이 변형에 더 잘 견딘다는 의미다. 포터 교수는 “원에 비해 꼭지점이 적은 정사각형이 더 쉽게 접힌다”며 “현재 개발하고 있는 로봇에 해마 꼬리의 원리를 적용할 ... ...
- [핫이슈] 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하지 않기 때문에 외래어를 조선어로 바꿀 경우 오히려 뜻을 이해하기가 더 어렵다.그밖에도 뜻은 같은데 다른 한자를 써서 헷갈리는 용어들이 있다. 원래부터 한자어에서 비롯된 용어는 남북한 모두 한자 그대로 썼다. 그러나 떨어져 지낸 70년 동안 여기서도 차이가 벌어졌다. 남한에서는 비정상 ... ...
- 바닷속 경주에서 만난 수중 고고학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발굴된 1208년의 도자기를 기준으로, 학자들은 도자기 역사를 대대적으로 수정했다. 그 밖에도 한때 젓갈이었을 동물의 뼈는 당시 조상들의 생활상을 보여주는 소중한 사료다. 2010년, 마도2호선에서 발견된 온전한 매병(입구가 작고 아래가 잘록한 병) 2점에도 죽찰이 있었다. ‘중방 도장교 ... ...
- [지식]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전 세계에 2000종이나 된다”며 “아직까지 어떤 과학자도 종마다 알에서 태어난 유충이 밖으로 나와 성충이 될 때까지 몇 년이 걸리는지 관찰했다는 기록이 없다”고 밝혔다. 그는 “다만 매미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대략 3~6년 주기로 매미가 나타난다고 짐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그런데 ... ...
- [생활] 이종필 교수와 백북스 수학아카데미 사람들 우리도 아인슈타인이 될 수 있을까요?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거예요. 나를 위해서 세 사람이 헌신해 주니까. 내가 해간 거라곤 열심히 복습한 것밖에 없지, 뭐.”“정말 이 교수님 수업을 듣고 아인슈타인이 되셨나요?” 기자가 묻자, 박 회장은 멋쩍게 웃어 보였다. “아직은 멀었죠. 그래도 조금이나마 맛보긴 한 것 같아요.” 수학 아카데미 사람들의 눈빛은 ... ...
- [생활] 디자인 놀이터에서 즐기는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08호
- 함수를 만들어 주는 변수 $t$.곡면판이 완성한 DDP의 부드러움둘레길을 돌아 다시 건물 밖으로 나오면, DDP의 또 다른 장관이 펼쳐집니다. DDP를 감싸고 있는 외벽을 좀 더 가까이서 살펴 볼까요? 부드러운 곡면이 돋보이는 DDP를 완성하기 위해 알루미늄으로 만든 외벽 마감재를 무려 4만 5133장이나 ... ...
- 청개구리가 비만 오면 노래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공기는 다시 허파로 들어가요. 이때는 소리가 안 난답니다. 허파에서 나온 공기를 입 밖으로 바로 내보내지 않고 노래주머니로 보내는 이유는 소리를 크게 만들기 위해서예요. 노래주머니가 팽창하면서 바깥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이 늘어나 주변 공기를 진동시키거든요. 후두에서 만든 소리는 이 ... ...
- [지식] 안테나, 우주의 소리를 듣다!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또한 틈틈이 낮은 수준의 잡음을 측정하고 기록할 수 있는 도구를 연구하다가, 지구 밖에서 오는 신호도 측정할 수 있는 안테나를 개발했다. 그러면서 가장 유력한 잡음의 근원지도 알아 낼 수 있었다. 그러나 그의 논문 발표에도 동료 천문학자는 물론, 과학계도 싸늘했다. 기존 천문학자들 중에는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