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뉴스
"
개
"(으)로 총 20,39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술의 최전선]“3,4년 뒤 100달러로 내 모든 DNA 한눈에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0
“100달러(약 11만 원)로 유전체(게놈) 염기 서열 전체를 해독할 수 있는 날이 머지않았다.” 올해 1월 프랜시스 더수자 미국 일루미나 최고경영자(CEO)는 수년 내에 ... 것과 함께 혈액 속에 들어있는 극미량의 질병 관련 유전체 물질을 잘 찾는 기술을
개
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 ...
[과학&기술의 최전선] 마흔살 게놈 해독 기술의 숨가쁜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17.11.10
테라젠이텍스 바이오연구소 이사는 “다음 혁신은 크기에서 일어날 것”이라며 “
개
인이 장비를 직접 소유해 휴대하고, 이를 이용해 병원에 가지 않고도 기본적인 병원균을 판별하는 등 게놈 활용 시대에 접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 ...
크리스퍼 가위 교정 식품이 식탁으로 들어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0
성공 여부를 바로 파악할 수 있게 됐다. 강병철 서울대 식물생산과학부 교수는 “각
개
량 기술마다 장단점이 명확하기 때문에 미래 식탁을 꾸리는 일에 어떤 기술이 승자가 될지는 명확하지 않다”고 말했다 ... ...
"한국 에이즈 증가, 메르스 창궐 등 감염병 안전지대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0
프로그램을 수립하고, 20년에 걸친 백신
개
발 계획을 세우는 데도 관여했다. 에이즈 백신
개
발 가능성을 최초로 제시한 임상시험을 주도하기도 했다. 그는 “20년 넘게 연구했지만 HIV에는 아직 효과적 백신이 없다”며 “남아프리카에서 진행 중인 후속 연구에 기대를 걸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 ...
광화문 한 복판에 해저탐사 로봇 등장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09
용홍택 과기정통부 과학기술정책국장은 “이번 행사는 과기정통부만이 아니라 국내 연구
개
발 성과를 총망라해 국민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실증 기획 프로젝트로 기획했다”고 밝혔다. ... ...
네이처, 희귀 피부병 치료 위한 줄기세포 이식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7.11.09
것으로 보아 일상 환경에서도 큰 문제가 없었던 것”이라며 “이식 후 4
개
월과 8
개
월, 21
개
월 경과했을 때, 세포를 채취해 검사한 결과 기능적인 측면에도 문제가 없었다”고 말했다. 이식한 줄기세포가 정상인의 것처럼 모든 기능을 갖춘 상피세포를 만드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하지만 논쟁의 ... ...
가족 간의 유전질환이 궁금하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7.11.08
교수 공동연구팀은 질병 관련 유전자를 한번에 최대 27
개
까지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
발했다고 8일 밝혔다. 알츠하이머성 치매 같은 유전질환은 혈액 속 마이크로 RNA로 진단한다. 알츠하이머과 관련된 마이크로 RNA가 검출된다면 당장 치매 증상이 없더라도 앞으로 발병 가능성이 높다. 혈액 속 ... ...
아이폰X 11월24일 국내 출시 확정
2017.11.08
앞 커버가 있는 아이폰X 전용 가죽 폴리오 케이스는 12만9000원에 팔린다. ※ 필자소
개
최호섭. PC사랑을 시작으로 최근 블로터까지 IT 분야만 팠다. 차에서 보내는 시간이 아까워서 들여다보기 시작한 노트북과 팜 파일럿 PDA는 순간이 아니라 인생을 바꿔 놓았다. 기술 하나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 ...
반려견 주인의 마음
팝뉴스
l
2017.11.08
달라고 말해주십시오.” 혼자
개
를 키우는 사람들 중에는 자신에게 사고가 생기면
개
까지 생존에 위협을 받을 수 있다고 걱정하는 이들이 많다. 종이에 인쇄된 카드 한 장이 그런 걱정을 크게 덜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 ...
“신재생에너지 확대하려고 원전 없앨 필요는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17.11.08
있다”고 꼬집었다. 또 홍 교수는 “2030년이면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2400만
개
의 일자리가 나올 것으로 전망되고 있지만,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OECD 최하위(1.47%)”라며 “단순한 에너지 수급을 넘어 경제 성장까지 고려한 에너지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상훈 ... ...
이전
1460
1461
1462
1463
1464
1465
1466
1467
14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