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검색
조사
추적
탐색
찾아주기
d라이브러리
"
찾기
"(으)로 총 2,503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어 규칙
찾기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Q. 1. 다음 영어 단어들은 어떤 특별한 규칙을 갖고 배열돼 있습니다. ‘?’에 올 수 있는 단어는 어떤 것일까요? Science - Student - Birthday - Seven - ? ① School ② day ③ Multiplication ④ Pineapple 2. 다음 표 속의 알파벳들은 어떤 특별한 규칙을 갖고 있습니다. ‘?’에는 어떤 알파벳 ...
[부록] 비교의 여왕, 부등식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사고를 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교과서와 문제집 속에 숨은 의미와 그림자
찾기
!서로 다른 학교에 다니는 선생님과 학생이지만 수학 교과서만큼은 같은 내용을 공부해요. 같은 내용의 수학 교과서라도 보는 시각을 다르게 한다면 교과서는 정말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 창고임을 알수 있어요. ... ...
제2게임 행렬로 푸는 흑백 게임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뒤집혀 흑백의 색이 바뀝니다. 얼핏 보면 단순한 게임으로 보이지만 이기는 방법을
찾기
위해 많은 수학자가 연구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예선전 결과 8명의 선수가 올라와 있고 빅뱅의 탑 선수가 가장 유력한 우승후보 입니다. 네~, 지금 막경기가 시작됐습니다. 8명의 선수들은 돌을 이리저리 ... ...
제2의 지구 찾아 삼만 광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별까지 거리가 가깝다.행성의 질량은 시선속도 측정법과 같은 대부분의 외계행성
찾기
방법으로 알아낼 수 있다. 질량이 별과 행성을 나누는 가장 기본적인 분류 기준이기 때문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목성과 같이 무거운 행성은 가스 행성,지구와 같이 가벼운 행성은 암석 행성으로 판단한다. 가스 ... ...
인간은 얼마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700m 공간에서 무사히 살아나와 큰 감동을 주고 있다. 이들은 사고 17일 만에 생존자를
찾기
위해 지상에서 내려보낸 탐침봉 끝에 ‘살아 있다’는 쪽지를 매달아 올려 보냈다. 그 후 광부들은 구조작업이 진행되는 52일을 더 참고 견딘 끝에 10월 12일 모두 건강하게 지상으로 돌아왔다. 어둡고 습한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쓸만한’ 재료를 한두 종류씩 갖춰두는 할인매장이나 백화점 식품코너도 좋지만 보물
찾기
를 하는 기분으로 재래시장을 찾아 나서는 것도 추천한다. 재래시장은 같은 재료라도 파는 상인이 여럿 모여 있고, 저마다 품질도 제각각이다. 그만큼 생각했던 재료를 찾을 확률도 높다.식감이 중요한 ... ...
숫자들의 규칙
찾기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Q. 다음 표 속에 있는 숫자들은 각각 같은 종류의 어떤 특별한 규칙을 갖고 있습니다. ‘?’에 올 수 있는 그림은 어떤 것일까요? A. 1번 답 : ❸ 보기의 숫자들은 모두 자신 외에는 나눠질 수 없는 소수로만 구성돼 있습니다. 2번 답 : ❹ 보기의 숫자들은 ‘첫 번째 줄 숫자의 합=두 번째 줄 숫자 ... ...
누가 피터팬의 그림자를 가져갔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몹시 기쁜 나머지 팅커벨이 안에 있는 것도 잊은채 서랍을 닫아 버렸다. 피터는 그림자를
찾기
만 하면 바로 몸에 붙을 줄 알았다. 그런데 아무리 몸에 갖다 대어도 그림자는 붙지 않았다 당황한 피터가 비누를 찾아 그림자에 문질러 보았지만 소용 없었다. 결국 피터는 주저앉아 울음을 터뜨리고 ... ...
PART 2 수학이 없는 학교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조건에서 예를 선택하면 A로 이동하고, 아니오를 선택하면 B로 이동하라는 식의 ‘이상형
찾기
’같은 게임처럼 끊임없이 질문과 답을 주고받는 식이다.자기 컴퓨터가 고장난 걸로 생각한 지성이는 휴대전화를 꺼낸다. 스마트폰은 아니지만 인터넷을 하기에 나쁘지 않은 휴대전화다. 학교는 ... ...
변화를 분석하는 도구, 미적분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포탄의 높이가 가장 높고 이후 점점 떨어진다. 따라서 이 직선이 수평으로 된 곳을
찾기
만 하면 포탄의 최고 높이를 구할 수 있다.여기서 두 점 사이의 거리를 점점 0에 가깝게 하면 직선은 사실상 곡선과 한 점에서 만난다. 이것을 접선이라고 한다. 접선이 수평인 곳에서 곡선은 그 근처에서 가장 큰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