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검색
조사
추적
탐색
찾아주기
d라이브러리
"
찾기
"(으)로 총 2,503건 검색되었습니다.
굿 바이! 킬로그램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킬로그램이란 질량의 단위를 현재의 방식보다 간단하면서도 정밀하게 유지하는 방법을
찾기
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표준과학자들은 수치스런 원기에게 작별을 고하려 애쓰고 있다. 4년에 한 번씩 개최되는 국제도량형총회가 올해 열리는데, 여기서 이 문제를 결정할 전망이다. [한 때 ... ...
소개팅에서 성공하는 사랑방정식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확률을 계산했다. 서울대 물리교육과 박사과정을 수료한 그다운 해법이었다.최적의 짝을
찾기
위해 몇 번의 탐색과정을 거쳐야 할까. 몇 번째 소개팅에서 선택해야 할까. 이 문제를 풀기 위해 그는 몇 개의 가정을 세웠다. 먼저 평생 소개팅할 기회가 100번쯤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번에 나온 상대와 ... ...
한국의 인공태양, 세계의 태양으로 뜨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이루자는 것. 연구진들은 선진국이 하지 않았지만 앞으로 꼭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찾기
시작했다. 바로 대규모 초전도 전자석이었다. [KSTAR의 주장치(토카막) 모습.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1억℃의 초고온 플라스마를 가둘 수 있다. 국내 기술로 만든 초전도체 전자석 30개가 달려 있어 KSTAR의 최종 ... ...
원기둥은 점대칭도형인가?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절반인 곳을 지나며 밑면에 평행인 원에 대해서 대칭이에요. 이제 점대칭의 중심을
찾기
위해 주어진 높이의 $\frac{1}{2}$ 지점의 원의 중심 O를 생각해봐요. 원기둥 위의 모든 점은 이 원의 중심을 O를기준으로 반대편으로 같은 거리에 대응점이 있습니다. 즉 원기둥은점대칭 도형입니다 ... ...
과학이 맺어준 커플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담당했던 남성은 사냥감을
찾기
위해 먼 거리를, 채집을 담당하는 여성은 과일 등을
찾기
위해 사물을 세밀하게 보도록 시력이 진화했기 때문이다. [여성의 입술이 붉을수록 에스트로겐이 많이 분비된다는 뜻이다. 에스트로겐을 많이 만들 수 있다는 유전적 우수성을 강조하기 위해 붉은 립스틱이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낮춘 적이 있다.이후 연구자들은 화산을 모방해 지구 온난화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시작했다. 인공 구름과 태양 반사장치도 마찬가지. 하늘과 우주에 적용하는 지구공학 아이디어는 모두 태양열을 반사시키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런 방법은 위급한 상황에 지구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 ...
인간단백질 지도사업 이끈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것이다. 단백질은 양이 매우 적어 질량을 측정하기가 쉽지 않다. 모래사장에서 바늘
찾기
에 비유할 만하다. 이런 단백질을 찾아내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질량 분석기를 쓴다. 단백질의 화학 구조와 아미노산 서열을 바탕으로 계산한 분자량과 비교해 종류를 알아내는 원리다. 연세프로테옴연구원에는 ... ...
집게냐 손가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이런 손가락을 제각각 움직이게 만들기도 어렵습니다. 결국 과학자들은 현실적인 대안을
찾기
시작합니다. 공업용 로봇에서 쓰는 ‘집게손’을 빌려오는 겁니다.집게형 로봇손이 유리한 이유2010년 1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유범재 박사 연구팀은 두발로봇 ‘마루Z’가 주인의 명령을 받아 ... ...
Part 3. 말귀 알아듣는 컴퓨터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내놓는다. 이로써 컴퓨터는 질문을 모두 이해한 셈이다.질문에 해당하는 정보를
찾기
위해 컴퓨터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검색해서 답을 찾아낸다. 이것이 추론이다. 보통의 질의응답 시스템은 이런 알고리즘 십여 개를 이용해 답을 찾아낸다. 왓슨은 100여 개의 알고리즘을 이용해 답을 찾는다 ... ...
Part 3. 확률과 전략이 절묘할 때 승리하는 윷놀이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형태”라고 입을 모은다. *그래프이론에 따르면 윷놀이는 가장 단순화된 최적 경로
찾기
로 볼 수 있다. 수학이 어떤 해법을 구할 때 가능하면 가장 쉽고 단순한 방법을 찾으려고 한다는 점에서 볼 때 윷놀이는 이런 특성을 가장 잘 충족시켜주는 놀이인 셈이다. 즉 수학적으로 윷판을 더 복잡하고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