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d라이브러리
"
실험
"(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수학으로 밝힌 이파리 모양의 비밀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교수팀은 ‘극성 장’이라는 잎 세포의 특징이 잎의 모양을 결정한다는 가설을 세우고
실험
과 수학 모형으로 검증했습니다.극성 장은 수학과 물리학 개념인 벡터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벡터는 힘과 속도처럼 크기와 방향을 가진 물리량이고, 극성 장은 식물을 구성하는 물질이 특정 부분에 쏠려 ... ...
[과학뉴스] 세계에서 가장 빠른 ‘개미계의 우사인 볼트’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해럴드 울프 독일 울름대 신경생물학연구소 교수팀이 최고 초속 0.855m로 달릴 수 있는 개미를 발견했다. 지금까지 발견된 개미 중 가장 빠른 ... 가까운 근육 수축 속도를 내고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실험
생물학저널’ 10월 16일자에 실렸다. doi: 10.1242/jeb.19870 ... ...
[과학뉴스] 인공지능(AI)으로 초압축성 신소재 개발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최대가 되도록, 길이가 짧은 디자인은 높은 강도를 갖도록 설계했다. 연구팀은 AI가
실험
의 수고를 덜어줄 뿐 아니라 인간이 생각하지 못한 새로운 설계 방식을 제시한다고 설명했다. doi: 10.1002/adma.20190484 ... ...
878초냐, 888초냐 중성자 수명 10초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셈이다. 중성자가 암흑물질로 붕괴한다면?878초와 888초. 이 양립할 수 없어 보이는 두
실험
결과가 모두 옳은 값일 가능성도 있을까? 물리학자는 이런 불가능한 상태를 가정해 해법을 찾아내는 사람들이다. 그중 한 가지 가능성은 암흑물질을 이용한 설명이다. 만약 중성자가 알려진 것처럼 ... ...
세포 서바이벌 결정하는 산소농도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상황에서 활성화되는 DNA 부위에 특정 단백질이 붙는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그리고 후속
실험
을 통해 마침내 산소농도가 감소할 때 DNA 부위에 결합하는 단백질 복합체를 찾아냈다. 그는 이 단백질을 ‘HIF(Hypoxia-Inducible Factor)’라고 명명했다.이후 그는 HIF 단백질 복합체를 이루는 두 단백질인 ‘HIF- ... ...
Google 진실을 말해줘~ 1만 년 걸릴 연산 200초 만에 한 거 실화임?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드러내고 있습니다. 중국은 2016년 세계 최초로 ‘모쯔(墨子)’라는 별칭을 가진 양자통신
실험
위성(QUESS)을 쏘아 올려 베이징과 오스트리아 빈 사이의 7600km를 무선 양자통신으로 연결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조 선임연구원은 “양자기술이 정말 어디까지 발전할지, 일반 대중에게 어떤 영향을 ... ...
40년 유인 우주 비행 역사의 산증인 두미트루 도린 프루나리우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국내 지원을 담당했고, 루마니아 국립 우주 활동 위원회는 우주정거장에서 수행할 과학
실험
을 담당했다(1970년대 소련은 ‘살류트(Salyut)’ 우주정거장을 운용하고 있었다). 프루나리우 박사는 자신이 우주인이 된 과정을 설명할 때 항상 “루마니아에서 우주인 후보를 선발할 당시 나는 참 운 ... ...
[통합과학 교과서] 형의 집이 위험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화산재가 로마 건축물을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는 비결이라는 연구를 발표했지요.
실험
을 통해 시멘트에 화산재를 섞으면 콘크리트를 부식시키는 이산화탄소와 염분의 침투가 줄어든다는 사실을 알아낸 거예요. 이 연구를 반영해 일본에서는 새로 짓는 건축물에 화산재 성분이 많은 가고시마 현의 ... ...
지구사랑탐사대 7기 발대식! 2500명이 생태계 지키러 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과제와 탐사 방법을 소개했 어요. 올해 처음 연구자로 참여한 이화여자대학교 행동생태
실험
실 소리연구팀의 백미선 연구원은 우리나라 곳곳에 서식하는 새와 곤충의 울음소리를 모아달라고 대원들에게 당부했어요. 백 연구원은 “생물의 소리가 들리면 스마트폰으로 5분 동안 녹음한 뒤 앱에 ... ...
[과학뉴스] 엉뚱하다고? B급이라고? 2019 황금거위상 vs. 이그노벨상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일어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확인했다. 로즈 교수는 AAAS와의 인터뷰에서 “처음에는
실험
설계가 잘못된 줄 알았다”며 “그 때문에 졸업이 몇 년은 더 늦어졌다”고 회상했다. 9월 12일 미국 하버드대 샌더스 극장에서 29번째 ‘이그노벨상’ 시상식이 열렸다. 1991년 하버드대 과학유머잡지인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