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d라이브러리
"
실험
"(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인터뷰] 사람만큼 오래 사는 물고기가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이에 그치지 않고 정확한 나이를 확인하기 위해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을 이용해 추가
실험
을 했어. 이석에 남아있는 탄소 성분 중 ‘방사성 탄소(14C)’의 비율을 이용해 나이를 알아냈지. 이처럼 이석의 나이테와 탄소연대측정법을 동시에 적용해 민물고기 나이를 추정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란다 ... ...
[과학뉴스] 청소년 음주, 위험한 이유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수바시 팬디 미국 일리노이대 후성유전알코올연구센터장이 이끄는 연구팀은 쥐(래트)
실험
을 통해 청소년기 알코올 섭취가 성인기에 뇌 유전자 발현에 악영향을 주고 불안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e뉴로’ 11월 18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팬디 교수팀은 사람으로 치면 청소년기에 ... ...
2020년 전망, 어떤 과학 이슈가 주목 받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양자 연구 과제를 선정해 진행하고 있습니다.중국은 이미 2016년 세계 최초로 양자통신
실험
위성(QUESS)인 ‘모쯔(墨子)’를 쏘아 올려 최장 7600km 떨어진 거리에서 무선 양자통신에 성공한 바 있습니다. 2020년에는 중국 안후이성 허페이시에 약 37만m2 규모의 국립양자정보과학연구소도 완공될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로 간 심장외과 의사, 무카이 치아키(向井 千秋)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무카이 박사는 그 후로도 우주왕복선 비행 중 수행할 과학
실험
을 지원하는 과학자로 일했다. 그는 2003년 사고가 난 우주왕복선 컬럼비아호의 준비팀이기도 했다. 함께 임무를 준비했던 우주인이 사고를 당했을 때 얼마나 힘들었을까. 그럼에도 마음을 다잡고 묵묵히 자신의 ... ...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Action of Worms)’이라는 책에서 지렁이가 진동을 감지한다고 썼다. 다윈은 지렁이의 청각을
실험
하던 도중 지렁이가 소리에는 반응하지 않지만, 진동에는 반응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다윈이 피아노 옆에 지렁이를 두고 건반을 두드릴 때는 지렁이가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그런데 지렁이와 흙이 든 ... ...
프랑켄슈타인 가능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신호를 주고받는 것은 발견하지 못했지요. 고려대학교 의과학과 나흥식 교수는 “이번
실험
에서는 신경세포의 소통을 확인할 수 없었지만, 연구를 발전시키면 뇌 질환을 앓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어요. 신체를 바꿀 수 있을까?이탈리아 신경외과 의사 세르지오 카나베로와 중국 ... ...
두려움에 맞서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가상 주행을 하며
실험
참가자의 심박 수를 재고 손에 땀이 나는지를 측정했어요.
실험
자의 신체 변화를 감지하며 위험한 주행의 유형을 배운 인공지능은 가상 주행 시험에서 충돌 사고가 25% 감소했답니다.공포 기억을 없애자무서운 꿈을 꾸었나요? 아직도 심장이 두근두근 가라앉지 않는다고요? ... ...
돼지가 인간 췌장 가진 쥐 출산? 불붙은 키메라 배아 연구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훨씬 더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다만 아직 갈 길이 멀다. 김 교수는 “한국은
실험
에 대해 윤리적인 규제가 과한 측면이 있다”며 “장기적인 의료 발전을 위해서는 임상은 허가하되 임상에서 나타나는 위험 요소를 엄격히 규제하는 방향으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이변은 없었다 2019 노벨상 리포트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후에 이뤄진다. 보통 물리학상이 다른 분야보다 기간이 좀 더 길다. 물리학상은 이론이
실험
과 관측을 통해 입증될 때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반면 화학상과 생리의학상은 과학적 입증이 이미 논문에 포함돼 있기 때문에 물리학상보다는 그 기간이 짧은 편이다. 이런 통계에 비춰봐도 이번 ... ...
냉동 캡슐에 들어갔다 나옴! 잘 녹을 수 있음?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증명된 사실입니다. 한 예로 데이비드 스트론섹 미국 국립보건연구원(NIH) 연구원팀의
실험
을 들 수 있는데요. 액체 질소에 1일부터 5년 6개월까지 냉동 기간이 다른 백혈구 311개를 비교한 결과, 해동했을 때 정상 기능으로 돌아온 백혈구의 비율은 냉동 기간에 관계 없이 거의 동일했습니다. 연구팀은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