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d라이브러리
"
신호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 구조의 알파와 오메가, 지형류의 발생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이를 위해 합성되는 초기에 단백질은 위치를 지정하는
신호
서열을 갖고 있으며 이
신호
서열이 인식되면 세포 내에서는 단백질을 핵으로 이동시킨다. 2. 진핵세포에 대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난이도 중] 세포막 유동성을 보여줄 수 있는 실험을 구상해보시오. 2) [난이도 중] 크기와 농도가 같은 ... ...
PART 2 독특한 곤충의 생애, 주기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나비는 상대적으로 주기가 긴 벌이나 개미보다 먹이를 저장하는 일이나, 동료에게
신호
를 전달하는 능력이 덜 발달했다. 이와 같이 주기의 길고 짧음은 곤충의 생활 방식에 영향을 준다.또 주기를 정확하게 알면 다량의 곤충을 사육하는 일에도 도움이 된다. 함평곤충연구소의 정헌천 박사는 매년 ... ...
알고 보면 둥근 세상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시디는 직경 12cm에 두께1.2mm의 맑은 색깔의 폴리염화비닐(PVC)로 만든 원판에 디지털 음성
신호
가 적외선 레이저로 채음되고, 직경이 0.6미크롬의 자디잔 피트(Pit)에 의해 압축되어 있어. 그래서 더 길게 녹음하고 얼마든지 복제할 수 있게 되었고, 그 덕분에 유명한 연주자들의 음악을 쉽게 듣게 ... ...
유전성 대장암의 원인 밝혔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에서 연수를 받는 1년 반 동안 대장암을 일으키는 물질의
신호
체계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이 박사는 “지금까지는 가족성 용종증을 치료하려면 대장을 전부 절제하는 방법밖에 없었다”며 “이번에 찾아낸 ERK 억제 물질이 사람에게 안전하다고 ... ...
생명정보학, 게놈 데이터 더미에서 보석 캔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불리는 단분자서열해독기(single molecule sequencer)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기존 방법은
신호
를 얻기 위해 DNA분자 수를 늘려야 하기 때문에 ‘증폭’과정이 필요하지만 DNA분자 하나에서 염기서열 정보를 읽을 수 있는 초감도 센서가 달린 3세대 해독기에서는 이 과정이 필요 없다.서열해독기가 이처럼 ... ...
줄기세포로 청각 다시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첨가해 유모세포로 성장시켰다. 이렇게 분화된 유모세포는 소리를 감지해 전기적인
신호
를 발생시켰고,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형태도 실제 쥐에서 추출한 유모세포와 비슷했다.신 박사는 “유모세포는 한 번 손상되면 다시 재생되지 않는다”며 “이번 연구는 유모세포가 손상되는 원인을 ... ...
첨단 바이오 자원으로 거듭나는 대나무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수 있을 것이다.대나무 숲에게 6월은 성장의 계절이다. 눈이 녹고 햇살이 부드러워졌다는
신호
를 받으면 대나무의 땅속줄기가 어린싹(죽순)들을 틔우기 시작한다. 물론 4~5월에도 죽순은 돋지만 이때 나는 죽순은 수분이 많고 질감이 부드러워 사람들이 식용으로 사용하려고 많이 베어간다. 따라서 ... ...
염증 줄이는 음식 속 도우미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항암작용을 알아냈다. 계피에 포함된 계피알데히드는 톨유사수용체가 염증을 만들라는
신호
를 방해해 염증이 생기는 것을 막는다. 브로콜리에 포함된 설포라판이라는 성분도 계피알데히드와 유사한 기능을 가졌다. 이들 연구는 그해에 각각 국제 학술지인 ‘생화학 약물학’과 ‘면역학저널’에 ... ...
개인게놈 시대 미리 맛보기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계획을 세우거나 결정을 내릴 때 활성화되는 부분이고 도파민은 뇌 뉴런 사이의
신호
를 전달하는 데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이다. 작년 8월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AA형은 불확실한 상황에서 변화를 추구하는 성향이고 GG형은 하던 대로 하는 걸 좋아하는 성향이라고 한다. ... ...
세상을 바꾸는 학생 발명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이용하는 사람들은 1분에 최대 8글자까지 올리며, 최대 140자까지 쓸 수 있다.뇌의 전기
신호
를 포착해 글씨를 쓰는 기술은 그간 여러 연구팀에서 꾸준히 개발해 왔다. 하지만 이 기술은 중증 소아마비 환자나 하반신 마비 환자처럼 몸이 마비된 환자들이 가장 직관적이고 빠르게 SNS에 글을 올릴 수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