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신호"(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 감쪽같은 소금 흉내로 뇌 속인다과학동아 l2010년 09호
- 미뢰의 짠맛 수용체에 붙거나 막 이온통로를 거쳐 짠맛 세포를 자극한다. 그 결과 짠맛 신호가 생성돼 뇌까지 전해진다. 나트륨이 아닌 물질이 나트륨처럼 맛 경로를 이용해 짠맛을 느끼게 하는 셈이다. 짠맛 조절물질이 들어 있는 음식을 먹은 사람은 소금을 넣지 않았는데도 짭짤한 맛을 느끼게 ... ...
- Controlling Our Dream과학동아 l2010년 09호
- Techniques to control our dreams have been shown to work in scientific sleep experiments. We can strategize to dream about a particular subject, solve a problem or end a recurring ... 뇌의 특정 영역마다 어떤 작용 ...
- 스스로 싸우는 전투 로봇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수 없다.유 단장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군번표에 전자태그(RFID)를 심어 로봇이 신호를 인식해 아군과 적군을 구별하게 하는 것과 같이 영상뿐만 아니라 다른 기술을 추가로 써야 한다”고 덧붙였다. 2. 로봇은 어떻게 스스로 움직이고 판단해 싸울 수 있을까?목적지까지 스스로 움직이는 ... ...
- 덩치 큰 슈퍼컴퓨터, 소프트웨어로 다이어트하다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않다. 즉 그리드로 풀기 적당한 문제는 Distributed.Net의 암호 깨기나 NASA의 ‘SETI@Home(외계신호 찾기)’ 프로젝트처럼 무수히 많은 해답 후보를 일일이 다문제에 대입해서 맞는 답을 찾는 소모적인 문제에 국한된다. 그래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슈퍼 컴퓨터 순위에는 그리드 시스템이 포함되지 않는다. ... ...
- 헬륨 부족하면 첨단 연구도 STOP! 헬륨 위기가 온다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있는 자기공명분석장치(NMR)나 자기공명영상장치(MRI)에도헬륨은 꼭 필요하다. 분석신호의 감도를 높이거나 영상의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 초전도자석을 사용하는데, 초전도자석은 극저온이 돼야 저항이 사라지는 초전도 상태가 된다. 이때 초전도자석을 냉각하는 것이 액체헬륨이다. 보통 MRI를 처음 ... ...
- 1992년 사무엘 웨이스 박사의 성체 신경세포 생성 발견과학동아 l2010년 09호
- EGF 수용체가 있다”고 주장한 논문을 본 기억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성체 뇌세포에 EGF의 신호를 받는 수용체가 있다는 건 EGF가 어떤 작용을 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아니면 말고’라는 가벼운 마음으로 진행한 실험에서 연구자들은 놀랍게도 태아 뇌세포 때와 비슷하게 성체 뇌세포가 분열해 ... ...
- 스마트 의류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상대방에게 전달된다. 이 옷은 형상기억소재를 사용하는데, 외부에서 들어온 전기신호를 열에너지로 바꿔 옷에 주름을 만든다.춤을 추는 움직임이나 속도에 따라 형형색색 빛을 발하는 드레스도 상용화될 예정이다. 키네틱 드레스는 동작 감지 센서와 발광다이오드가 달려 있다. 이 드레스를 입고 ... ...
- [생물] 생물다양성과 우리 삶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이온의 이동이 일어나지 못하면 나트륨 이온의 분포와 이동에 의존하는 신경세포의 신호전달이 일어나기 어렵다. 이 결과 곤충의 신경 활동이 중단돼 살충효과를 나타낸다.2. 다음은 DDT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물음이다.1) [난이도 하] DDT를 동물성 플랑크톤, 식물성 플랑크톤, 작은 물고기, 새, ... ...
- LED가 만들 형형색색의 미래과학동아 l2010년 09호
- 개발 연구를 한창 진행하고 있었다. 화합물반도체 물질로 만든 조그마한 LED소자에 전기신호를 보내 빛을 만든다는 사실이 매우 신기했다. LED칩 내의 활성층을 바꿔 다양한 영역의 색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 매료됐다.화합물반도체 에피성장 연구실은 결함이 적고 우수한 물성을 갖는 화합물반도체 ... ...
- 제시문에 기반해 명확한 답 찾기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시스템과 호르몬 항상성의 차이점, 그리고 단백질 호르몬과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신호전달방식의 차이점도 묻는다. 이 논제 역시 제시문에 나온 실험 원리를 정확히 이해하고 호르몬의 특성을 파악하면 풀 수 있다. 특히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과의 비교라는 창의적인 사고를 요하는 문제를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