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죄수복
임의
시체 입히는 옷
의지
욕구
자유
마의
d라이브러리
"
수의
"(으)로 총 1,543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프트웨어위기 극복한 4세대언어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컴퓨터 언어가 자체적으로 구현한다. 그러므로 3세대 언어를 사용했을 경우보다 적은
수의
라인으로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결국 해결해야 할 문제만 정확히 인식한 사용자라면 짧은 시간 내에 짧고 밀도 높은 프로그램(compact program)을 작성해 결과를 얻을 수 있다.이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 ...
사하로프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이런 '시간반전의 보편'이 깨진다는 것이 명쾌하게 밝혀졌다. 사하로프는 '바리온
수의
보존'이 깨지고 '시간반전의 보편성'도 깨지며 더욱이 우주가 팽창하여 반응이 저하한다는 세 가지 조건이 갖추어지면 지금처럼 바리온 수가 늘어나고 따라서 우리 우주의 모든 물질이 남게 된다고 주장했던 ... ...
경오(庚午)년을 달리는 에쿠우스 말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말때 해에 태어난 사람은 현명하고 재주가 많으며 독립심이 강하다고 알려져 있다.오늘 날처럼 기차나 자동차 같은 교통기관이 발달하기 전, 말은 사람들에게 대단히 중요한 존재였다. 운반용이나 농경용, 그리고 직접 타고 다니는 승용은 물론이고 여러 면에서 그 가치가 절대적이었다.물론 지금 ... ...
통신에 활용되는 빛의 「유도탄」 광섬유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되면 빛은 외부로 빠져 나간다.광섬유의 코어 직경이 진행빛의 파장보다 훨씬 크면 많은
수의
모드가 코어 속을 통과할 수 있다(즉 빛이 진행할 수 있는 진행로가 많아진다). 그러나 코어의 직경이 작아지게 되면 진행할 수 있는 모드의 수도 감소하게 된다. 그러다가 코어의 직경이 빛의 파장과 ... ...
쾌락을 목적으로 교미하는 일본원숭이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일본원숭이는 1개월이상 계속해서 교미하기도 하고, 임산 후에도 교미를 지속함이 일본
수의
축산대 조사팀에 의해 밝혀졌다.봄에 출산한 암원숭이의 대부분은 다음해 봄에는 출산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산한지 얼마 되지 않은 암원숭이가 그해 가을에 다시 교미를 한 것이다.이는 ... ...
수동적 자세로는 뒤지기 마련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이러한 사실이 한편으로 대학 신입생을 괴롭히기도 한다. 암기능력만을 키워왔던 대답
수의
신입생은 그런 창의성을 개발할 여유를 갖지 못했기 때문이다.아무튼 내가 어려웠던 순간들을 그나마 무사히 극복할 수 있었던 큰 요인은 스스로 선택한 학과에서 오래 전부터 소망했던 공부를 하고 있기 ... ...
원자시계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생성에 기여하고 있다.종래에는 전세계에 흩어진 원자시계들이 유지하고 있는 시간주파
수의
비교는 주로 로란씨 항해신호, 위성TV 동기신호 등을 매개로 수행되었다. 그러나 점차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신호를 매개로 시각 비교를 수행하는 추세이다.GPS위성은 현재 8기가 지구상을 돌고 있다. ... ...
비파괴검사 속을 꿰뚫어 본다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음향방출센서를 이용하여 수신한다.음향방출시험은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다. 적은
수의
센서로도 대단히 큰 구조물을 검사할 수 있으며 방사선 구역등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부분에서도 연속적으로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또한 결함이 발생하여 진전되고 있는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으며 신호를 ... ...
북한의 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고분자화학 유기·무기화학연구소가 있다.농업과학원은 육종학 토양학 직물재배학
수의
학 사료학 축산학 농업시설공학 농업기계학 농업화학 식물보호학 식물생리학 강계채소학 과수 잠학연구소 및 시험장이 설치되어 있다. 이외에 경공업과학원은 방직기계연구소 등 17개 연구소가 설치돼 있고 ... ...
푸른 목자의 카우 걸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축산학의 발전방향은 최신 유전공학을 이용한 가축의 질병치료, 체형의 변화, 가축
수의
증대에 그 역점을 두고 있다. 뿐만 아니라 통계학으로 분석한 육종기술을 보다 세련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이러한 때에 축산학을 학문으로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철저히 공부하는 것이 나의 당면과제라고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