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죄수복
임의
시체 입히는 옷
의지
욕구
자유
마의
d라이브러리
"
수의
"(으)로 총 1,543건 검색되었습니다.
꿩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은신술에 도가 튼 꿩은 적이 가까이 다가와도 별 걱정을 하지 않는다. 게다가 청각까지 예민하니….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텃새인 꿩은 사시장철을 두고 산과 들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는 정다운 새다.꿩은 번식력이 강하고 어떠한 기후에서도 적응해 나간다. 5색의 빛깔이 매우 아름답고 찬란한 무 ... ...
보이지 않는 전선(戦線)에 서서 지금 유학현장에서는…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지원으로 설립한 연구소로서 노벨상 수상자가 4명이나 있어 단일연구소로는 세계최다
수의
노벨상수상자를 보유하고 있다.나는 이 곳에서 웅비를 꿈꾸었다. 사람들은 '미국은 기회의 나라'라고들 말했다. 나역시 그말을 신조로 삼고 매일같이 나름대로 열심히 노력하며 기회가 다가서기만하면 ... ...
마야(Maya)문명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사람들(Melanesia)과 남태평양 사람들(Polinesia)이 밀려 들어왔다.현재의 아르헨티나에 적은
수의
순수대륙토착원주민이 살고 있었다는 학설도 있다.2천여년 전에 출현한 마야족은 현재의 멕시코만 일대에 거주하다가 멕시코의 베라쿠르스 남부 및 유카탄반도 남부지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들은 치첸 ... ...
태양만 뜨겁게 작열하는 수성(Mercury)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달에서와 같이 직경이 수십㎞나 되는 큰 크레이터가 드물고, 큰 산이 없으며, 많은
수의
절벽(scarps)이 수백㎞씩 뻗어있다. 또한 수성에는 분지가 달보다 드문 편이고, 크레이터가 조밀하지 않은 평원도 여기저기 보인다.수성의 고지대는 크레이터로 덮여있다. 크레이터에서는 밝은 선들이 방사상으로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물고기도 매우 민감하므로 물고기를 지표로 수질을 가늠할 수 있다.우선 가장 깨끗한 1급
수의
경우는 온갖 물고기가 살고 있다. 물 중간을 헤엄치는 종류, 돌 밑이나 수초 사이에 숨어 있는 종류, 물밑의 모래나 흙에서 사는 종류 등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수질이 떨어지고 오염도가 심해질수록 이들 ... ...
1.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있듯이 소프트웨어의 제작비용을 특정한 사용자에게 부담시키는 것이 아니라 많은
수의
사용자들에게 고르게 부담시킴으로써 저렴한 가격에 강력한 기능을 갖춘 패키지 소프트웨어가 이제 컴퓨터 소프트웨어, 특히 개인용 소프트웨어의 대명사가 되어가고 있다. 그러면 과연 우리나라의 패키지 ... ...
주변기기 활용법/ 한글카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한글의 장점인 모아쓰기를 무시한 코드체계'라고 비난받고 있다. 표시 가능한 총 한글
수의
1/5밖에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국가 표준 코드로서의 정통성 시비가 끊이지 않고 있다.세가지 구현 방법한글을 구현하는 방법은 세가지가 있다. 첫째는 별도의 한글 카드가 없이 소프트웨어적으로 ... ...
앵무새보다 흉내를 더 잘내는 구관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동남아시아의 필리핀을 제외한 나머지 섬들에 널리 분포돼 있다. 물론 지역에 따라 육
수의
발달정도와 몸집의 크기가 다르다. 따라서 몇가지의 아종(亞種)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모든 찌르레기과(科)의 조류중에서 사람의 말을 가장 잘 흉내내는 놈이 바로 구관조다.도둑을 내쫓기도구관조는 앵무새 ... ...
PARTⅢ 분자생물학의 기본언어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인식, 정확하게 절단하기 때문에 어떤 DNA를 특정 제한효소로 절단하면 항상 일정한
수의
DNA절편이 생성된다. 이때 절단된 DNA의 끝부위는 항상 일정한 모양을 나타낸다.다음으로 DNA를 클로닝하는데 필요한 것은 DNA를 대장균에 실어나를 벡터(vector)다. 일반적으로 클로닝은 키우기가 용이하고 ... ...
가장 새로운 물리학─수리끈이론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된다.한편 대통일장이론에 따르면 10억분의 1이란 비율로 입자와 반(反)입자 간의
수의
평형은 깨지게 마련이라고 한다. 예컨대 쿼크입자가 10억+1개이면 반쿼크입자수는 10억개가 된다. 10억개의 쿼크와 10억개의 반쿼크는 서로 업치락뒤치락 하면서 에너지로 바뀐다. 이것이 우주를 가득 채운 2.7K의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